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Split Viewer

J Plant Biotechnol 2017; 44(3): 303-311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17

https://doi.org/10.5010/JPB.2017.44.3.303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RAPD와 SRAP 마커를 이용한 참다래 유전자원의 유전적 다양성

조강희*, 곽용범, 박서준, 김세희, 이한찬, 김미영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남해출장소

Received: 30 May 2017; Revised: 27 July 2017; Accepted: 31 July 2017

Genetic diversity in kiwifruit germplasm evaluated using RAPD and SRAP markers

Kang Hee Cho*, Yong-Bum Kwack, Seo Jun Park, Se Hee Kim, Han Chan Lee, and Mi Young Kim

Frui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Wan-ju 565-852, Korea,
Namhae Branch,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Namhae 668-812, Korea

Correspondence to : e-mail: khc7027@korea.kr

Received: 30 May 2017; Revised: 27 July 2017; Accepted: 31 July 2017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n this stud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analyses were used for evaluation of genetic diversity of 61 kiwifruit (Actinidia spp.) germplasms including domestic and overseas collection cultivars. Forty RAPD primers were detected in a total of 230 polymorphic bands with an average of 5.75. Thirty-two SRAP primer combinations were detected in a total of 204 polymorphic bands with an average 6.38. By unweighted pair-group method arithmetic average cluster analysis using 434 polymorphic bands, kiwifruit germplasms were classified in three groups with similarity value of 0.680. Cluster I consisted of 46 kiwifruit germplasms belonging to A. deliciosa, A. chinensis, A. deliciosa × A. arguta, A. chinensis × A. arguta, and A. chinensis × A. deliciosa. Cluster II consisted of seven germplasms belonging to A. arguta and ‘Skinny Green’, a cultivar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A. arguta and A. deliciosa. Cluster III consisted of seven germplasms belonging to A. rufa, A. hemsleyana, A. macrosperma, A. polygama, and A. eriantha. Genetic similarity values among tested kiwifruit germplasms ranged from 0.479-0.991, and average similarity value was 0.717. Similarity value was highest (0.991) between NHK0038 (A. deliciosa) and NHK0040 (A. deliciosa), and lowest (0.479) between ‘Hayward’ (A. deliciosa) and K5-1-22 (A. arguta).

Keywords Actidinia, Genetic diversity, Polymorphism, RAPD, SRAP

참다래(Actinidia spp.)는 다래나무과(Actinidiaceae) 다래나무속(Actinidia Lindl.)에 속하는 덩굴성 낙엽 과수이며, 중국 양자강 유역이 원산지로 세계적으로 76종이 분포하고 있다(Ferguson and Huang 2007). 우리나라에는 개다래나무(A. polygama), 다래나무(A. arguta), 쥐다래나무(A. kolomikta), 섬다래나무(A. rufa), 녹다래나무(A. arguta)가 자생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Park et al. 2011). 전 세계적으로 Actinidia 종 중에서 A. deliciosaA. chinensis가 널리 재배되고 있고 A. arguta와 같은 다른 종도 상업적으로 개발이 가능하다(Ferguson et al. 1996). 참다래의 주요 재배품종인 ‘헤이워드’(A. deliciosa)는 신선한 녹색과육과 오랫동안 저장이 가능하여 전 세계시장을 차지하고 있으며(Jaeger and Harker 2005), 우리나라는 ‘헤이워드’의 단일 재배에서 현재 황색, 적색 과육 등으로 다양한 품종이 재배되고 있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녹색, 황색, 적색의 다양한 과육색 등 소비자 기호의 다양성을 충족할 수 있는 품종과 웰빙 추세에 부응하여 건강 기능 성분이 강화된 품종 등을 육성하고자 노력하였고, 1995년 ‘보옥’을 시작으로 2015년까지 21품종을 육성하였다. 그러나 육종 프로그램에 제한된 유전자원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품종 육성 시 Actinidia 속내의 다양성을 도입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존과 다른 참다래를 육성할 필요가 있다(Ferguson

2007). 이를 위해서 유전자원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약 140점의 참다래 유전자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원예적 형질에 대한 특성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참다래 유전자원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형태형질뿐 만 아니라 분자생물학적 분석법인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Crowhurst et al. 1990),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Cipriani et al. 1996; Huang et al. 2002; Palombi and Damiano 2002),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rado et al. 2007), simple sequence repeats (Korkovelos et al. 2008; Zhen et al. 2004)와 같은 다양한 DNA 마커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RAPD 마커는 재현성은 낮지만 다른 분석방법들에 비해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유전자원의 분류 및 유연관계 분석에 효과적이다(Cho et al. 2010).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마커는 Li와 Quiros (2001)에 의해 Brassica 작물에서 처음 개발되어 엑손(exon) 부분과 인트론(intron), 프로모터(promoter) 부분을 증폭할 수 있는 2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open reading frames 부분이 증폭되도록 고안된 것으로 배(Zhao et a1. 2013), 포도(Guo et al. 2012), 복숭아(Ahmad et al. 2004), 살구(Uzun et al. 2010) 등 다양한 작물에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참다래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RAPD와 SRAP 마커를 이용하여 유연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유전적 다양성을 파악하여 신품종 육종 시 교배친 선정 등 육종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시험재료 및 DNA 추출

본 연구에 사용한 재료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남해출장소에서 보존 중인 참다래 재배품종 및 국내·외에서 수집된 유전자원 총 61점을 이용하였다(Table 1). 참다래 어린 잎을 채취하고 DNeasy plant mini kit(Qiagen, Valencia, CA, USA)를 사용하여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DNA는 0.8% agarose gel에 전기영동하여 확인하였고 DNA 양은 NanoDrop spectrophotometer (Thermo Fisher Scientific, MA, USA)로 정량한 후 10 ng·µL-1의 농도로 희석하여 PCR 분석에 이용하였다.

Table 1 Kiwifruit germplasms used in this study, including parentages and species

No.  Germplasm  Parentage or origin  Species
126-1-8Korean collectionA. arguta
226-1-12Korean collectionA. arguta
326-7-10 (male)Korean collectionA. rufa
42005-2-101Sensation Apple × Tara VineA. chinensis × A. arguta
5Deliwoong (male)NHK0042 × NHK0041A. deliciosa
6AbbottChance seedlingA. deliciosa
7BangwooriTara Vine × TomuriA. deliciosa × A. arguta
8BidanSKK s20 × SKK s10A. eriantha
9BrunoChance seedlingA. deliciosa
10CG-2A. chinensis var. rufopulpa OPA. chinensis var. rufopulpa
11Chieftain (male)New Zealand collectionA. deliciosa
12GarmrokNHK0042 × NHK0041A. deliciosa
13NHK0154New Zealand collectionA. deliciosa
14GoldrushACT-12 × ACT-13A. chinensis
15NHK0155New Zealand collectionA. chinensis
16Golden KingChina collectionA. chinensis
17Golden YellowChina collectionA. chinensis
18GoldoneNHK0047 × NHK0013A. chinensis
19HaegeumJinfeng × SKK2A. chinensis
20Halla GoldGolden Yellow × SongokuA. chinensis
21HaywardChance seedlingA. deliciosa
22NHK0031China collectionA. hemsleyana
23HongyangA. chinensis var. rufopulpa OPA. chinensis var. rufopulpa
24Hort16ACK01 × CK15A. chinensis
25Jecy GoldGolden Yellow × SongokuA. chinensis
26Jecy GreenSensation Apple × TomuriA. chinensis × A. deliciosa
27K5-1-22Korean collectionA. arguta
28K5-2-22 (male)Korean collectionA. arguta
29K5-3-18 (male)Korean collectionA. arguta
30K5-4-3Korean collectionA. arguta
32M51-2 (male)New Zealand collectionA. deliciosa
33NHK0027China collectionA. macrosperma
34Matua (male)Chance seedlingA. deliciosa
35NHK0156New Zealand collectionA. chinensis
36OctogreenHA8457 × MatuaA. deliciosa
37Pohwa (male)Hayward × Tara VineA. deliciosa × A. arguta
38Po-okHayward × Tara VineA. deliciosa × A. arguta
39NHK0024China collectionA. arguta var. purpurea
40RedvitaNHK0047 × NHK0013A. chinensis
41NHK0127 (male)China collectionA. polygama
42NHK0050 (male)China collectionA. eriantha
43NHK0051China collectionA. eriantha
44Samdong Lee’s GoldKorean collectionA. chinensis
45Sensation AppleChina collectionA. chinensis
46Skinny GreenKN8903 × Tara VineA. arguta × A. deliciosa
47NHK0012China collectionA. chinensis
48NHK0013 (male)China collectionA. chinensis
49NHK0019China collectionA. deliciosa
50NHK0021China collectionA. chinensis
51NHK0022China collectionA. chinensis
52NHK0117 (male)China collectionA. chinensis
53NHK0023China collectionA. chinensis
54NHK0038China collectionA. deliciosa
55NHK0040China collectionA. deliciosa
56NHK0041 (male)China collectionA. deliciosa
57NHK0042China collectionA. deliciosa
58Red PrincessChina collectionA. deliciosa
59NHK0048China collectionA. deliciosa × A. arguta
60Songoku (male)Japan collectionA. chinensis
61Tomuri (male)Chance seedlingA. deliciosa

RAPD 분석

참다래 RAPD 분석에 적합한 primer를 선발하기 위해서 Operon (Operon Technologies, Alameda, CA, USA)과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BC, Vancouver, BC, Canada)에서 제조된 10개의 염기로 구성된 380종의 primer를 검정하였다. 참다래 유전자원간 다형성을 나타내는 RAPD 마커 선발에는 primer 검정에서 선발된 총 40종의 임의 primer를 이용하였다(Table 2).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반응은 genomic DNA 40 ng, 1 × PCR buffer, 0.36 µM 임의 primer, 200 µM dNTP, 3 mM MgCl2와 0.4 units Taq DNA polymerase (Genetbio, Daejeon, Korea)를 첨가하여, 반응액을 12.5 μL로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PCR 반응은 94°C에서 5분간 초기 변성시키고, 94°C에서 45초(denaturing), 37°C에서 45초(annealing), 그리고 72°C에서 2분간(extension) 과정을 10회 반복 수행한 다음 94°C에서 45초, 42°C에서 45초, 그리고 72°C에서 2분간 30회 반복한 후 72°C에서 5분간 처리하였다. 증폭된 PCR 생성물은 1.4% agarose gel에서 150V로 3시간 동안 전기영동하여 품종 간 다형성을 탐색하였다.

Table 2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primers used in this study, sequences and numbers of polymorphic fragments produced

PrimerSequence (5’ → 3’)No. of polymorphic bands
OPA-09GGGTAACGCC4
OPA-11CAATCGCCGT4
OPA-16AGCCAGCGAA5
OPD-12CACCGTATCC7
OPE-08TCACCACGGT6
OPE-09CTTCACCCGA9
OPG-01CTACGGAGGA5
OPG-05CTGAGACGGA7
OPG-09CTGACGTCAC6
OPG-10AGGGCCGTCT8
OPG-12CAGCTCACGA6
OPG-18GGCTCATGTG5
OPG-19GTCAGGGCAA5
OPK-01CATTCGAGCC8
OPK-07AGCGAGCAAG3
OPK-08GAACACTGGG5
OPL-07AGGCGGGAAC4
OPM-05GGGAACGTGT5
OPM-06CTGGGCAACT6
OPM-07CCGTGACTCA4
OPM-14AGGGTCGTTC10
OPM-15GACCTACCAC3
OPN-05ACTGAACGCC5
OPN-10ACAACTGGGG4
OPN-16AAGCGACCTG5
OPN-19GTCCGTACTG4
UBC186GTGCGTCGCT8
UBC248GAGTAAGCGG7
UBC254CGCCCCCATT6
UBC268AGGCCGCTTA7
UBC269CCAGTTCGCC6
UBC381ATGAGTCCTG4
UBC402CCCGCCGTTG8
UBC517GGTCGCAGCT5
UBC519ACCGGACACT4
UBC530AATAACCGCC7
UBC531GCTCACTGTT5
UBC533GCATCTACGC4
UBC536GCCCCTCGTC7
UBC600GAAGAACCGC9

SRAP 분석

참다래 유전자원의 SRAP 분석에는 primer 검정에서 선발된 총 32종의 조합을 이용하였다(Zhao et al. 2013, Table 3). SRAP 분석은 기존의 Li와 Quiros (2001)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PCR 반응액은 총 15 μL로 genomic DNA 40 ng, 1 × PCR buffer, 0.36 µM primers, 200 μM dNTP, 2 mM MgCl2와 0.5 units Taq DNA polymerase(Genetbio)로 구성하였다. PCR 반응은 thermocycler(iCycler, 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를 사용하여 94°C에서 5분간 초기 변성시키고, 94°C에서 1분(denaturing), 35°C에서 1분(annealing), 그리고 72°C에서 1분간(extension) 과정을 5회 수행한 다음 94°C에서 1분, 50°C에서 1분, 72°C에서 1분간 35회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72°C에서 10분간 처리하였다. 증폭된 PCR 생성물은 RAPD와 동일하게 1.4% agarose gel에서 150V로 3시간 동안 전기영동하여 품종 간 다형성을 탐색하였다.

Table 3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primer combinations used in this study, sequences and numbers of polymorphic fragments produced

Primer combinationSequence (5’ → 3’)No. of polymorphic bands

   Forward (me)   Reverse (em)
me1/em2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TGC4
me1/em3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GAC6
me1/em4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TGA10
me1/em6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GCA4
me1/em10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TAG7
me1/em11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TCG6
me1/em13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GGT4
me1/em15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CTG5
me1/em17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CCA7
me1/em18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GAT8
me1/em21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CTA8
me1/em22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CTC11
me2/em2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TGC7
me2/em3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GAC6
me2/em4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TGA4
me2/em6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GCA5
me2/em9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TCA4
me2/em10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TAG8
me2/em16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CGG4
me3/em3TGAGTCCAAACCGGAGTGACTGCGTACGAATTGAC7
me3/em4TGAGTCCAAACCGGAGTGACTGCGTACGAATTTGA7
me3/em10TGAGTCCAAACCGGAGTGACTGCGTACGAATTTAG6
me5/em14TGAGTCCAAACCGGAAGGACTGCGTACGAATTCAG7
me5/em17TGAGTCCAAACCGGAAGGACTGCGTACGAATTCCA5
me5/em19TGAGTCCAAACCGGAAGGACTGCGTACGAATTCAA9
me5/em22TGAGTCCAAACCGGAAGGACTGCGTACGAATTCTC5
me6/em2TGAGTCCAAACCGGTAAGACTGCGTACGAATTTGC7
me6/em3TGAGTCCAAACCGGTAAGACTGCGTACGAATTGAC6
me8/em5TGAGTCCAAACCGGATGGACTGCGTACGAATTAAC8
me8/em8TGAGTCCAAACCGGATGGACTGCGTACGAATTAGC6
me9/em20TGAGTCCAAACCGGACAGACTGCGTACGAATTCAT5
me10/em13TGAGTCCAAACCGGGAT-GACTGCGTACGAATTGGT8

통계분석

RAPD와 SRAP 분석에서 증폭된 다형성 밴드의 유무에 따라 1(유)과 0(무)으로 scoring하였고 참다래 유전자원간의 유연관계는 MVSP (multi-variate statistical package) version 3.13 (Kovach computing services)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Simple matching coefficient에 의해 유전적 유사도 값을 계산하고 이 값을 기초로 하여 비가중평균결합(UPGMA: unweighted pair- group method with arithmetic averages)법으로 집괴분석(cluster analysis)을 하여 dendrogram을 작성하였다.

RAPD와 SRAP 분석을 통한 참다래 유전자원의 다형성 탐색

국내육성 품종인 ‘골드원’ 및 국내·외에서 수집한 참다래 유전자원 61점의 유전적 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RAPD와 SRAP 분석을 하였다. Fig. 1AB는 UBC600의 임의 primer와 me10/em13 primer 조합을 이용하여 수행한 RAPD와 SRAP 분석의 profile을 나타낸 것이다. RAPD 분석한 결과 품종 간 다형성을 나타내는 밴드 수는 230개로서 평균 5.75개였다(Table 2). Primer에 따라 선발된 다형성 밴드의 수는 최소 3개(OPK-07, OPM-15)에서 최대 10개(OPM-14)였다. Huang et al.(2002)은 31종(species)이 포함된 40개 분류군(taxon)의 참다래를 대상으로 22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RAPD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188개의 다형성 밴드를 얻어 평균 8.55개의 다형성 밴드를 보고하였다. Novo et al. (2010)은 6개의 임의 primer를 이용한 개화기가 다른 숫나무 41개 식물체의 RAPD 분석에서 총 37개의 다형성 밴드를 얻었다. 다형성 밴드 수는 primer에 따라 2 ~ 11개였으며 평균 6.11개였다. 이와 같이 RAPD 분석에서 다형성 밴드 수의 차이는 사용한 primer의 종류가 다르고 시험재료로 이용한 품종의 유전적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RAPD 분석은 쉽고 빠르게 다량의 변이를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PCR 반응 시 낮은 온도에서 짧은 길이(10 ~ 12-mer)의 primer를 결합시키기 때문에 미세한 반응조건의 차이에 따라 비특이적인 밴드가 증폭되어 안정적인 검출에 문제가 있다(Ellsworth et al. 1993).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재현성이 뚜렷한 다형성 밴드만 선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Fig. 1.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profiles of 61 kiwifruit germplasms amplified using UBC600 primer (A) and me10/em13 primer combination (B), respectively. Lane numbers represent kiwifruit germplasms as shown in Table 1. M, 100 bp plus DNA ladder


32종의 SRAP primer 조합을 이용한 분석 결과, 선발된 다형성 밴드의 수는 최소 4개(me1/em2, me2/em4, me2/em16 등)에서 최대 11개(me1/em22)였다(Table 3). 총 204개의 다형성 밴드를 획득하였고, 평균 다형성 밴드는 6.38개로 나타났다. Primer 조합 중에서 me1/em22 조합에서 11개로 가장 높은 다형화 현상을 보였고 me1/em4와 me5/em19에서도 각각 10개와 9개의 다형성 밴드를 나타내어 이들 조합이 참다래 유전자원들을 분류하는데 이용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과수작물에 있어서 SRAP 분석을 이용한 품종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는 복숭아, 포도 등에서 보고되었다(Ahmad et al.2004; Guo et al. 2012). Ahmad et al. (2004)은 38종의 복숭아와 넥타린(nectarine) 품종을 10개의 SRAP primer 조합을 분석하여 49개의 다형성 밴드를 선발하였고, 이 중 30품종에서 고유의 밴드가 증폭되어 복숭아와 같이 변이가 적은 종에서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는데 효과적이었음을 보고하였다. Guo et al. (2012)은 76종의 포도 재배품종과 야생종의 유전자원을 이용한 SRAP 분석을 통해 중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과 야생종 유전자원 간에는 유전적 다양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버펄로그래스(buffalograss)에서도 SRAP 마커가 RAPD, SSR 등 다른 마커 시스템에 비해 다형성률이 높아 가깝게 연관된 품종들 간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는데 더 유용한 방법으로 보고되었다(Budak et al. 2004).

집괴분석을 이용한 참다래 유전자원의 유전적 다양성

RAPD와 SRAP 분석에서 얻어진 434개의 다형성 밴드를 이용하여 참다래 유전자원의 유사도 값을 측정한 결과 전체 범위는 0.479 ~ 0.991이었다. 가장 높은 유사도 값(0.991)을 나타낸 것은 A. deliciosa에 속한 중국에서 수집한 NHK0038과 NHK0040로서 과실의 모양 등 표현형을 고려할 때 동일한 개체로 추정되었으며, 가장 낮은 유사도 값(0.471)을 나타낸 것은 A. deliciosa인 ‘헤이워드’와 A. arguta인 국내에서 수집한 K5-1-22 간이었다. 평균 유사도 값은 0.717이었으며, 가장 높은 평균 유사도 값(0.777)을 나타낸 것은 A. chinensis인 중국에서 수집한 ‘Golden King’이었고, 가장 낮은 것(0.583)은 K5-1-22이었다(Table 4). A. arguta에 속하는 K5-1-22, K5-2-22, K5-3-18, 26-1-8, NHK0024 등의 유사도 값은 0.583-0.613으로 다른 유전자원에 비해 대체적으로 낮았다. 유사도 지수를 이용하여 집괴분석한 결과 유사도 0.680를 기준으로 하여 나누었을 때 3개 그룹으로 분류되었다(Fig. 2). 제1그룹은 A. deliciosaA. chinensis에 속하는 품종과 이 2종을 모본으로 사용한 교배조합인 A. deliciosa × A. arguta, A. chinensis × A. arguteA. chinensis × A. deliciosa의 교잡종에 속하는 46점의 유전자원이 포함되었다. A. deliciosa에 속하는 품종 및 유전자원은 ‘헤이워드’를 포함한 17점이었고, A. chinensis에 속하는 것은 ‘Hort16A’를 비롯한 23점이었다. A. deliciosa × A. arguta의 교잡종에 속하는 것은 NHK0048, ‘방울이’, ‘보화’, ‘보옥’의 4점이었고, A. chinensis × A. arguta의 교잡종에 속하는 것은 ‘Sensation apple’과 ‘Tara Vine’를 교배하여 육성된 ‘2005-2-101’이었다. 또한 A. chinensis × A. deliciosa의 교잡종에는 ‘Sensation apple’과 ‘Tara Vine’를 교배하여 육성된 ‘제시그린’이 포함되었다. 중국에서 수집한 NHK0042와 NHK0040을 교배하여 육성된 ‘감록’과 ‘델리웅’은 양친인 NHK0042와 동일한 cluster에 위치하였고 ‘감록’과 ‘델리웅’ 간의 유사도 값은 0.912였다. ‘감록’은 2013년에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육성한 감미가 높고 신맛이 적은 녹색 과육 품종이고, ‘델리웅’은 2014년에 육성된 수분수 품종으로 기존 수분수보다 5~7일 일찍 개화하며 ‘골드원’과 ‘헤이워드’에 적합한 수분수이다. A. chinensis var. rufopulpa에 속하는 과심 주변 내과피가 적색인 CG-2와 ‘홍양’ 간의 유사도 값은 0.984로서 매우 유사한 품종으로 추정되어, 정밀한 형태학적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체적으로 A. deliciosa와 A. chinensis에 속하는 품종끼리 각각 동일한 cluster로 분류되었다. A. deliciosaA. chinensis는 형태학적으로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하나의 종으로 여겨졌지만 핵과 엽록체를 탐침(probe)으로 한 RFLP 분석에서 두 게놈 간의 차이가 명확해 다른 종으로 분류되었다(Crowhurst et al. 1990; Ferguson et al. 1996). Liu et al. (2010)는 10개 지역에서 수집한 Actinidia 7종을 대상으로 유전적 변이 양상과 종 사이의 유전자 이동(gene flow)에 관해 조사하기 위하여 SSR 분석한 결과, 이들 중에서 A. deliciosaA. chinensis의 유전적 유사성이 가장 높았고 81%의 대립인자(allele)를 공유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Table 4 Average genetic similarity values of 60 possible comparisons for 61 kiwifruit germplasms

No.GermplasmAverage genetic similarity valueNo.  GermplasmAverage genetic similarity value
126-1-80.60232M51-20.747
226-1-120.60833NHK00270.633
326-7-100.66834Matua0.754
42005-2-1010.68935NHK01560.769
5Deliwoong0.73136Octogreen0.744
6Abbott0.73137Pohwa0.743
7Bangwoori0.67838Po-ok0.743
8Bidan0.64639NHK00240.613
9Bruno0.74340Redvita0.760
10CG-20.75141NHK01270.631
11Chieftain0.74542NHK00500.635
12Garmrok0.75243NHK00510.636
13NHK01540.77244Samdong Lee’s Gold0.753
14Goldrush0.76345Sensation Apple0.765
15NHK01550.77246Skinny Green0.598
16Golden King0.77747NHK00120.763
17Golden Yellow0.76548NHK00130.744
18Goldone0.77149NHK00190.751
19Haegeum0.75850NHK00210.763
20Halla Gold0.75451NHK00220.752
21Hayward0.73352NHK01170.751
22NHK00310.64353NHK00230.761
23Hongyang0.75054NHK00380.746
24Hort16A0.76155NHK00400.752
25Jecy Gold0.75956NHK00410.741
26Jecy Green0.76157NHK00420.729
27K5-1-220.58358Red Princess0.774
28K5-2-220.58659NHK00480.692
29K5-3-180.58560Songoku0.758
30K5-4-30.59161Tomuri0.744
31Lushanxiang0.761-Mean0.717

Fig. 2.

Dendrogram of 61 kiwifruit germplasms based on genetic similarity values collected from RAPD and SRAP data. Scale indicates genetic similarity values


제2그룹에는 A. arguta에 속하는 유전자원 7점과 A. arguta × A. deliciosa의 교잡종인 ‘스키니그린’이 포함되었다. A. arguta에 속하는 유전자원은 국내에서 수집된 26-1-8, 26-1-12, K5-1-22, K5-2-22, K5-3-18, K5-4-3과 중국에서 수집된 NHK0024였다. 이중에서 K5-2-22와 K5-3-18 간의 유사도 값은 0.989로 가장 높았다. A. arguta는 동아시아가 자생지로 추위에 강하고, 배수성이 다양하여 2, 4, 6, 7, 8배체가 존재하는데 동아시아에 전반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은 4배체로 알려져 있다(Ferguson and Huang 2007). 과실은 단맛과 신맛의 조화가 잘 어우러지고 향이 뛰어나며 비타민 C와 폴리페놀 함량이 높다(Nishiyama and Oota 2007). 껍질째 식용이 가능하고 건강 기능 성분이 풍부하여 A. arguta의 시장에서의 가치가 증가함에 따라 여러 나라에서 더 우수한 품종을 선발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미국, 칠레, 뉴질랜드 등에서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다(Kabaluk et al. 1997; Stãnicã and Zuccherelli 2007; Williams et al. 2003). ‘스키니그린’은 KN8903과 ‘Tara Vine’을 교배하여 2007년에 육성된 품종으로 과피에 털이 없고 껍질이 얇아 껍질째 식용이 가능하고 추위에 다소 강한 특성이 있다. 제3그룹에는 A. rufa, A. hemsleyana, A. macrosperma, A. polygama, A. eriantha 종에 속하는 유전자원 7점이 포함되었다. 국내에서 수집된 26-7-10(A. rufa)과 중국에서 수집된 NHK0031 (A. hemsleyana), 그리고 NHK0027 (A. macrosperma)과 NHK0127 (A. polygama)과는 각각 동일한 cluster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Huang et al. (2002)의 결과와도 유사하다. A. eriantha에 속하는 ‘비단’도 같은 종인 NHK0050, NHK0051과 동일한 cluster에 포함되었다. 이상의 RAPD와 SRAP 마커를 이용한 집괴분석에서 참다래 유전자원의 대부분은 동일한 종끼리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현재 참다래의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소비자의 수요에 맞는 다양한 품종과 난온대 기후에 적합하고 꽃 솎기 등 생산 노력을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생력형에 중점을 둔 품종 개발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육종 목표에 부합되는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전자원을 수집하여 유전적 변이의 폭을 확대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현재 보존 중인 많은 유전자원에 대한 형태적 형질 등의 정밀한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다양한 지역에서 수집된 참다래 유전자원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에 대한 정보는 축적된 형태적 형질의 정보와 더불어 효율적인 유전자원 관리 및 품종 육성을 위한 교배조합 작성 등 육종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참다래(Actinidia spp.) 유전자원의 유전적 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재배품종 및 국내·외에서 수집한 참다래 61점을 대상으로 RAPD와 SRAP 분석을 수행하였다. RAPD 분석에서 40종의 선발 primer를 이용하여 230개의 다형성 밴드를 얻었으며, 평균 다형성 밴드 수는 5.75개였다. 32종의 primer 조합을 이용한 SRAP 분석에서 204개의 다형성 밴드를 획득하였고, 평균 다형성 밴드 수는 6.38 개였다. RAPD와 SRAP 분석에서 획득된 434개의 다형성 밴드를 이용하여 비가중 평균결합 방식으로 집괴분석한 결과 유전적 유사도 지수 0.680을 기준으로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제1그룹에는 A. deliciosaA. chinensis에 속하는 품종과 A. deliciosa × A. arguta, A. chinensis × A. arguta, A. chinensis × A. deliciosa의 교잡종에 속하는 46점의 유전자원이 포함되었다. 제2그룹에는 A. arguta에 속하는 유전자원 7점과 A. arguta × A. deliciosa의 교잡종인 ‘스키니그린’이 포함되었다. 제3그룹에는 A. rufa, A. hemsleyana, A. macrosperma, A. polygama, A. eriantha 종에 속하는 유전자원 7점이 포함되었다. 참다래 유전자원 간 유전적 유사도 값은 0.479~0.991의 범위로 평균 유전적 유사도는 0.717이었다. 가장 높은 유사도 값(0.991)을 나타낸 유전자원은 NHK0038(A. deliciosa)과 NHK0040(A. deliciosa) 간이었고 가장 낮은 유사도 값(0.479)을 나타낸 유전자원은 ‘헤이워드’(A. deliciosa)와 K5-1-22(A. arguta) 간이었다.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번호: PJ01022805)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1. Ahmad R, Potter D, and Southwick SM. (2004) Genotyping of peach and nectarine cultivars with SSR and SRAP molecular markers. J Am Soc Hort Sci 129, 204-210.
  2. Budak H, Shearman RC, Parmaksiz I, and Dweikat I. (2004) Comparative analysis of seeded and vegetative biotype buffalograsses based on phylogenetic relationship using ISSRs, SSRs, RAPDs, and SRAPs. Theor Appl Genet 109, 280-288.
    Pubmed CrossRef
  3. Cho KH, Heo S, Kim JH, Shin IS, Kim SH, Kim DH, Han SE, and Kim HR. (2010)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of apple cultivars using RAPD and SSR markers. Kor J Breed Sci 42, 525-533.
  4. Cipriani G, Bella RD, and Testolin R. (1996) Screening RAPD primers for molecular taxonomy and cultivar fingerprinting in the genus Actinidia. Euphytica 90, 169-174.
    CrossRef
  5. Crowhurst RN, Lints R, Atkinson RG, and Gardner RC. (1990)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in the genus Actinidia(Actinidiaceae). Plant Syst Evol 172, 193-203.
    CrossRef
  6. Ellsworth DL, Rittenhous KD, and Honeycutt RL. (1993) Artifactual variation in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banding patterns. BioTechniques 14, 214-217.
    Pubmed
  7. Ferguson AR. (2007) The need for characterisation and evaluation of germplasms: kiwifruit as an example. Euphytica 154, 371-382.
    CrossRef
  8. Ferguson AR, and Huang HW. (2007) Genetic resources of kiwifruit: domestication and breeding. Hor Rev 33, 1-121.
    CrossRef
  9. Ferguson AR, Seal AG, McNeilage MA, Fraser LG, Harvey CF, and Beatson RA. (1996) Kiwifruit. Fruit breeding, Janick J, and Moore JN (eds.) II, pp.371-417. Vine and small fruit crops. Prentice Hall, New York.
  10. Guo D, Zhang J, Liu C, Zhang G, Li M, and Zhang Q. (2012) Genetic variability and relationships between and within grape cultivated varieties and wild species based on SRAP markers. Tree Genet Genom 8, 789-800.
    CrossRef
  11. Huang HW, Li Z, and Li J. (2002)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Actinidia as revealed by RAPD analysis. J Amer Soc Hort Sci 127, 759-766.
  12. Jaeger SR, and Harker FR. (2005) Consumer evaluation of novel kiwifruit: willingness-to-pay. J Sci Food Agric 85, 2519-2526.
    CrossRef
  13. Kabaluk JT, Kempler C, and Toivonen PMA. (1997) Actinidia arguta- characteristics relevant to commercialization production. Fruit Var J 51, 117-122.
  14. Korkovelos AE, Mavromatis AG, Huang WG, Hagidimitriou M, Giakoundis A, and Goulas CK. (2008) Effectiveness of SSR molecular markers in evaluating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eight Actinidia species. Sci Hortic 116, 305-310.
    CrossRef
  15. Li G, and Quiros CF. (2001)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a new marker system based on a simple PCR reaction: its application to mapping and gene tagging in Brassica. Theor Appl Genet 103, 455-461.
    CrossRef
  16. Liu Y, Liu Y, and Huang H. (2010) Genetic variation and natural hybridization among sympatric Actinidia species and the implications for introgression breeding of kiwifruit. Tree Genet Genomes 6, 801-813.
    CrossRef
  17. Nishiyama I, and Oota T. (2007) Fruits of the Actinidia genus. Adv Food Nutr Res 52, 293-324.
    CrossRef
  18. Novo M, Rome S, Rey M, Prado MJ, and González. (2010) Identification and sequence characterisation of molecular markers polymorphic between male 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var deliciosa (A Chev.) A. Chev.) accessions exhibiting different flowering time. Euphytica 175, 109-121.
    CrossRef
  19. Palombi MA, and Damiano C. (2002) Comparison between RAPD and SSR molecular markers in detecting genetic variation in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A. Chev). Plant Cell Rep 20, 1061-1066.
    CrossRef
  20. Park YK, Han Si, Kim SH, and Kang MS. (2011) Changes of photosynthesis, leaf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Actinidia arguta and hybrid kiwi (A. arguta×A. deliciosa) according to crown layer. J Korean For Soc 100, 8-13.
  21. Prado MJ, Gonzalez MV, Romo S, and Herrera MY. (2007) Adventitious plant regeneration on leaf explants from adult male kiwifruit and AFLP analysis of genetic variation. Plant Cell Tiss Cult 88, 1-10.
    CrossRef
  22. Stãnicã F, and Zuccherelli G. (2007) New selections of Actinidia arguta from the Romanian breeding program. Acta Hortic 753, 263-267.
    CrossRef
  23. Uzun A, Gulsen O, Seday U, Bircan M, and Yilmaz KU. (2010) SRAP based genetic analysis of some apricot cultivars. Romanian Biotechnol Lett 15, 5396-5404.
  24. Williams MH, Boyd LM, McNeilage MA, MacRae EA, Ferguson RA, and Martin PJ. (2003)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Baby Kiwi’ (Actinidia argute Planch). Acta Hortic 610, 81-86.
    CrossRef
  25. Zhao Y, Lin H, Guo Y, Liu Z, Guo X, and Li K. (2013) Genetic linkage maps of pear based on SRAP markers. Pak J Bot 45, 1265-1271.
  26. Zhen Y, Li Z, and Huang H. (2004)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kiwifruit (Actinidia) cultivars and selections using SSR markers. J Amer Soc Hort Sci 129, 374-382.

Article

Research Article

J Plant Biotechnol 2017; 44(3): 303-311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17 https://doi.org/10.5010/JPB.2017.44.3.303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RAPD와 SRAP 마커를 이용한 참다래 유전자원의 유전적 다양성

조강희*, 곽용범, 박서준, 김세희, 이한찬, 김미영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남해출장소

Received: 30 May 2017; Revised: 27 July 2017; Accepted: 31 July 2017

Genetic diversity in kiwifruit germplasm evaluated using RAPD and SRAP markers

Kang Hee Cho*, Yong-Bum Kwack, Seo Jun Park, Se Hee Kim, Han Chan Lee, and Mi Young Kim

Frui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Wan-ju 565-852, Korea,
Namhae Branch,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Namhae 668-812, Korea

Correspondence to: e-mail: khc7027@korea.kr

Received: 30 May 2017; Revised: 27 July 2017; Accepted: 31 July 2017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In this stud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analyses were used for evaluation of genetic diversity of 61 kiwifruit (Actinidia spp.) germplasms including domestic and overseas collection cultivars. Forty RAPD primers were detected in a total of 230 polymorphic bands with an average of 5.75. Thirty-two SRAP primer combinations were detected in a total of 204 polymorphic bands with an average 6.38. By unweighted pair-group method arithmetic average cluster analysis using 434 polymorphic bands, kiwifruit germplasms were classified in three groups with similarity value of 0.680. Cluster I consisted of 46 kiwifruit germplasms belonging to A. deliciosa, A. chinensis, A. deliciosa × A. arguta, A. chinensis × A. arguta, and A. chinensis × A. deliciosa. Cluster II consisted of seven germplasms belonging to A. arguta and ‘Skinny Green’, a cultivar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A. arguta and A. deliciosa. Cluster III consisted of seven germplasms belonging to A. rufa, A. hemsleyana, A. macrosperma, A. polygama, and A. eriantha. Genetic similarity values among tested kiwifruit germplasms ranged from 0.479-0.991, and average similarity value was 0.717. Similarity value was highest (0.991) between NHK0038 (A. deliciosa) and NHK0040 (A. deliciosa), and lowest (0.479) between ‘Hayward’ (A. deliciosa) and K5-1-22 (A. arguta).

Keywords: Actidinia, Genetic diversity, Polymorphism, RAPD, SRAP

서언

참다래(Actinidia spp.)는 다래나무과(Actinidiaceae) 다래나무속(Actinidia Lindl.)에 속하는 덩굴성 낙엽 과수이며, 중국 양자강 유역이 원산지로 세계적으로 76종이 분포하고 있다(Ferguson and Huang 2007). 우리나라에는 개다래나무(A. polygama), 다래나무(A. arguta), 쥐다래나무(A. kolomikta), 섬다래나무(A. rufa), 녹다래나무(A. arguta)가 자생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Park et al. 2011). 전 세계적으로 Actinidia 종 중에서 A. deliciosaA. chinensis가 널리 재배되고 있고 A. arguta와 같은 다른 종도 상업적으로 개발이 가능하다(Ferguson et al. 1996). 참다래의 주요 재배품종인 ‘헤이워드’(A. deliciosa)는 신선한 녹색과육과 오랫동안 저장이 가능하여 전 세계시장을 차지하고 있으며(Jaeger and Harker 2005), 우리나라는 ‘헤이워드’의 단일 재배에서 현재 황색, 적색 과육 등으로 다양한 품종이 재배되고 있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녹색, 황색, 적색의 다양한 과육색 등 소비자 기호의 다양성을 충족할 수 있는 품종과 웰빙 추세에 부응하여 건강 기능 성분이 강화된 품종 등을 육성하고자 노력하였고, 1995년 ‘보옥’을 시작으로 2015년까지 21품종을 육성하였다. 그러나 육종 프로그램에 제한된 유전자원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품종 육성 시 Actinidia 속내의 다양성을 도입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존과 다른 참다래를 육성할 필요가 있다(Ferguson

2007). 이를 위해서 유전자원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약 140점의 참다래 유전자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원예적 형질에 대한 특성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참다래 유전자원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형태형질뿐 만 아니라 분자생물학적 분석법인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Crowhurst et al. 1990),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Cipriani et al. 1996; Huang et al. 2002; Palombi and Damiano 2002),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rado et al. 2007), simple sequence repeats (Korkovelos et al. 2008; Zhen et al. 2004)와 같은 다양한 DNA 마커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RAPD 마커는 재현성은 낮지만 다른 분석방법들에 비해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유전자원의 분류 및 유연관계 분석에 효과적이다(Cho et al. 2010).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마커는 Li와 Quiros (2001)에 의해 Brassica 작물에서 처음 개발되어 엑손(exon) 부분과 인트론(intron), 프로모터(promoter) 부분을 증폭할 수 있는 2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open reading frames 부분이 증폭되도록 고안된 것으로 배(Zhao et a1. 2013), 포도(Guo et al. 2012), 복숭아(Ahmad et al. 2004), 살구(Uzun et al. 2010) 등 다양한 작물에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참다래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RAPD와 SRAP 마커를 이용하여 유연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유전적 다양성을 파악하여 신품종 육종 시 교배친 선정 등 육종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시험재료 및 DNA 추출

본 연구에 사용한 재료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남해출장소에서 보존 중인 참다래 재배품종 및 국내·외에서 수집된 유전자원 총 61점을 이용하였다(Table 1). 참다래 어린 잎을 채취하고 DNeasy plant mini kit(Qiagen, Valencia, CA, USA)를 사용하여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DNA는 0.8% agarose gel에 전기영동하여 확인하였고 DNA 양은 NanoDrop spectrophotometer (Thermo Fisher Scientific, MA, USA)로 정량한 후 10 ng·µL-1의 농도로 희석하여 PCR 분석에 이용하였다.

Table 1 . Kiwifruit germplasms used in this study, including parentages and species.

No.  Germplasm  Parentage or origin  Species
126-1-8Korean collectionA. arguta
226-1-12Korean collectionA. arguta
326-7-10 (male)Korean collectionA. rufa
42005-2-101Sensation Apple × Tara VineA. chinensis × A. arguta
5Deliwoong (male)NHK0042 × NHK0041A. deliciosa
6AbbottChance seedlingA. deliciosa
7BangwooriTara Vine × TomuriA. deliciosa × A. arguta
8BidanSKK s20 × SKK s10A. eriantha
9BrunoChance seedlingA. deliciosa
10CG-2A. chinensis var. rufopulpa OPA. chinensis var. rufopulpa
11Chieftain (male)New Zealand collectionA. deliciosa
12GarmrokNHK0042 × NHK0041A. deliciosa
13NHK0154New Zealand collectionA. deliciosa
14GoldrushACT-12 × ACT-13A. chinensis
15NHK0155New Zealand collectionA. chinensis
16Golden KingChina collectionA. chinensis
17Golden YellowChina collectionA. chinensis
18GoldoneNHK0047 × NHK0013A. chinensis
19HaegeumJinfeng × SKK2A. chinensis
20Halla GoldGolden Yellow × SongokuA. chinensis
21HaywardChance seedlingA. deliciosa
22NHK0031China collectionA. hemsleyana
23HongyangA. chinensis var. rufopulpa OPA. chinensis var. rufopulpa
24Hort16ACK01 × CK15A. chinensis
25Jecy GoldGolden Yellow × SongokuA. chinensis
26Jecy GreenSensation Apple × TomuriA. chinensis × A. deliciosa
27K5-1-22Korean collectionA. arguta
28K5-2-22 (male)Korean collectionA. arguta
29K5-3-18 (male)Korean collectionA. arguta
30K5-4-3Korean collectionA. arguta
32M51-2 (male)New Zealand collectionA. deliciosa
33NHK0027China collectionA. macrosperma
34Matua (male)Chance seedlingA. deliciosa
35NHK0156New Zealand collectionA. chinensis
36OctogreenHA8457 × MatuaA. deliciosa
37Pohwa (male)Hayward × Tara VineA. deliciosa × A. arguta
38Po-okHayward × Tara VineA. deliciosa × A. arguta
39NHK0024China collectionA. arguta var. purpurea
40RedvitaNHK0047 × NHK0013A. chinensis
41NHK0127 (male)China collectionA. polygama
42NHK0050 (male)China collectionA. eriantha
43NHK0051China collectionA. eriantha
44Samdong Lee’s GoldKorean collectionA. chinensis
45Sensation AppleChina collectionA. chinensis
46Skinny GreenKN8903 × Tara VineA. arguta × A. deliciosa
47NHK0012China collectionA. chinensis
48NHK0013 (male)China collectionA. chinensis
49NHK0019China collectionA. deliciosa
50NHK0021China collectionA. chinensis
51NHK0022China collectionA. chinensis
52NHK0117 (male)China collectionA. chinensis
53NHK0023China collectionA. chinensis
54NHK0038China collectionA. deliciosa
55NHK0040China collectionA. deliciosa
56NHK0041 (male)China collectionA. deliciosa
57NHK0042China collectionA. deliciosa
58Red PrincessChina collectionA. deliciosa
59NHK0048China collectionA. deliciosa × A. arguta
60Songoku (male)Japan collectionA. chinensis
61Tomuri (male)Chance seedlingA. deliciosa

RAPD 분석

참다래 RAPD 분석에 적합한 primer를 선발하기 위해서 Operon (Operon Technologies, Alameda, CA, USA)과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BC, Vancouver, BC, Canada)에서 제조된 10개의 염기로 구성된 380종의 primer를 검정하였다. 참다래 유전자원간 다형성을 나타내는 RAPD 마커 선발에는 primer 검정에서 선발된 총 40종의 임의 primer를 이용하였다(Table 2).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반응은 genomic DNA 40 ng, 1 × PCR buffer, 0.36 µM 임의 primer, 200 µM dNTP, 3 mM MgCl2와 0.4 units Taq DNA polymerase (Genetbio, Daejeon, Korea)를 첨가하여, 반응액을 12.5 μL로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PCR 반응은 94°C에서 5분간 초기 변성시키고, 94°C에서 45초(denaturing), 37°C에서 45초(annealing), 그리고 72°C에서 2분간(extension) 과정을 10회 반복 수행한 다음 94°C에서 45초, 42°C에서 45초, 그리고 72°C에서 2분간 30회 반복한 후 72°C에서 5분간 처리하였다. 증폭된 PCR 생성물은 1.4% agarose gel에서 150V로 3시간 동안 전기영동하여 품종 간 다형성을 탐색하였다.

Table 2 .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primers used in this study, sequences and numbers of polymorphic fragments produced.

PrimerSequence (5’ → 3’)No. of polymorphic bands
OPA-09GGGTAACGCC4
OPA-11CAATCGCCGT4
OPA-16AGCCAGCGAA5
OPD-12CACCGTATCC7
OPE-08TCACCACGGT6
OPE-09CTTCACCCGA9
OPG-01CTACGGAGGA5
OPG-05CTGAGACGGA7
OPG-09CTGACGTCAC6
OPG-10AGGGCCGTCT8
OPG-12CAGCTCACGA6
OPG-18GGCTCATGTG5
OPG-19GTCAGGGCAA5
OPK-01CATTCGAGCC8
OPK-07AGCGAGCAAG3
OPK-08GAACACTGGG5
OPL-07AGGCGGGAAC4
OPM-05GGGAACGTGT5
OPM-06CTGGGCAACT6
OPM-07CCGTGACTCA4
OPM-14AGGGTCGTTC10
OPM-15GACCTACCAC3
OPN-05ACTGAACGCC5
OPN-10ACAACTGGGG4
OPN-16AAGCGACCTG5
OPN-19GTCCGTACTG4
UBC186GTGCGTCGCT8
UBC248GAGTAAGCGG7
UBC254CGCCCCCATT6
UBC268AGGCCGCTTA7
UBC269CCAGTTCGCC6
UBC381ATGAGTCCTG4
UBC402CCCGCCGTTG8
UBC517GGTCGCAGCT5
UBC519ACCGGACACT4
UBC530AATAACCGCC7
UBC531GCTCACTGTT5
UBC533GCATCTACGC4
UBC536GCCCCTCGTC7
UBC600GAAGAACCGC9

SRAP 분석

참다래 유전자원의 SRAP 분석에는 primer 검정에서 선발된 총 32종의 조합을 이용하였다(Zhao et al. 2013, Table 3). SRAP 분석은 기존의 Li와 Quiros (2001)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PCR 반응액은 총 15 μL로 genomic DNA 40 ng, 1 × PCR buffer, 0.36 µM primers, 200 μM dNTP, 2 mM MgCl2와 0.5 units Taq DNA polymerase(Genetbio)로 구성하였다. PCR 반응은 thermocycler(iCycler, 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를 사용하여 94°C에서 5분간 초기 변성시키고, 94°C에서 1분(denaturing), 35°C에서 1분(annealing), 그리고 72°C에서 1분간(extension) 과정을 5회 수행한 다음 94°C에서 1분, 50°C에서 1분, 72°C에서 1분간 35회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72°C에서 10분간 처리하였다. 증폭된 PCR 생성물은 RAPD와 동일하게 1.4% agarose gel에서 150V로 3시간 동안 전기영동하여 품종 간 다형성을 탐색하였다.

Table 3 .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primer combinations used in this study, sequences and numbers of polymorphic fragments produced.

Primer combinationSequence (5’ → 3’)No. of polymorphic bands

   Forward (me)   Reverse (em)
me1/em2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TGC4
me1/em3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GAC6
me1/em4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TGA10
me1/em6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GCA4
me1/em10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TAG7
me1/em11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TCG6
me1/em13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GGT4
me1/em15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CTG5
me1/em17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CCA7
me1/em18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GAT8
me1/em21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CTA8
me1/em22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CTC11
me2/em2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TGC7
me2/em3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GAC6
me2/em4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TGA4
me2/em6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GCA5
me2/em9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TCA4
me2/em10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TAG8
me2/em16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CGG4
me3/em3TGAGTCCAAACCGGAGTGACTGCGTACGAATTGAC7
me3/em4TGAGTCCAAACCGGAGTGACTGCGTACGAATTTGA7
me3/em10TGAGTCCAAACCGGAGTGACTGCGTACGAATTTAG6
me5/em14TGAGTCCAAACCGGAAGGACTGCGTACGAATTCAG7
me5/em17TGAGTCCAAACCGGAAGGACTGCGTACGAATTCCA5
me5/em19TGAGTCCAAACCGGAAGGACTGCGTACGAATTCAA9
me5/em22TGAGTCCAAACCGGAAGGACTGCGTACGAATTCTC5
me6/em2TGAGTCCAAACCGGTAAGACTGCGTACGAATTTGC7
me6/em3TGAGTCCAAACCGGTAAGACTGCGTACGAATTGAC6
me8/em5TGAGTCCAAACCGGATGGACTGCGTACGAATTAAC8
me8/em8TGAGTCCAAACCGGATGGACTGCGTACGAATTAGC6
me9/em20TGAGTCCAAACCGGACAGACTGCGTACGAATTCAT5
me10/em13TGAGTCCAAACCGGGAT-GACTGCGTACGAATTGGT8

통계분석

RAPD와 SRAP 분석에서 증폭된 다형성 밴드의 유무에 따라 1(유)과 0(무)으로 scoring하였고 참다래 유전자원간의 유연관계는 MVSP (multi-variate statistical package) version 3.13 (Kovach computing services)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Simple matching coefficient에 의해 유전적 유사도 값을 계산하고 이 값을 기초로 하여 비가중평균결합(UPGMA: unweighted pair- group method with arithmetic averages)법으로 집괴분석(cluster analysis)을 하여 dendrogram을 작성하였다.

결과 및 고찰

RAPD와 SRAP 분석을 통한 참다래 유전자원의 다형성 탐색

국내육성 품종인 ‘골드원’ 및 국내·외에서 수집한 참다래 유전자원 61점의 유전적 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RAPD와 SRAP 분석을 하였다. Fig. 1AB는 UBC600의 임의 primer와 me10/em13 primer 조합을 이용하여 수행한 RAPD와 SRAP 분석의 profile을 나타낸 것이다. RAPD 분석한 결과 품종 간 다형성을 나타내는 밴드 수는 230개로서 평균 5.75개였다(Table 2). Primer에 따라 선발된 다형성 밴드의 수는 최소 3개(OPK-07, OPM-15)에서 최대 10개(OPM-14)였다. Huang et al.(2002)은 31종(species)이 포함된 40개 분류군(taxon)의 참다래를 대상으로 22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RAPD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188개의 다형성 밴드를 얻어 평균 8.55개의 다형성 밴드를 보고하였다. Novo et al. (2010)은 6개의 임의 primer를 이용한 개화기가 다른 숫나무 41개 식물체의 RAPD 분석에서 총 37개의 다형성 밴드를 얻었다. 다형성 밴드 수는 primer에 따라 2 ~ 11개였으며 평균 6.11개였다. 이와 같이 RAPD 분석에서 다형성 밴드 수의 차이는 사용한 primer의 종류가 다르고 시험재료로 이용한 품종의 유전적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RAPD 분석은 쉽고 빠르게 다량의 변이를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PCR 반응 시 낮은 온도에서 짧은 길이(10 ~ 12-mer)의 primer를 결합시키기 때문에 미세한 반응조건의 차이에 따라 비특이적인 밴드가 증폭되어 안정적인 검출에 문제가 있다(Ellsworth et al. 1993).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재현성이 뚜렷한 다형성 밴드만 선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Figure 1.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profiles of 61 kiwifruit germplasms amplified using UBC600 primer (A) and me10/em13 primer combination (B), respectively. Lane numbers represent kiwifruit germplasms as shown in Table 1. M, 100 bp plus DNA ladder


32종의 SRAP primer 조합을 이용한 분석 결과, 선발된 다형성 밴드의 수는 최소 4개(me1/em2, me2/em4, me2/em16 등)에서 최대 11개(me1/em22)였다(Table 3). 총 204개의 다형성 밴드를 획득하였고, 평균 다형성 밴드는 6.38개로 나타났다. Primer 조합 중에서 me1/em22 조합에서 11개로 가장 높은 다형화 현상을 보였고 me1/em4와 me5/em19에서도 각각 10개와 9개의 다형성 밴드를 나타내어 이들 조합이 참다래 유전자원들을 분류하는데 이용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과수작물에 있어서 SRAP 분석을 이용한 품종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는 복숭아, 포도 등에서 보고되었다(Ahmad et al.2004; Guo et al. 2012). Ahmad et al. (2004)은 38종의 복숭아와 넥타린(nectarine) 품종을 10개의 SRAP primer 조합을 분석하여 49개의 다형성 밴드를 선발하였고, 이 중 30품종에서 고유의 밴드가 증폭되어 복숭아와 같이 변이가 적은 종에서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는데 효과적이었음을 보고하였다. Guo et al. (2012)은 76종의 포도 재배품종과 야생종의 유전자원을 이용한 SRAP 분석을 통해 중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과 야생종 유전자원 간에는 유전적 다양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버펄로그래스(buffalograss)에서도 SRAP 마커가 RAPD, SSR 등 다른 마커 시스템에 비해 다형성률이 높아 가깝게 연관된 품종들 간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는데 더 유용한 방법으로 보고되었다(Budak et al. 2004).

집괴분석을 이용한 참다래 유전자원의 유전적 다양성

RAPD와 SRAP 분석에서 얻어진 434개의 다형성 밴드를 이용하여 참다래 유전자원의 유사도 값을 측정한 결과 전체 범위는 0.479 ~ 0.991이었다. 가장 높은 유사도 값(0.991)을 나타낸 것은 A. deliciosa에 속한 중국에서 수집한 NHK0038과 NHK0040로서 과실의 모양 등 표현형을 고려할 때 동일한 개체로 추정되었으며, 가장 낮은 유사도 값(0.471)을 나타낸 것은 A. deliciosa인 ‘헤이워드’와 A. arguta인 국내에서 수집한 K5-1-22 간이었다. 평균 유사도 값은 0.717이었으며, 가장 높은 평균 유사도 값(0.777)을 나타낸 것은 A. chinensis인 중국에서 수집한 ‘Golden King’이었고, 가장 낮은 것(0.583)은 K5-1-22이었다(Table 4). A. arguta에 속하는 K5-1-22, K5-2-22, K5-3-18, 26-1-8, NHK0024 등의 유사도 값은 0.583-0.613으로 다른 유전자원에 비해 대체적으로 낮았다. 유사도 지수를 이용하여 집괴분석한 결과 유사도 0.680를 기준으로 하여 나누었을 때 3개 그룹으로 분류되었다(Fig. 2). 제1그룹은 A. deliciosaA. chinensis에 속하는 품종과 이 2종을 모본으로 사용한 교배조합인 A. deliciosa × A. arguta, A. chinensis × A. arguteA. chinensis × A. deliciosa의 교잡종에 속하는 46점의 유전자원이 포함되었다. A. deliciosa에 속하는 품종 및 유전자원은 ‘헤이워드’를 포함한 17점이었고, A. chinensis에 속하는 것은 ‘Hort16A’를 비롯한 23점이었다. A. deliciosa × A. arguta의 교잡종에 속하는 것은 NHK0048, ‘방울이’, ‘보화’, ‘보옥’의 4점이었고, A. chinensis × A. arguta의 교잡종에 속하는 것은 ‘Sensation apple’과 ‘Tara Vine’를 교배하여 육성된 ‘2005-2-101’이었다. 또한 A. chinensis × A. deliciosa의 교잡종에는 ‘Sensation apple’과 ‘Tara Vine’를 교배하여 육성된 ‘제시그린’이 포함되었다. 중국에서 수집한 NHK0042와 NHK0040을 교배하여 육성된 ‘감록’과 ‘델리웅’은 양친인 NHK0042와 동일한 cluster에 위치하였고 ‘감록’과 ‘델리웅’ 간의 유사도 값은 0.912였다. ‘감록’은 2013년에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육성한 감미가 높고 신맛이 적은 녹색 과육 품종이고, ‘델리웅’은 2014년에 육성된 수분수 품종으로 기존 수분수보다 5~7일 일찍 개화하며 ‘골드원’과 ‘헤이워드’에 적합한 수분수이다. A. chinensis var. rufopulpa에 속하는 과심 주변 내과피가 적색인 CG-2와 ‘홍양’ 간의 유사도 값은 0.984로서 매우 유사한 품종으로 추정되어, 정밀한 형태학적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체적으로 A. deliciosa와 A. chinensis에 속하는 품종끼리 각각 동일한 cluster로 분류되었다. A. deliciosaA. chinensis는 형태학적으로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하나의 종으로 여겨졌지만 핵과 엽록체를 탐침(probe)으로 한 RFLP 분석에서 두 게놈 간의 차이가 명확해 다른 종으로 분류되었다(Crowhurst et al. 1990; Ferguson et al. 1996). Liu et al. (2010)는 10개 지역에서 수집한 Actinidia 7종을 대상으로 유전적 변이 양상과 종 사이의 유전자 이동(gene flow)에 관해 조사하기 위하여 SSR 분석한 결과, 이들 중에서 A. deliciosaA. chinensis의 유전적 유사성이 가장 높았고 81%의 대립인자(allele)를 공유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Table 4 . Average genetic similarity values of 60 possible comparisons for 61 kiwifruit germplasms.

No.GermplasmAverage genetic similarity valueNo.  GermplasmAverage genetic similarity value
126-1-80.60232M51-20.747
226-1-120.60833NHK00270.633
326-7-100.66834Matua0.754
42005-2-1010.68935NHK01560.769
5Deliwoong0.73136Octogreen0.744
6Abbott0.73137Pohwa0.743
7Bangwoori0.67838Po-ok0.743
8Bidan0.64639NHK00240.613
9Bruno0.74340Redvita0.760
10CG-20.75141NHK01270.631
11Chieftain0.74542NHK00500.635
12Garmrok0.75243NHK00510.636
13NHK01540.77244Samdong Lee’s Gold0.753
14Goldrush0.76345Sensation Apple0.765
15NHK01550.77246Skinny Green0.598
16Golden King0.77747NHK00120.763
17Golden Yellow0.76548NHK00130.744
18Goldone0.77149NHK00190.751
19Haegeum0.75850NHK00210.763
20Halla Gold0.75451NHK00220.752
21Hayward0.73352NHK01170.751
22NHK00310.64353NHK00230.761
23Hongyang0.75054NHK00380.746
24Hort16A0.76155NHK00400.752
25Jecy Gold0.75956NHK00410.741
26Jecy Green0.76157NHK00420.729
27K5-1-220.58358Red Princess0.774
28K5-2-220.58659NHK00480.692
29K5-3-180.58560Songoku0.758
30K5-4-30.59161Tomuri0.744
31Lushanxiang0.761-Mean0.717

Figure 2.

Dendrogram of 61 kiwifruit germplasms based on genetic similarity values collected from RAPD and SRAP data. Scale indicates genetic similarity values


제2그룹에는 A. arguta에 속하는 유전자원 7점과 A. arguta × A. deliciosa의 교잡종인 ‘스키니그린’이 포함되었다. A. arguta에 속하는 유전자원은 국내에서 수집된 26-1-8, 26-1-12, K5-1-22, K5-2-22, K5-3-18, K5-4-3과 중국에서 수집된 NHK0024였다. 이중에서 K5-2-22와 K5-3-18 간의 유사도 값은 0.989로 가장 높았다. A. arguta는 동아시아가 자생지로 추위에 강하고, 배수성이 다양하여 2, 4, 6, 7, 8배체가 존재하는데 동아시아에 전반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은 4배체로 알려져 있다(Ferguson and Huang 2007). 과실은 단맛과 신맛의 조화가 잘 어우러지고 향이 뛰어나며 비타민 C와 폴리페놀 함량이 높다(Nishiyama and Oota 2007). 껍질째 식용이 가능하고 건강 기능 성분이 풍부하여 A. arguta의 시장에서의 가치가 증가함에 따라 여러 나라에서 더 우수한 품종을 선발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미국, 칠레, 뉴질랜드 등에서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다(Kabaluk et al. 1997; Stãnicã and Zuccherelli 2007; Williams et al. 2003). ‘스키니그린’은 KN8903과 ‘Tara Vine’을 교배하여 2007년에 육성된 품종으로 과피에 털이 없고 껍질이 얇아 껍질째 식용이 가능하고 추위에 다소 강한 특성이 있다. 제3그룹에는 A. rufa, A. hemsleyana, A. macrosperma, A. polygama, A. eriantha 종에 속하는 유전자원 7점이 포함되었다. 국내에서 수집된 26-7-10(A. rufa)과 중국에서 수집된 NHK0031 (A. hemsleyana), 그리고 NHK0027 (A. macrosperma)과 NHK0127 (A. polygama)과는 각각 동일한 cluster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Huang et al. (2002)의 결과와도 유사하다. A. eriantha에 속하는 ‘비단’도 같은 종인 NHK0050, NHK0051과 동일한 cluster에 포함되었다. 이상의 RAPD와 SRAP 마커를 이용한 집괴분석에서 참다래 유전자원의 대부분은 동일한 종끼리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현재 참다래의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소비자의 수요에 맞는 다양한 품종과 난온대 기후에 적합하고 꽃 솎기 등 생산 노력을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생력형에 중점을 둔 품종 개발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육종 목표에 부합되는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전자원을 수집하여 유전적 변이의 폭을 확대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현재 보존 중인 많은 유전자원에 대한 형태적 형질 등의 정밀한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다양한 지역에서 수집된 참다래 유전자원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에 대한 정보는 축적된 형태적 형질의 정보와 더불어 효율적인 유전자원 관리 및 품종 육성을 위한 교배조합 작성 등 육종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적요

본 연구는 참다래(Actinidia spp.) 유전자원의 유전적 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재배품종 및 국내·외에서 수집한 참다래 61점을 대상으로 RAPD와 SRAP 분석을 수행하였다. RAPD 분석에서 40종의 선발 primer를 이용하여 230개의 다형성 밴드를 얻었으며, 평균 다형성 밴드 수는 5.75개였다. 32종의 primer 조합을 이용한 SRAP 분석에서 204개의 다형성 밴드를 획득하였고, 평균 다형성 밴드 수는 6.38 개였다. RAPD와 SRAP 분석에서 획득된 434개의 다형성 밴드를 이용하여 비가중 평균결합 방식으로 집괴분석한 결과 유전적 유사도 지수 0.680을 기준으로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제1그룹에는 A. deliciosaA. chinensis에 속하는 품종과 A. deliciosa × A. arguta, A. chinensis × A. arguta, A. chinensis × A. deliciosa의 교잡종에 속하는 46점의 유전자원이 포함되었다. 제2그룹에는 A. arguta에 속하는 유전자원 7점과 A. arguta × A. deliciosa의 교잡종인 ‘스키니그린’이 포함되었다. 제3그룹에는 A. rufa, A. hemsleyana, A. macrosperma, A. polygama, A. eriantha 종에 속하는 유전자원 7점이 포함되었다. 참다래 유전자원 간 유전적 유사도 값은 0.479~0.991의 범위로 평균 유전적 유사도는 0.717이었다. 가장 높은 유사도 값(0.991)을 나타낸 유전자원은 NHK0038(A. deliciosa)과 NHK0040(A. deliciosa) 간이었고 가장 낮은 유사도 값(0.479)을 나타낸 유전자원은 ‘헤이워드’(A. deliciosa)와 K5-1-22(A. arguta) 간이었다.

사사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번호: PJ01022805)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Fig 1.

Figure 1.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profiles of 61 kiwifruit germplasms amplified using UBC600 primer (A) and me10/em13 primer combination (B), respectively. Lane numbers represent kiwifruit germplasms as shown in Table 1. M, 100 bp plus DNA ladder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7; 44: 303-311https://doi.org/10.5010/JPB.2017.44.3.303

Fig 2.

Figure 2.

Dendrogram of 61 kiwifruit germplasms based on genetic similarity values collected from RAPD and SRAP data. Scale indicates genetic similarity values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7; 44: 303-311https://doi.org/10.5010/JPB.2017.44.3.303

Table 1 . Kiwifruit germplasms used in this study, including parentages and species.

No.  Germplasm  Parentage or origin  Species
126-1-8Korean collectionA. arguta
226-1-12Korean collectionA. arguta
326-7-10 (male)Korean collectionA. rufa
42005-2-101Sensation Apple × Tara VineA. chinensis × A. arguta
5Deliwoong (male)NHK0042 × NHK0041A. deliciosa
6AbbottChance seedlingA. deliciosa
7BangwooriTara Vine × TomuriA. deliciosa × A. arguta
8BidanSKK s20 × SKK s10A. eriantha
9BrunoChance seedlingA. deliciosa
10CG-2A. chinensis var. rufopulpa OPA. chinensis var. rufopulpa
11Chieftain (male)New Zealand collectionA. deliciosa
12GarmrokNHK0042 × NHK0041A. deliciosa
13NHK0154New Zealand collectionA. deliciosa
14GoldrushACT-12 × ACT-13A. chinensis
15NHK0155New Zealand collectionA. chinensis
16Golden KingChina collectionA. chinensis
17Golden YellowChina collectionA. chinensis
18GoldoneNHK0047 × NHK0013A. chinensis
19HaegeumJinfeng × SKK2A. chinensis
20Halla GoldGolden Yellow × SongokuA. chinensis
21HaywardChance seedlingA. deliciosa
22NHK0031China collectionA. hemsleyana
23HongyangA. chinensis var. rufopulpa OPA. chinensis var. rufopulpa
24Hort16ACK01 × CK15A. chinensis
25Jecy GoldGolden Yellow × SongokuA. chinensis
26Jecy GreenSensation Apple × TomuriA. chinensis × A. deliciosa
27K5-1-22Korean collectionA. arguta
28K5-2-22 (male)Korean collectionA. arguta
29K5-3-18 (male)Korean collectionA. arguta
30K5-4-3Korean collectionA. arguta
32M51-2 (male)New Zealand collectionA. deliciosa
33NHK0027China collectionA. macrosperma
34Matua (male)Chance seedlingA. deliciosa
35NHK0156New Zealand collectionA. chinensis
36OctogreenHA8457 × MatuaA. deliciosa
37Pohwa (male)Hayward × Tara VineA. deliciosa × A. arguta
38Po-okHayward × Tara VineA. deliciosa × A. arguta
39NHK0024China collectionA. arguta var. purpurea
40RedvitaNHK0047 × NHK0013A. chinensis
41NHK0127 (male)China collectionA. polygama
42NHK0050 (male)China collectionA. eriantha
43NHK0051China collectionA. eriantha
44Samdong Lee’s GoldKorean collectionA. chinensis
45Sensation AppleChina collectionA. chinensis
46Skinny GreenKN8903 × Tara VineA. arguta × A. deliciosa
47NHK0012China collectionA. chinensis
48NHK0013 (male)China collectionA. chinensis
49NHK0019China collectionA. deliciosa
50NHK0021China collectionA. chinensis
51NHK0022China collectionA. chinensis
52NHK0117 (male)China collectionA. chinensis
53NHK0023China collectionA. chinensis
54NHK0038China collectionA. deliciosa
55NHK0040China collectionA. deliciosa
56NHK0041 (male)China collectionA. deliciosa
57NHK0042China collectionA. deliciosa
58Red PrincessChina collectionA. deliciosa
59NHK0048China collectionA. deliciosa × A. arguta
60Songoku (male)Japan collectionA. chinensis
61Tomuri (male)Chance seedlingA. deliciosa

Table 2 .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primers used in this study, sequences and numbers of polymorphic fragments produced.

PrimerSequence (5’ → 3’)No. of polymorphic bands
OPA-09GGGTAACGCC4
OPA-11CAATCGCCGT4
OPA-16AGCCAGCGAA5
OPD-12CACCGTATCC7
OPE-08TCACCACGGT6
OPE-09CTTCACCCGA9
OPG-01CTACGGAGGA5
OPG-05CTGAGACGGA7
OPG-09CTGACGTCAC6
OPG-10AGGGCCGTCT8
OPG-12CAGCTCACGA6
OPG-18GGCTCATGTG5
OPG-19GTCAGGGCAA5
OPK-01CATTCGAGCC8
OPK-07AGCGAGCAAG3
OPK-08GAACACTGGG5
OPL-07AGGCGGGAAC4
OPM-05GGGAACGTGT5
OPM-06CTGGGCAACT6
OPM-07CCGTGACTCA4
OPM-14AGGGTCGTTC10
OPM-15GACCTACCAC3
OPN-05ACTGAACGCC5
OPN-10ACAACTGGGG4
OPN-16AAGCGACCTG5
OPN-19GTCCGTACTG4
UBC186GTGCGTCGCT8
UBC248GAGTAAGCGG7
UBC254CGCCCCCATT6
UBC268AGGCCGCTTA7
UBC269CCAGTTCGCC6
UBC381ATGAGTCCTG4
UBC402CCCGCCGTTG8
UBC517GGTCGCAGCT5
UBC519ACCGGACACT4
UBC530AATAACCGCC7
UBC531GCTCACTGTT5
UBC533GCATCTACGC4
UBC536GCCCCTCGTC7
UBC600GAAGAACCGC9

Table 3 .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primer combinations used in this study, sequences and numbers of polymorphic fragments produced.

Primer combinationSequence (5’ → 3’)No. of polymorphic bands

   Forward (me)   Reverse (em)
me1/em2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TGC4
me1/em3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GAC6
me1/em4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TGA10
me1/em6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GCA4
me1/em10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TAG7
me1/em11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TCG6
me1/em13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GGT4
me1/em15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CTG5
me1/em17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CCA7
me1/em18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GAT8
me1/em21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CTA8
me1/em22TGAGTCCAAACCGGATAGACTGCGTACGAATTCTC11
me2/em2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TGC7
me2/em3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GAC6
me2/em4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TGA4
me2/em6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GCA5
me2/em9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TCA4
me2/em10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TAG8
me2/em16TGAGTCCAAACCGGAGCGACTGCGTACGAATTCGG4
me3/em3TGAGTCCAAACCGGAGTGACTGCGTACGAATTGAC7
me3/em4TGAGTCCAAACCGGAGTGACTGCGTACGAATTTGA7
me3/em10TGAGTCCAAACCGGAGTGACTGCGTACGAATTTAG6
me5/em14TGAGTCCAAACCGGAAGGACTGCGTACGAATTCAG7
me5/em17TGAGTCCAAACCGGAAGGACTGCGTACGAATTCCA5
me5/em19TGAGTCCAAACCGGAAGGACTGCGTACGAATTCAA9
me5/em22TGAGTCCAAACCGGAAGGACTGCGTACGAATTCTC5
me6/em2TGAGTCCAAACCGGTAAGACTGCGTACGAATTTGC7
me6/em3TGAGTCCAAACCGGTAAGACTGCGTACGAATTGAC6
me8/em5TGAGTCCAAACCGGATGGACTGCGTACGAATTAAC8
me8/em8TGAGTCCAAACCGGATGGACTGCGTACGAATTAGC6
me9/em20TGAGTCCAAACCGGACAGACTGCGTACGAATTCAT5
me10/em13TGAGTCCAAACCGGGAT-GACTGCGTACGAATTGGT8

Table 4 . Average genetic similarity values of 60 possible comparisons for 61 kiwifruit germplasms.

No.GermplasmAverage genetic similarity valueNo.  GermplasmAverage genetic similarity value
126-1-80.60232M51-20.747
226-1-120.60833NHK00270.633
326-7-100.66834Matua0.754
42005-2-1010.68935NHK01560.769
5Deliwoong0.73136Octogreen0.744
6Abbott0.73137Pohwa0.743
7Bangwoori0.67838Po-ok0.743
8Bidan0.64639NHK00240.613
9Bruno0.74340Redvita0.760
10CG-20.75141NHK01270.631
11Chieftain0.74542NHK00500.635
12Garmrok0.75243NHK00510.636
13NHK01540.77244Samdong Lee’s Gold0.753
14Goldrush0.76345Sensation Apple0.765
15NHK01550.77246Skinny Green0.598
16Golden King0.77747NHK00120.763
17Golden Yellow0.76548NHK00130.744
18Goldone0.77149NHK00190.751
19Haegeum0.75850NHK00210.763
20Halla Gold0.75451NHK00220.752
21Hayward0.73352NHK01170.751
22NHK00310.64353NHK00230.761
23Hongyang0.75054NHK00380.746
24Hort16A0.76155NHK00400.752
25Jecy Gold0.75956NHK00410.741
26Jecy Green0.76157NHK00420.729
27K5-1-220.58358Red Princess0.774
28K5-2-220.58659NHK00480.692
29K5-3-180.58560Songoku0.758
30K5-4-30.59161Tomuri0.744
31Lushanxiang0.761-Mean0.717

References

  1. Ahmad R, Potter D, and Southwick SM. (2004) Genotyping of peach and nectarine cultivars with SSR and SRAP molecular markers. J Am Soc Hort Sci 129, 204-210.
  2. Budak H, Shearman RC, Parmaksiz I, and Dweikat I. (2004) Comparative analysis of seeded and vegetative biotype buffalograsses based on phylogenetic relationship using ISSRs, SSRs, RAPDs, and SRAPs. Theor Appl Genet 109, 280-288.
    Pubmed CrossRef
  3. Cho KH, Heo S, Kim JH, Shin IS, Kim SH, Kim DH, Han SE, and Kim HR. (2010)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of apple cultivars using RAPD and SSR markers. Kor J Breed Sci 42, 525-533.
  4. Cipriani G, Bella RD, and Testolin R. (1996) Screening RAPD primers for molecular taxonomy and cultivar fingerprinting in the genus Actinidia. Euphytica 90, 169-174.
    CrossRef
  5. Crowhurst RN, Lints R, Atkinson RG, and Gardner RC. (1990)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in the genus Actinidia(Actinidiaceae). Plant Syst Evol 172, 193-203.
    CrossRef
  6. Ellsworth DL, Rittenhous KD, and Honeycutt RL. (1993) Artifactual variation in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banding patterns. BioTechniques 14, 214-217.
    Pubmed
  7. Ferguson AR. (2007) The need for characterisation and evaluation of germplasms: kiwifruit as an example. Euphytica 154, 371-382.
    CrossRef
  8. Ferguson AR, and Huang HW. (2007) Genetic resources of kiwifruit: domestication and breeding. Hor Rev 33, 1-121.
    CrossRef
  9. Ferguson AR, Seal AG, McNeilage MA, Fraser LG, Harvey CF, and Beatson RA. (1996) Kiwifruit. Fruit breeding, Janick J, and Moore JN (eds.) II, pp.371-417. Vine and small fruit crops. Prentice Hall, New York.
  10. Guo D, Zhang J, Liu C, Zhang G, Li M, and Zhang Q. (2012) Genetic variability and relationships between and within grape cultivated varieties and wild species based on SRAP markers. Tree Genet Genom 8, 789-800.
    CrossRef
  11. Huang HW, Li Z, and Li J. (2002)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Actinidia as revealed by RAPD analysis. J Amer Soc Hort Sci 127, 759-766.
  12. Jaeger SR, and Harker FR. (2005) Consumer evaluation of novel kiwifruit: willingness-to-pay. J Sci Food Agric 85, 2519-2526.
    CrossRef
  13. Kabaluk JT, Kempler C, and Toivonen PMA. (1997) Actinidia arguta- characteristics relevant to commercialization production. Fruit Var J 51, 117-122.
  14. Korkovelos AE, Mavromatis AG, Huang WG, Hagidimitriou M, Giakoundis A, and Goulas CK. (2008) Effectiveness of SSR molecular markers in evaluating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eight Actinidia species. Sci Hortic 116, 305-310.
    CrossRef
  15. Li G, and Quiros CF. (2001)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a new marker system based on a simple PCR reaction: its application to mapping and gene tagging in Brassica. Theor Appl Genet 103, 455-461.
    CrossRef
  16. Liu Y, Liu Y, and Huang H. (2010) Genetic variation and natural hybridization among sympatric Actinidia species and the implications for introgression breeding of kiwifruit. Tree Genet Genomes 6, 801-813.
    CrossRef
  17. Nishiyama I, and Oota T. (2007) Fruits of the Actinidia genus. Adv Food Nutr Res 52, 293-324.
    CrossRef
  18. Novo M, Rome S, Rey M, Prado MJ, and González. (2010) Identification and sequence characterisation of molecular markers polymorphic between male 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var deliciosa (A Chev.) A. Chev.) accessions exhibiting different flowering time. Euphytica 175, 109-121.
    CrossRef
  19. Palombi MA, and Damiano C. (2002) Comparison between RAPD and SSR molecular markers in detecting genetic variation in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A. Chev). Plant Cell Rep 20, 1061-1066.
    CrossRef
  20. Park YK, Han Si, Kim SH, and Kang MS. (2011) Changes of photosynthesis, leaf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Actinidia arguta and hybrid kiwi (A. arguta×A. deliciosa) according to crown layer. J Korean For Soc 100, 8-13.
  21. Prado MJ, Gonzalez MV, Romo S, and Herrera MY. (2007) Adventitious plant regeneration on leaf explants from adult male kiwifruit and AFLP analysis of genetic variation. Plant Cell Tiss Cult 88, 1-10.
    CrossRef
  22. Stãnicã F, and Zuccherelli G. (2007) New selections of Actinidia arguta from the Romanian breeding program. Acta Hortic 753, 263-267.
    CrossRef
  23. Uzun A, Gulsen O, Seday U, Bircan M, and Yilmaz KU. (2010) SRAP based genetic analysis of some apricot cultivars. Romanian Biotechnol Lett 15, 5396-5404.
  24. Williams MH, Boyd LM, McNeilage MA, MacRae EA, Ferguson RA, and Martin PJ. (2003)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Baby Kiwi’ (Actinidia argute Planch). Acta Hortic 610, 81-86.
    CrossRef
  25. Zhao Y, Lin H, Guo Y, Liu Z, Guo X, and Li K. (2013) Genetic linkage maps of pear based on SRAP markers. Pak J Bot 45, 1265-1271.
  26. Zhen Y, Li Z, and Huang H. (2004)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kiwifruit (Actinidia) cultivars and selections using SSR markers. J Amer Soc Hort Sci 129, 374-382.
JPB
Vol 52. 2025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Related articles in JPB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pISSN 1229-2818
eISSN 2384-1397
qr-code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