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Plant Biotechnol 2017; 44(1): 61-68
Published online March 31, 2017
https://doi.org/10.5010/JPB.2017.44.1.061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최현모, 배은경, 최영임, 윤서경, 이효신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공학과
Correspondence to : e-mail: hyoshinlee@korea.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Keywords Drought stress, Gene expression,
식물의 생장과 생산성은 생물적 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건조, 고염, 고온, 저온 및 중금속 등과 같은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Atkinson and Urwin 2012). 더욱이 지구온난화와 물 소비량의 급증 등에 따른 사막화 현상이 가속화 되면서 건조와 고염 스트레스가 농업생산성을 감소시키는 가장 큰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Golldack et al. 2011). 따라서 식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에 내성이 강한 새로운 식물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최근 유전체학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을 조절하는 유전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Ballen-Taborda et al. 2013; Hirayama et al. 2010; Luo 2010; Nakashima et al. 2014).
GASA는 85 ~ 11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작은 단백질인데, 예외적으로 239개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1개의 GASA가 애기장대, 포도 그리고 포플러에서 보고되었다. GASA는 아미노 말단에 시그널 펩티드와 카르복시 말단에 12개의 시스테인 잔기를 가지고 있다(Herzog et al. 1995). 또한
현사시나무(
현사시나무의 잎에서 MegaExtractor plant genome kit (Toyobo, 일본)를 사용하여 게놈 DNA를 분리한 다음, 제한효소
배양 4일째에 ABA (abscisic acid, 20 μM), JA (jasmonic acid, 10 μM), SA (salicilic acid, 20 µM) 및 GA3 (gibberellic acid, 20 µM)을 각각 배양 배지에 첨가하고 30분 및 5시간 후에 세포를 회수하였다. 식물 호르몬을 무처리한 현탁배양세포를 대조구로 설정하여 30분과 5시간 후에 각각 회수하였다. 모든 실험은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조직특이성 분석을 위하여 잎, 줄기, 뿌리 및 엽병은 1년생 삽목묘로부터, 꽃은 25년생 나무로부터 채취하였다. Total RNA는 TRI Reagent (Molecular Research Center, 미국)를 사용하여 사용자 매뉴얼에 따라 분리하였고 cDNA를 합성하였다(PrimeScriptRT Reagent Kit with gDNA Eraser, Takara, 일본). Real-time quantitative PCR (real-time qPCR) 분석에 사용할 primer를 설계하기 위하여 Primer3 프로그램(http://fokker.wi.mit.edu)을 사용하였다. PCR 증폭산물의 정량을 위한 내부표준으로는
건조 스트레스 내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현사시나무를 24±1°C, 50% 상대 습도 및 16시간 광/8시간 암의 광주기에서 8주간 생장시켰다. 건조 처리 1일 전에 토양 수분함량이 48%가 될 때까지 물을 준 다음, 11일간 물을 주지 않고 식물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토양 수분함량은 moisture probe meter (ICT international Pty Ltd)를 사용하여 3반복으로 측정하였다. 엽록소 형광반응은 Pocket PEA chlorophyll fluorometer (Hansatech, 독일)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식물에서 보고된
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대부분의 식물에서 보고된 GASA 패밀리 단백질은 아미노 말단에 약 21 ~ 27개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시그널 펩티드와 카르복시 말단에 12개의 시스테인 잔기가 보존되어 있다. 특히, 아미노 말단에 시그널 펩티드가 존재 함으로서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로 인해 GASA 단백질이 세포 외 환경에서 작용할 것으로 추정하였다(Roxrud et al. 2007). 아미노산 서열 분석 결과 PagGASA 단백질은 아미노 말단에 시그널 펩티드(1 ~ 28번째 아미노산)와 카르복시 말단에 12개의 시스테인 잔기(37, 41, 45, 54, 58, 61, 62, 65, 67, 79, 81, 94번째 아미노산)가 존재 하였다(Fig. 1A).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한
Sequence comparisons of
현사시나무의 잎에서 분리한 genomic DNA를 제한효소
Genomic Southern blot analysis of the
애기장대에서
The tissue-specific expression level of
다른 식물에서
여러 식물에서 보고된
The expression level of
요약하면 현사시나무의
GA와 ABA가 아닌 다른 호르몬에 의해 조절되는 사례에는 애기장대의
Generation of
형질전환된 현사시나무를 이용하여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그러나 Fig. 5C의 결과를 토대로 27번 계통이 28번 계통보다
J Plant Biotechnol 2017; 44(1): 61-68
Published online March 31, 2017 https://doi.org/10.5010/JPB.2017.44.1.061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최현모, 배은경, 최영임, 윤서경, 이효신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공학과
Hyunmo Choi, Eun-Kyung Bae, Young-Im Choi, Seo-Kyung Yoon, and Hyoshin Lee
Forest Biotechn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uwon 16631, Korea
Correspondence to:e-mail: hyoshinlee@korea.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Keywords: Drought stress, Gene expression,
식물의 생장과 생산성은 생물적 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건조, 고염, 고온, 저온 및 중금속 등과 같은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Atkinson and Urwin 2012). 더욱이 지구온난화와 물 소비량의 급증 등에 따른 사막화 현상이 가속화 되면서 건조와 고염 스트레스가 농업생산성을 감소시키는 가장 큰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Golldack et al. 2011). 따라서 식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에 내성이 강한 새로운 식물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최근 유전체학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을 조절하는 유전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Ballen-Taborda et al. 2013; Hirayama et al. 2010; Luo 2010; Nakashima et al. 2014).
GASA는 85 ~ 11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작은 단백질인데, 예외적으로 239개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1개의 GASA가 애기장대, 포도 그리고 포플러에서 보고되었다. GASA는 아미노 말단에 시그널 펩티드와 카르복시 말단에 12개의 시스테인 잔기를 가지고 있다(Herzog et al. 1995). 또한
현사시나무(
현사시나무의 잎에서 MegaExtractor plant genome kit (Toyobo, 일본)를 사용하여 게놈 DNA를 분리한 다음, 제한효소
배양 4일째에 ABA (abscisic acid, 20 μM), JA (jasmonic acid, 10 μM), SA (salicilic acid, 20 µM) 및 GA3 (gibberellic acid, 20 µM)을 각각 배양 배지에 첨가하고 30분 및 5시간 후에 세포를 회수하였다. 식물 호르몬을 무처리한 현탁배양세포를 대조구로 설정하여 30분과 5시간 후에 각각 회수하였다. 모든 실험은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조직특이성 분석을 위하여 잎, 줄기, 뿌리 및 엽병은 1년생 삽목묘로부터, 꽃은 25년생 나무로부터 채취하였다. Total RNA는 TRI Reagent (Molecular Research Center, 미국)를 사용하여 사용자 매뉴얼에 따라 분리하였고 cDNA를 합성하였다(PrimeScriptRT Reagent Kit with gDNA Eraser, Takara, 일본). Real-time quantitative PCR (real-time qPCR) 분석에 사용할 primer를 설계하기 위하여 Primer3 프로그램(http://fokker.wi.mit.edu)을 사용하였다. PCR 증폭산물의 정량을 위한 내부표준으로는
건조 스트레스 내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현사시나무를 24±1°C, 50% 상대 습도 및 16시간 광/8시간 암의 광주기에서 8주간 생장시켰다. 건조 처리 1일 전에 토양 수분함량이 48%가 될 때까지 물을 준 다음, 11일간 물을 주지 않고 식물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토양 수분함량은 moisture probe meter (ICT international Pty Ltd)를 사용하여 3반복으로 측정하였다. 엽록소 형광반응은 Pocket PEA chlorophyll fluorometer (Hansatech, 독일)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식물에서 보고된
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대부분의 식물에서 보고된 GASA 패밀리 단백질은 아미노 말단에 약 21 ~ 27개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시그널 펩티드와 카르복시 말단에 12개의 시스테인 잔기가 보존되어 있다. 특히, 아미노 말단에 시그널 펩티드가 존재 함으로서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로 인해 GASA 단백질이 세포 외 환경에서 작용할 것으로 추정하였다(Roxrud et al. 2007). 아미노산 서열 분석 결과 PagGASA 단백질은 아미노 말단에 시그널 펩티드(1 ~ 28번째 아미노산)와 카르복시 말단에 12개의 시스테인 잔기(37, 41, 45, 54, 58, 61, 62, 65, 67, 79, 81, 94번째 아미노산)가 존재 하였다(Fig. 1A).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한
Sequence comparisons of
현사시나무의 잎에서 분리한 genomic DNA를 제한효소
Genomic Southern blot analysis of the
애기장대에서
The tissue-specific expression level of
다른 식물에서
여러 식물에서 보고된
The expression level of
요약하면 현사시나무의
GA와 ABA가 아닌 다른 호르몬에 의해 조절되는 사례에는 애기장대의
Generation of
형질전환된 현사시나무를 이용하여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그러나 Fig. 5C의 결과를 토대로 27번 계통이 28번 계통보다
Sequence comparisons of
Genomic Southern blot analysis of the
The tissue-specific expression level of
The expression level of
Generation of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Jeongeui Hong, Hogyum Kim, and Hojin Ryu
J Plant Biotechnol 2018; 45(4): 306-314Toan Khac Nguyen ・Jin Hee Lim
J Plant Biotechnol 2021; 48(3): 139-147Yu Jin Jung・Joung Soon Park ・Ji Yun Go ・Hyo Ju Lee ・Jin Young Kim・Ye Ji Lee ・Ki Hong Nam ・ Yong-Gu Cho ・Kwon Kyoo Kang
J Plant Biotechnol 2021; 48(3): 124-130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Sequence comparisons of
Genomic Southern blot analysis of the
The tissue-specific expression level of
The expression level of
Generation of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