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5; 42(4): 376-379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5
https://doi.org/10.5010/JPB.2015.42.4.376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김용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공학과
Correspondence to : Y.-W. Kim e-mail: bravekim@korea.k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and concentrations of organic nitrogen sources (L-Glutamine and casein hydrolysate, CH) and plant growth regulators (auxins and cytokinins) on embryogenic tissue proliferation and somatic embryo production in
Keywords Embryogenic tissue, IBA, Japanese larch, Tissue growth
일본잎갈나무(
낙엽송의 클론증식은 삽목방법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삽목에 사용되는 삽수는 모수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발근율은 현저히 감소하며, 유령목(幼齡木)의 삽수를 이용할 경우 그 삽목묘는 몇 년 간 사향성(斜向性)생장을 보이는 단점이 있다. 또한 클론 간에 따라 발근율 차이가 커 일정한 양의 클론묘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없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조직배양 기술을 통한 우량개체의 번식이 시도되고 있는데 그 중 체세포배 유도법을 이용한 식물체생산이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는 기술이다(Lelu and Paques 2009). 그중
L-Glutamine 등은 유기질소원으로서 식물의 유기질소원으로 널리 이용되며, 침엽수종의 체세포배유도의 경우 배발생조직의 증식, 유지 및 체세포배 발생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Guevin and Kirby 1996: Barrett
배발생조직 유도를 위한 재료인 미숙종자는 충북 충주에 위치한 국립산림품종관리 센터 내 낙엽송클론 채종원에서 7월초 풍매 미숙구과를 채취하여 종자내의 미숙배를 분리한 다음 배양하였다. 종자표면 살균은 70% 에탄올로 1분간 처리 후 2% NaClO로 10분정도 침적한 다음 멸균증류수로 수 차례 세척 후 배양에 이용하였다.
배발생조직 유도는 LM (Litvay
체세포배 유도를 위한 기본배지 조성은 염류의 반을 줄인 ½LM 배지에 250 mg/L L-Glutamine가 첨가된 액체배지에 증식시킨 배발생조직을 현탁배양 한 후 5.5 cm 크기의 종이필터(Whatman)위로 세포농도가 90 mg이 포함된 3 ml 정도의 세포현탁액을 깔아준 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약 5초간 액체배지만을 제거하였다. 그 후 배발생조직이 포함된 종이필터를 60 uM, 0.2 M maltose 및 0.8% gellan gum이 첨가한 반고형 배지에 치상하여 체세포배를 발생시켰다. 배양조건은 25±1°C, 암소에서 8주간 새로운 배지로의 교환 없이 연속배양법으로 이루어졌다.
배발생조직 증식에 영향하는 L-Glutamine과 CH 두 종류의 유기질소원을 비교하였다. 각 농도는 0, 250, 500, 1,000 mg/L를 단독 첨가 혹은 L-Glutamine과 CH를 각각 250, 500 mg/L를 혼합 처리한 총 9조합을 처리하였다. L-Glutamine은 0.22 uM 필터로 여과 멸균하여 배지 온도가 50°C로 식었을 때 첨가하였다. 처리구 별 배발생조직 증식량은 최초 배양 후 2주후 측정하였고, 4주후에도 처리구 별로 조직생중량을 재 측정하였다.
체세포배 유도 시 옥신 및 사이토키닌류의 식물생장조절물질 첨가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 비교된 옥신 류로서는 NAA 및 IBA를 각각 0.2 mg/L를 첨가하였고, 싸이토키닌 류 또한 BA 및 Kinetin을 0.2 mg/L로 각각 첨가하였다. 체세포배 유도효과는 배양 8주 후에 해부현미경 하에서 자엽단계 이상의 체세포배 만을 선별하여 조사하였다.
IBA를 0 ~ 5.0 mg/L까지 총 7종류의 농도로 첨가하였고, 체세포배 유도효과는 배양 8주 후에 해부현미경 하에서 자엽단계 이상의 체세포배 만을 선별하여 조사하였다.
Figure 1은 CH 단독 및 혼합 등의 9처리 농도 별 첨가에 따른 배발생조직의 생중량 변화를 비교를 한 것으로 2주배양 시 1,000 mg/L L-Glutamine처리구에서 4.7 g으로 가장 높은 증가량을 보였으며 0 혹은 250 mg L-Glutamine 처리구에서 각각 2.2 및 1.9 g을 보여 비슷한 증가량을 보였다. 4주배양 후 결과에서는 1,000 mg L-Glutamine처리구에서 7.1 g으로 2주때와 동일한 최대 증가량을 보였으며 250 mg/L CH처리구에서 또한 6.3 g을 보여 조직생장에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Fig. 1). L-Glutamine의 경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직증식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CH의 경우 다소 감소함을 보여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L-Glutamine과 CH혼합처리구는 농도에 관계없이 거의 유사한 조직증식량을 보였으며, CH 500 및 1,000 mg처리구의 조직증식량과도 유사하게 나타났다(Fig. 1).
Effect of various concentrations/combinations of organic nitrogen sources on tissue proliferation in
L-Glutamine 혹은 CH와 같은 유기질소원을 첨가 시 배발생조직 증식 효과는 수종에 따라 다양하게 그 효과가 보고되고 있는데
체세포배 유도 시 4종류의 식물생장조절물질 첨가 효과를 조사한 것으로서 최대 체세포배 유도는 0.2 mg/L IBA첨가 시 426.3개로 나타났으며(Fig. 2, 3), 0.2 mg/L BA 혹은 Kinetin 처리구에서는 전혀 유도되지 않아 첨가효과가 없었다. 본 실험의 경우 최대 체세포배 유도는 싸이토키닌 류 첨가구에서는 전혀 유도되지 않았지만
Effect of various concentrations and types of auxins on somatic embryo production in
Comparison of somatic embryo production of
Figure 4는 Figure 2의 결과를 바탕으로 IBA농도를 0.1 ~ 5.0 mg/L까지 세분하여 조사한 결과 최대 체세포배 유도는 Figure 2에서와 마찬가지로 0.2 mg/L 첨가구에서 303.6개(/90 mg 조직)로 가장 높았다(Fig. 3), 다음으로는 1.0 mg/L 처리구에서 281개로 높은 유도수를 보였고 5.0 mg/L 첨가구에서는 109.3개로 가장 저조하였으며, 1.0 mg/L 이상의 농도에서 점차 체세포배 유도 수 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Fig. 4). 첨가된 IBA 농도에 따라 체세포배 유도 효율에 따른 보고는 수종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Effect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IBA on somatic embryo production in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5; 42(4): 376-379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5 https://doi.org/10.5010/JPB.2015.42.4.376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김용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공학과
Yong Wook Kim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FRI), Division of Forest Biotechnology, Suwon, Korea
Correspondence to: Y.-W. Kim e-mail: bravekim@korea.k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and concentrations of organic nitrogen sources (L-Glutamine and casein hydrolysate, CH) and plant growth regulators (auxins and cytokinins) on embryogenic tissue proliferation and somatic embryo production in
Keywords: Embryogenic tissue, IBA, Japanese larch, Tissue growth
일본잎갈나무(
낙엽송의 클론증식은 삽목방법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삽목에 사용되는 삽수는 모수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발근율은 현저히 감소하며, 유령목(幼齡木)의 삽수를 이용할 경우 그 삽목묘는 몇 년 간 사향성(斜向性)생장을 보이는 단점이 있다. 또한 클론 간에 따라 발근율 차이가 커 일정한 양의 클론묘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없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조직배양 기술을 통한 우량개체의 번식이 시도되고 있는데 그 중 체세포배 유도법을 이용한 식물체생산이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는 기술이다(Lelu and Paques 2009). 그중
L-Glutamine 등은 유기질소원으로서 식물의 유기질소원으로 널리 이용되며, 침엽수종의 체세포배유도의 경우 배발생조직의 증식, 유지 및 체세포배 발생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Guevin and Kirby 1996: Barrett
배발생조직 유도를 위한 재료인 미숙종자는 충북 충주에 위치한 국립산림품종관리 센터 내 낙엽송클론 채종원에서 7월초 풍매 미숙구과를 채취하여 종자내의 미숙배를 분리한 다음 배양하였다. 종자표면 살균은 70% 에탄올로 1분간 처리 후 2% NaClO로 10분정도 침적한 다음 멸균증류수로 수 차례 세척 후 배양에 이용하였다.
배발생조직 유도는 LM (Litvay
체세포배 유도를 위한 기본배지 조성은 염류의 반을 줄인 ½LM 배지에 250 mg/L L-Glutamine가 첨가된 액체배지에 증식시킨 배발생조직을 현탁배양 한 후 5.5 cm 크기의 종이필터(Whatman)위로 세포농도가 90 mg이 포함된 3 ml 정도의 세포현탁액을 깔아준 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약 5초간 액체배지만을 제거하였다. 그 후 배발생조직이 포함된 종이필터를 60 uM, 0.2 M maltose 및 0.8% gellan gum이 첨가한 반고형 배지에 치상하여 체세포배를 발생시켰다. 배양조건은 25±1°C, 암소에서 8주간 새로운 배지로의 교환 없이 연속배양법으로 이루어졌다.
배발생조직 증식에 영향하는 L-Glutamine과 CH 두 종류의 유기질소원을 비교하였다. 각 농도는 0, 250, 500, 1,000 mg/L를 단독 첨가 혹은 L-Glutamine과 CH를 각각 250, 500 mg/L를 혼합 처리한 총 9조합을 처리하였다. L-Glutamine은 0.22 uM 필터로 여과 멸균하여 배지 온도가 50°C로 식었을 때 첨가하였다. 처리구 별 배발생조직 증식량은 최초 배양 후 2주후 측정하였고, 4주후에도 처리구 별로 조직생중량을 재 측정하였다.
체세포배 유도 시 옥신 및 사이토키닌류의 식물생장조절물질 첨가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 비교된 옥신 류로서는 NAA 및 IBA를 각각 0.2 mg/L를 첨가하였고, 싸이토키닌 류 또한 BA 및 Kinetin을 0.2 mg/L로 각각 첨가하였다. 체세포배 유도효과는 배양 8주 후에 해부현미경 하에서 자엽단계 이상의 체세포배 만을 선별하여 조사하였다.
IBA를 0 ~ 5.0 mg/L까지 총 7종류의 농도로 첨가하였고, 체세포배 유도효과는 배양 8주 후에 해부현미경 하에서 자엽단계 이상의 체세포배 만을 선별하여 조사하였다.
Figure 1은 CH 단독 및 혼합 등의 9처리 농도 별 첨가에 따른 배발생조직의 생중량 변화를 비교를 한 것으로 2주배양 시 1,000 mg/L L-Glutamine처리구에서 4.7 g으로 가장 높은 증가량을 보였으며 0 혹은 250 mg L-Glutamine 처리구에서 각각 2.2 및 1.9 g을 보여 비슷한 증가량을 보였다. 4주배양 후 결과에서는 1,000 mg L-Glutamine처리구에서 7.1 g으로 2주때와 동일한 최대 증가량을 보였으며 250 mg/L CH처리구에서 또한 6.3 g을 보여 조직생장에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Fig. 1). L-Glutamine의 경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직증식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CH의 경우 다소 감소함을 보여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L-Glutamine과 CH혼합처리구는 농도에 관계없이 거의 유사한 조직증식량을 보였으며, CH 500 및 1,000 mg처리구의 조직증식량과도 유사하게 나타났다(Fig. 1).
Effect of various concentrations/combinations of organic nitrogen sources on tissue proliferation in
L-Glutamine 혹은 CH와 같은 유기질소원을 첨가 시 배발생조직 증식 효과는 수종에 따라 다양하게 그 효과가 보고되고 있는데
체세포배 유도 시 4종류의 식물생장조절물질 첨가 효과를 조사한 것으로서 최대 체세포배 유도는 0.2 mg/L IBA첨가 시 426.3개로 나타났으며(Fig. 2, 3), 0.2 mg/L BA 혹은 Kinetin 처리구에서는 전혀 유도되지 않아 첨가효과가 없었다. 본 실험의 경우 최대 체세포배 유도는 싸이토키닌 류 첨가구에서는 전혀 유도되지 않았지만
Effect of various concentrations and types of auxins on somatic embryo production in
Comparison of somatic embryo production of
Figure 4는 Figure 2의 결과를 바탕으로 IBA농도를 0.1 ~ 5.0 mg/L까지 세분하여 조사한 결과 최대 체세포배 유도는 Figure 2에서와 마찬가지로 0.2 mg/L 첨가구에서 303.6개(/90 mg 조직)로 가장 높았다(Fig. 3), 다음으로는 1.0 mg/L 처리구에서 281개로 높은 유도수를 보였고 5.0 mg/L 첨가구에서는 109.3개로 가장 저조하였으며, 1.0 mg/L 이상의 농도에서 점차 체세포배 유도 수 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Fig. 4). 첨가된 IBA 농도에 따라 체세포배 유도 효율에 따른 보고는 수종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Effect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IBA on somatic embryo production in
Effect of various concentrations/combinations of organic nitrogen sources on tissue proliferation in
Effect of various concentrations and types of auxins on somatic embryo production in
Comparison of somatic embryo production of
Effect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IBA on somatic embryo production in
Tae-Dong Kim·Nam-Ho Kim ·Eung-Jun Park ·Na-Nyum Lee
J Plant Biotechnol 2021; 48(1): 54-61Tae-Dong Kim · Ji-Ah Kim · Na-Nyum Lee · Chang-Ho Choi
J Plant Biotechnol 2020; 47(1): 40-45Yong-Wook Kim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5; 42(3): 223-227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Effect of various concentrations/combinations of organic nitrogen sources on tissue proliferation in
Effect of various concentrations and types of auxins on somatic embryo production in
Comparison of somatic embryo production of
Effect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IBA on somatic embryo production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