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Plant Biotechnol 2020; 47(2): 157-163
Published online June 30, 2020
https://doi.org/10.5010/JPB.2020.47.2.157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박형철 · 전현진 · 김민철 · 이신우 · 정우식
국립생태원 보전평가연구본부 기후생태연구실 취약생태연구팀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식물분자생물학 및 유전자조작 연구소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생명과학대학 농학・한약자원학부
Correspondence to : e-mail: chungws@gnu.ac.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almodulin (CaM) mediates cellular Ca2+ signals in the defense responses of plants. We previously reported that GmCaM-4 and 5 are involved in salicylic acid- independent activation of disease resistance responses in soybean (Glycine max). Here, we generated a GmCaM-4 cDNA construct under the control of the cauliflower mosaic virus (CaMV) 35S promoter and transformed this construct into potato (Solanum tuberosum L.). The constitutive over-expression of GmCaM-4 in potato induced high-level expression of pathogenesis-related (PR) genes, such as PR-2, PR-3, PR-5,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and proteinase inhibitorII (pinII). In addition, the transgenic potato plants exhibited enhanced resistance against a bacterial pathogen, Erwinia carotovora ssp. Carotovora (ECC), that causes soft rot disease and showed spontaneous lesion phenotypes on their leaves.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a CaM protein in soybean, GmCaM-4,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sponse of potato plants to pathogen defense signaling.
Keywords Calmodulin, Disease resistance, Erwinia (soft rot), Pathogen-related gene, Potato
지구온난화는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환경문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으며 19세기에서 20세기의 약 100년 동안 지구의 평균온도는 0.3~0.6°C 정도 상승하였으며, 한반도 내륙에서는 지난 100년 동안 기온이 약 1.4°C 상승하였다(Korea Meterological Admistration 2008). 이는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률의 2배에 이르는 수치이다. 이와 같은 현상에 의하여 폭우, 지진, 한파, 태풍과 같은 기상이변은 농작물의 생산력을 예측 할 수 없게 만들어 인류의 생존에 크나큰 위협으로 다가올 것이다. 또한, 병충해의 성장을 빠르게 할 뿐만 아니라 이동을 자유롭게 하여 농업생태계의 큰 피해를 확산 시킬 것이다. 이와함께, 병충해에 의한 농작물 손실의 감소를 위한 광범위한 화학비료와 농약의 의존은 다양한 내성 병원균들의 발생을 유도하여 최종적으로 더욱 심각한 농작물의 피해가 발생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작물의 병 저항성 적응 기작 연구를 통한 유용 유전자의 확보와 활용을 통한 생산량 증대와 같은 농업생태계의 지속성 및 생태적 다양성 확보가 필요하다.
식물은 동물과 달리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병원균으로 부터 공격받게 되면 정교한 기작을 통하여 지역적이고 조직적으로 방어 기작을 작동하게 된다(Jackson and Tayler 1996). 우선적으로 식물체에 병원균이 공격하게 되면 그 지역의 세포가 자체적으로 사멸 하게 된다. 이것을 초민감성 세포사멸(HR; hypersensitive response)이라 부른다(Goodman et al. 1994). 이를 신호로하여 병원균이 직접 침입하지 않은 부위에 광범위 저항성을 확보하는 전신획득 저항성(SAR; system acquired resistance)을 나타내게 된다(Ryals et al. 1996). 이것은 병원균이 침입하였을 때 기초 병저항성(basal defense)을 갖도록 하며 최종적으로 phytoalexin과 같은 항균성 물질을 생산하거나 병저항성 단백질(PR proteins; pathogenesis-related proteins)을 축적하여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을 획득하게 된다. 또한, 식물체가 병원균에 저항성을 갖기위해서는 식물세포의 수용체가 신속하게 병원균을 인식하고 신호전달체계가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반응의 초기단계에서 칼슘(Ca2+) 신호가 관여하게 된다(Dixon et al. 1994).
칼슘신호는 식물세포에서 병원균의 침입 뿐만 아니라 적색광, 저온, 접촉 및 중력과 같은 비생물학적 반응에서도 이차매개체로 작용하여 다양한 신호전달 체계를 구축하게 된다(Bush 1995). 다양한 환경에 대응하여 세포질내 칼슘의 농도가 고도(amplitude), 빈도(frequency), 기간(duration), 공간적 분포(spatial distribution)에 따라 많은 경우의 신호전달체계가 작동한다(McAinsh and Hetherington 1998; McAinsh and Pittman 2009). 이와 같은 다양한 칼슘 신호는 세포내의 칼슘 센서로 작용하며 칼슘 결합 부위(EF-hand motif)를 가지고 있는 칼슘 결합 단백질에 의해서 생화학적 변화들로 해독된다. 모델식물인 애기장대에서 약 250개 정도의 칼슘 결합 부위를 가진 단백질의 존재가 보고된다(Day et al. 2002). 식물에서 대표적인 칼슘 결합 단백질은 크게 세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으며 첫번째로 가장 잘 알려진 부류는 칼모듈린(calmodulun; CaM)이며 모든 진핵생물에서 잘 보고되어 있다(Snedden and Fromm 2001; Yang and Poovaiah 2003). 두번째로 calcium- dependent protein kinase (CDPK) 단백질로써 catalytic kinase domain과 칼슘 결합 부위를 함께 가지고 있다(Cheng et al. 2002). 세번째 그룹은 SOS3 family이며 calcineurin B-like protein (CBL)으로도 알려진다(Luan et al. 2002; Zhu 2002). 위와 같은 칼슘센서는 구조 및 효소활성의 변화를 통하여 이온수송, 대사, 번역후 단백질 조절 그리고 유전자 발현을 포함하는 세포과정에 관여하는 목적 단백질의 기능 조절을 위하여 칼슘신호를 전달하게 된다(Kim et al. 2009).
칼모듈린은 위의 세가지 칼슘 결합 단백질 중에서 가장 잘 연구되고 보고된 그룹이다. 보통적으로 148개의 아미노산으로 4개의 칼슘 결합 부위(EF-hand motif)로 구성되어 있다. 칼슘이 칼모듈린에 결합하게 되면 구조적인 변화가 유도되어 칼모듈린과 결합하는 단백질들과 유리하게 결합 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된다(Hoeflich and Ikura 2002; Snedden and Fromm 1998). 칼모듈린은 효소 활성은 없지만 칼슘과 결합한 후 다양한 목적 단백질(target protein)의 활성을 조절하여 세포 신호전달에 관여하게 된다. 특히, 대사조절, 세포골격조절, 식물호르몬 신호전달, 이온수송, 단백질 접힘, 단백질 인산화/탈인산화, 인지질 대사, 그리고 전사조절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세포신호전달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된다(Bouché et al. 2005; Snedden and Fromm 2001; Yang and Poovaiah 2003). 포유동물에서는 소수의 칼모듈린이 보고되고 있지만 식물에서는 많은 종류의 칼모듈린 및 칼모듈린 유사 유전자의 존재가 보고 된다(Snedden and Fromm 2001; Reddy 2001). 애기장대에서 30개가 넘는 칼모듈린 유전자가 있으며, 감자, 밀, 담배 그리고 대두 등에서도 다양한 형태(isoform)의 칼모듈린이 존재함을 보였다(Lee et al. 1995; Takezawa et al. 1995; Poovaiah et al. 1996; Yang et al. 1996; The Arabidopsis Genome Initiative 2000).
대두에서는 GmCaM-1부터 GmCaM-5의 5개의 칼모듈린이 존재하며 아미노산 유사성과 기능에서의 차이로 크게 두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아미노산을 비교해 보면, GmCaM-1에서 GmCaM-3는 동물의 칼모듈린과 96% 정도의 유사성을 보여주며 GmCaM-4와 GmCaM-5는 GmCaM-1과 비교해서 78%의 낮은 아미노산 유사성을 보여 줌으로써 지금까지 보고된 칼모듈린 중에서 담배의 NtCaM13과 함께 하나의 독립된 그룹으로 분류되고 있다(Lee et al. 1995; Yamakawa et al. 2001). 또한, 위의 두 그룹에서 대표되는 GmCaM-1과 GmCaM-4의 목적 단백질 활성의 차이를 보였다(Cho et al. 1998; Chung et al. 2000; Kondo et al. 1999; Lee et al. 2000). Phosphodiesterase, 식물 Ca2+-ATPase, 식물 Glu decarboxylase 그리고 CaM-dependent protein kinase II와 같은 목적 단백질은 GmCaM-1과 GmCaM-4에 의해서 유사한 양상의 효소 활성을 보였다. Calcineurin, myosin light chain kinase, red blood cell Ca2+-ATPase, 그리고 식물 NAD kinase와 같은 목적 단백질은 오직 GmCaM-1 단백질에 의해서 효소 활성을 보였으며, nitric- oxide synthase의 경우는 GmCaM-4 단백질에 의해서만 효소 활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두의 대표적인 두개의 칼모듈린이 아미노산 유사성 뿐만 아니라 효소활성 측면에서도 차이를 보임으로써 각각의 칼모듈린 기능의 다양성을 설명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대두에서 아미노산 서열의 다양성을 보이는 GmCaM-4와 GmCaM-5는 식물체내에서 병원균의 침입에 빠르게 발현되어 salicylic acid (SA) 비의존적인 신호전달 과정에 관여하였고, MYB2 전사인자의 조절을 통하여 고염 저항성에도 관여함을 애기장대 형질전환 식물체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Heo et al. 1999; Park et al. 2004a; Yoo et al. 2005).
대두의 GmCaM-4는 세포 신호전달과정에서 생물학적 및 비생물학적 환경스트레스에 관여하는 단백질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그러므로, 환경스트레스에 반응하는 GmCaM-4의 전사조절부위(promoter)의 기능 및 기작 연구가 보고되었다. 특히, 병원균과 고염에 반응 하는 전사조절 부위(-1207 to -1128 bp; -858 to -728 bp)에 결합하는 각각 ZF-HD 와 GT-1 like전사조절인자를 확인하였다(Park et al. 2004b; 2007; 2009; 2010). 이와 같은 다양한 결과를 바탕으로 GmCaM-4를 작물에 활용하기 위하여, 감자 형질전환 식물체의 무름병 저항성 및 농업적 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Sohn et al. 2012). 본 연구에서는 대두에서 분리된 환경스트레스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GmCaM-4의 감자 형질전환 식물체 구축 및 병 저항성 관여 유전자들의 발현에 따른 감자 형질전환 식물체의 초민감성 세포사멸(HR)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식량작물인 감자를 이용하여
대두로 부터 분리된
Table 1 Gene-specific primer sequences used for RT-PCR in this study
Primer names | Primer sequences (5’→3’) |
---|---|
TGCATTACTGTGGAAGAACTTG | |
CATCACCGTCCAAATCTGC | |
CTGCTGAGGCTGTGGACATG | |
AGAGCAACTCTTGCACTCTCC | |
CAACTTGCCATCACATTCCG | |
TCGATAGGTCCAGGCTTTCTC | |
CCAGGTAATTGCCAGAGCCA | |
GGTGATGACATCGTGGCAAG | |
TCAGTAGGACCACATGACCCTG | |
GTCACTCATGCTGCCACTTTTG | |
GCTGCCACTATCGAGGTACG | |
TCTTCATCACTTGCAGGCATC | |
CATGTTGATGCGAAGGCTTG | |
CCTTGGGCTCATCACTCTCTC |
형질전환된 감자에서
초민감성 세포사멸 분석을 위하여
대두 칼모듈린, GmCaM-4 단백질의 다양한 기능 및 기작은 잘 보고 되었다(Gifford et al. 2013).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작물에 환경저항성 증가를 위한 유전자의 활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Rao et al. 2014). 중요한 식량자원인 감자에 병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최종적으로 형질전환된 감자에서 GmCaM-4의 기능을 통하여
급속한 산업화와 인구증가에 따른 심각한 환경과 식량문제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가장 중요한 현안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인구 증가에 따른 식량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농약과 화학비료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하여 농토는 산성화되어 황폐화가 되고 있고 먹이사슬 및 자연생태계의 파괴는 더 많은 농약의 사용을 필요하고 있다. 과다한 농약 사용으로 경제적인 부담의 가중과 잔류 농약으로 인한 소비자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또한, 증가된 화석연료의 사용은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를 증가시켜 지구 온도의 상승을 초래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기상이변, 지구온난화 및 사막화 등의 심각한 환경문제를 초래했다. 특히, 서늘한 기온에서 잘 자라는 배추, 무우, 감자 등의 고령지 농작물의 질적인 저하를 초래하여 피해가 증가하고 있지만, 최근들어 감자와 같은 알카리성 건강식품의 붐으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환경스트레스에 관여하는 대두의 특이적인 칼모듈린,
본 연구는 국립생태원의 기후변화 대응 구상나무의 분자생태학적 연구 과제(NIE-C-2020-15)와 농촌진흥청 차세대바이오그린21 사업 연구비(No. PJ01325401)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J Plant Biotechnol 2020; 47(2): 157-163
Published online June 30, 2020 https://doi.org/10.5010/JPB.2020.47.2.157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박형철 · 전현진 · 김민철 · 이신우 · 정우식
국립생태원 보전평가연구본부 기후생태연구실 취약생태연구팀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식물분자생물학 및 유전자조작 연구소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생명과학대학 농학・한약자원학부
Hyeong Cheol Park ·Hyun Jin Chun ·Min Chul Kim·Sin Woo Lee ·Woo Sik Chung
Team of Vulnerable Ecological Research, Division of Climate and Ecology, Bureau of Conservation & Assessment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33657, Korea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BK21 Plus Program), Plant Molecular Biology and Biotechnology Research Center,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Republic of Korea
Department of Agronomy & Medicinal Plant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Jinju 52725, Korea
Correspondence to:e-mail: chungws@gnu.ac.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almodulin (CaM) mediates cellular Ca2+ signals in the defense responses of plants. We previously reported that GmCaM-4 and 5 are involved in salicylic acid- independent activation of disease resistance responses in soybean (Glycine max). Here, we generated a GmCaM-4 cDNA construct under the control of the cauliflower mosaic virus (CaMV) 35S promoter and transformed this construct into potato (Solanum tuberosum L.). The constitutive over-expression of GmCaM-4 in potato induced high-level expression of pathogenesis-related (PR) genes, such as PR-2, PR-3, PR-5,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and proteinase inhibitorII (pinII). In addition, the transgenic potato plants exhibited enhanced resistance against a bacterial pathogen, Erwinia carotovora ssp. Carotovora (ECC), that causes soft rot disease and showed spontaneous lesion phenotypes on their leaves.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a CaM protein in soybean, GmCaM-4,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sponse of potato plants to pathogen defense signaling.
Keywords: Calmodulin, Disease resistance, Erwinia (soft rot), Pathogen-related gene, Potato
지구온난화는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환경문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으며 19세기에서 20세기의 약 100년 동안 지구의 평균온도는 0.3~0.6°C 정도 상승하였으며, 한반도 내륙에서는 지난 100년 동안 기온이 약 1.4°C 상승하였다(Korea Meterological Admistration 2008). 이는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률의 2배에 이르는 수치이다. 이와 같은 현상에 의하여 폭우, 지진, 한파, 태풍과 같은 기상이변은 농작물의 생산력을 예측 할 수 없게 만들어 인류의 생존에 크나큰 위협으로 다가올 것이다. 또한, 병충해의 성장을 빠르게 할 뿐만 아니라 이동을 자유롭게 하여 농업생태계의 큰 피해를 확산 시킬 것이다. 이와함께, 병충해에 의한 농작물 손실의 감소를 위한 광범위한 화학비료와 농약의 의존은 다양한 내성 병원균들의 발생을 유도하여 최종적으로 더욱 심각한 농작물의 피해가 발생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작물의 병 저항성 적응 기작 연구를 통한 유용 유전자의 확보와 활용을 통한 생산량 증대와 같은 농업생태계의 지속성 및 생태적 다양성 확보가 필요하다.
식물은 동물과 달리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병원균으로 부터 공격받게 되면 정교한 기작을 통하여 지역적이고 조직적으로 방어 기작을 작동하게 된다(Jackson and Tayler 1996). 우선적으로 식물체에 병원균이 공격하게 되면 그 지역의 세포가 자체적으로 사멸 하게 된다. 이것을 초민감성 세포사멸(HR; hypersensitive response)이라 부른다(Goodman et al. 1994). 이를 신호로하여 병원균이 직접 침입하지 않은 부위에 광범위 저항성을 확보하는 전신획득 저항성(SAR; system acquired resistance)을 나타내게 된다(Ryals et al. 1996). 이것은 병원균이 침입하였을 때 기초 병저항성(basal defense)을 갖도록 하며 최종적으로 phytoalexin과 같은 항균성 물질을 생산하거나 병저항성 단백질(PR proteins; pathogenesis-related proteins)을 축적하여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을 획득하게 된다. 또한, 식물체가 병원균에 저항성을 갖기위해서는 식물세포의 수용체가 신속하게 병원균을 인식하고 신호전달체계가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반응의 초기단계에서 칼슘(Ca2+) 신호가 관여하게 된다(Dixon et al. 1994).
칼슘신호는 식물세포에서 병원균의 침입 뿐만 아니라 적색광, 저온, 접촉 및 중력과 같은 비생물학적 반응에서도 이차매개체로 작용하여 다양한 신호전달 체계를 구축하게 된다(Bush 1995). 다양한 환경에 대응하여 세포질내 칼슘의 농도가 고도(amplitude), 빈도(frequency), 기간(duration), 공간적 분포(spatial distribution)에 따라 많은 경우의 신호전달체계가 작동한다(McAinsh and Hetherington 1998; McAinsh and Pittman 2009). 이와 같은 다양한 칼슘 신호는 세포내의 칼슘 센서로 작용하며 칼슘 결합 부위(EF-hand motif)를 가지고 있는 칼슘 결합 단백질에 의해서 생화학적 변화들로 해독된다. 모델식물인 애기장대에서 약 250개 정도의 칼슘 결합 부위를 가진 단백질의 존재가 보고된다(Day et al. 2002). 식물에서 대표적인 칼슘 결합 단백질은 크게 세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으며 첫번째로 가장 잘 알려진 부류는 칼모듈린(calmodulun; CaM)이며 모든 진핵생물에서 잘 보고되어 있다(Snedden and Fromm 2001; Yang and Poovaiah 2003). 두번째로 calcium- dependent protein kinase (CDPK) 단백질로써 catalytic kinase domain과 칼슘 결합 부위를 함께 가지고 있다(Cheng et al. 2002). 세번째 그룹은 SOS3 family이며 calcineurin B-like protein (CBL)으로도 알려진다(Luan et al. 2002; Zhu 2002). 위와 같은 칼슘센서는 구조 및 효소활성의 변화를 통하여 이온수송, 대사, 번역후 단백질 조절 그리고 유전자 발현을 포함하는 세포과정에 관여하는 목적 단백질의 기능 조절을 위하여 칼슘신호를 전달하게 된다(Kim et al. 2009).
칼모듈린은 위의 세가지 칼슘 결합 단백질 중에서 가장 잘 연구되고 보고된 그룹이다. 보통적으로 148개의 아미노산으로 4개의 칼슘 결합 부위(EF-hand motif)로 구성되어 있다. 칼슘이 칼모듈린에 결합하게 되면 구조적인 변화가 유도되어 칼모듈린과 결합하는 단백질들과 유리하게 결합 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된다(Hoeflich and Ikura 2002; Snedden and Fromm 1998). 칼모듈린은 효소 활성은 없지만 칼슘과 결합한 후 다양한 목적 단백질(target protein)의 활성을 조절하여 세포 신호전달에 관여하게 된다. 특히, 대사조절, 세포골격조절, 식물호르몬 신호전달, 이온수송, 단백질 접힘, 단백질 인산화/탈인산화, 인지질 대사, 그리고 전사조절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세포신호전달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된다(Bouché et al. 2005; Snedden and Fromm 2001; Yang and Poovaiah 2003). 포유동물에서는 소수의 칼모듈린이 보고되고 있지만 식물에서는 많은 종류의 칼모듈린 및 칼모듈린 유사 유전자의 존재가 보고 된다(Snedden and Fromm 2001; Reddy 2001). 애기장대에서 30개가 넘는 칼모듈린 유전자가 있으며, 감자, 밀, 담배 그리고 대두 등에서도 다양한 형태(isoform)의 칼모듈린이 존재함을 보였다(Lee et al. 1995; Takezawa et al. 1995; Poovaiah et al. 1996; Yang et al. 1996; The Arabidopsis Genome Initiative 2000).
대두에서는 GmCaM-1부터 GmCaM-5의 5개의 칼모듈린이 존재하며 아미노산 유사성과 기능에서의 차이로 크게 두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아미노산을 비교해 보면, GmCaM-1에서 GmCaM-3는 동물의 칼모듈린과 96% 정도의 유사성을 보여주며 GmCaM-4와 GmCaM-5는 GmCaM-1과 비교해서 78%의 낮은 아미노산 유사성을 보여 줌으로써 지금까지 보고된 칼모듈린 중에서 담배의 NtCaM13과 함께 하나의 독립된 그룹으로 분류되고 있다(Lee et al. 1995; Yamakawa et al. 2001). 또한, 위의 두 그룹에서 대표되는 GmCaM-1과 GmCaM-4의 목적 단백질 활성의 차이를 보였다(Cho et al. 1998; Chung et al. 2000; Kondo et al. 1999; Lee et al. 2000). Phosphodiesterase, 식물 Ca2+-ATPase, 식물 Glu decarboxylase 그리고 CaM-dependent protein kinase II와 같은 목적 단백질은 GmCaM-1과 GmCaM-4에 의해서 유사한 양상의 효소 활성을 보였다. Calcineurin, myosin light chain kinase, red blood cell Ca2+-ATPase, 그리고 식물 NAD kinase와 같은 목적 단백질은 오직 GmCaM-1 단백질에 의해서 효소 활성을 보였으며, nitric- oxide synthase의 경우는 GmCaM-4 단백질에 의해서만 효소 활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두의 대표적인 두개의 칼모듈린이 아미노산 유사성 뿐만 아니라 효소활성 측면에서도 차이를 보임으로써 각각의 칼모듈린 기능의 다양성을 설명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대두에서 아미노산 서열의 다양성을 보이는 GmCaM-4와 GmCaM-5는 식물체내에서 병원균의 침입에 빠르게 발현되어 salicylic acid (SA) 비의존적인 신호전달 과정에 관여하였고, MYB2 전사인자의 조절을 통하여 고염 저항성에도 관여함을 애기장대 형질전환 식물체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Heo et al. 1999; Park et al. 2004a; Yoo et al. 2005).
대두의 GmCaM-4는 세포 신호전달과정에서 생물학적 및 비생물학적 환경스트레스에 관여하는 단백질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그러므로, 환경스트레스에 반응하는 GmCaM-4의 전사조절부위(promoter)의 기능 및 기작 연구가 보고되었다. 특히, 병원균과 고염에 반응 하는 전사조절 부위(-1207 to -1128 bp; -858 to -728 bp)에 결합하는 각각 ZF-HD 와 GT-1 like전사조절인자를 확인하였다(Park et al. 2004b; 2007; 2009; 2010). 이와 같은 다양한 결과를 바탕으로 GmCaM-4를 작물에 활용하기 위하여, 감자 형질전환 식물체의 무름병 저항성 및 농업적 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Sohn et al. 2012). 본 연구에서는 대두에서 분리된 환경스트레스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GmCaM-4의 감자 형질전환 식물체 구축 및 병 저항성 관여 유전자들의 발현에 따른 감자 형질전환 식물체의 초민감성 세포사멸(HR)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식량작물인 감자를 이용하여
대두로 부터 분리된
Table 1 . Gene-specific primer sequences used for RT-PCR in this study.
Primer names | Primer sequences (5’→3’) |
---|---|
TGCATTACTGTGGAAGAACTTG | |
CATCACCGTCCAAATCTGC | |
CTGCTGAGGCTGTGGACATG | |
AGAGCAACTCTTGCACTCTCC | |
CAACTTGCCATCACATTCCG | |
TCGATAGGTCCAGGCTTTCTC | |
CCAGGTAATTGCCAGAGCCA | |
GGTGATGACATCGTGGCAAG | |
TCAGTAGGACCACATGACCCTG | |
GTCACTCATGCTGCCACTTTTG | |
GCTGCCACTATCGAGGTACG | |
TCTTCATCACTTGCAGGCATC | |
CATGTTGATGCGAAGGCTTG | |
CCTTGGGCTCATCACTCTCTC |
형질전환된 감자에서
초민감성 세포사멸 분석을 위하여
대두 칼모듈린, GmCaM-4 단백질의 다양한 기능 및 기작은 잘 보고 되었다(Gifford et al. 2013).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작물에 환경저항성 증가를 위한 유전자의 활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Rao et al. 2014). 중요한 식량자원인 감자에 병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최종적으로 형질전환된 감자에서 GmCaM-4의 기능을 통하여
급속한 산업화와 인구증가에 따른 심각한 환경과 식량문제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가장 중요한 현안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인구 증가에 따른 식량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농약과 화학비료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하여 농토는 산성화되어 황폐화가 되고 있고 먹이사슬 및 자연생태계의 파괴는 더 많은 농약의 사용을 필요하고 있다. 과다한 농약 사용으로 경제적인 부담의 가중과 잔류 농약으로 인한 소비자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또한, 증가된 화석연료의 사용은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를 증가시켜 지구 온도의 상승을 초래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기상이변, 지구온난화 및 사막화 등의 심각한 환경문제를 초래했다. 특히, 서늘한 기온에서 잘 자라는 배추, 무우, 감자 등의 고령지 농작물의 질적인 저하를 초래하여 피해가 증가하고 있지만, 최근들어 감자와 같은 알카리성 건강식품의 붐으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환경스트레스에 관여하는 대두의 특이적인 칼모듈린,
본 연구는 국립생태원의 기후변화 대응 구상나무의 분자생태학적 연구 과제(NIE-C-2020-15)와 농촌진흥청 차세대바이오그린21 사업 연구비(No. PJ01325401)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Table 1 . Gene-specific primer sequences used for RT-PCR in this study.
Primer names | Primer sequences (5’→3’) |
---|---|
TGCATTACTGTGGAAGAACTTG | |
CATCACCGTCCAAATCTGC | |
CTGCTGAGGCTGTGGACATG | |
AGAGCAACTCTTGCACTCTCC | |
CAACTTGCCATCACATTCCG | |
TCGATAGGTCCAGGCTTTCTC | |
CCAGGTAATTGCCAGAGCCA | |
GGTGATGACATCGTGGCAAG | |
TCAGTAGGACCACATGACCCTG | |
GTCACTCATGCTGCCACTTTTG | |
GCTGCCACTATCGAGGTACG | |
TCTTCATCACTTGCAGGCATC | |
CATGTTGATGCGAAGGCTTG | |
CCTTGGGCTCATCACTCTCTC |
Ju-Ryeon Jo ・Tae-Ho Park
J Plant Biotechnol 2024; 51(1): 158-166Ju-Ryeon Jo ・Tae-Ho Park
J Plant Biotechnol 2024; 51(1): 143-151Seoyeon Son ・Tae-Ho Park
J Plant Biotechnol 2024; 51(1): 121-128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