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Plant Biotechnol 2017; 44(3): 303-311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17
https://doi.org/10.5010/JPB.2017.44.3.303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조강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남해출장소
Correspondence to : e-mail: khc7027@korea.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n this stud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analyses were used for evaluation of genetic diversity of 61 kiwifruit (
Keywords
참다래(
2007). 이를 위해서 유전자원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약 140점의 참다래 유전자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원예적 형질에 대한 특성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참다래 유전자원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형태형질뿐 만 아니라 분자생물학적 분석법인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Crowhurst et al. 1990),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Cipriani et al. 1996; Huang et al. 2002; Palombi and Damiano 2002),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rado et al. 2007), simple sequence repeats (Korkovelos et al. 2008; Zhen et al. 2004)와 같은 다양한 DNA 마커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RAPD 마커는 재현성은 낮지만 다른 분석방법들에 비해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유전자원의 분류 및 유연관계 분석에 효과적이다(Cho et al. 2010).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마커는 Li와 Quiros (2001)에 의해 Brassica 작물에서 처음 개발되어 엑손(exon) 부분과 인트론(intron), 프로모터(promoter) 부분을 증폭할 수 있는 2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open reading frames 부분이 증폭되도록 고안된 것으로 배(Zhao et a1. 2013), 포도(Guo et al. 2012), 복숭아(Ahmad et al. 2004), 살구(Uzun et al. 2010) 등 다양한 작물에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참다래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RAPD와 SRAP 마커를 이용하여 유연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유전적 다양성을 파악하여 신품종 육종 시 교배친 선정 등 육종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재료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남해출장소에서 보존 중인 참다래 재배품종 및 국내·외에서 수집된 유전자원 총 61점을 이용하였다(Table 1). 참다래 어린 잎을 채취하고 DNeasy plant mini kit(Qiagen, Valencia, CA, USA)를 사용하여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DNA는 0.8% agarose gel에 전기영동하여 확인하였고 DNA 양은 NanoDrop spectrophotometer (Thermo Fisher Scientific, MA, USA)로 정량한 후 10 ng·µL-1의 농도로 희석하여 PCR 분석에 이용하였다.
Table 1 Kiwifruit germplasms used in this study, including parentages and species
No. | Germplasm | Parentage or origin | Species |
---|---|---|---|
1 | 26-1-8 | Korean collection | |
2 | 26-1-12 | Korean collection | |
3 | 26-7-10 (male) | Korean collection | |
4 | 2005-2-101 | Sensation Apple × Tara Vine | |
5 | Deliwoong (male) | NHK0042 × NHK0041 | |
6 | Abbott | Chance seedling | |
7 | Bangwoori | Tara Vine × Tomuri | |
8 | Bidan | SKK s20 × SKK s10 | |
9 | Bruno | Chance seedling | |
10 | CG-2 | ||
11 | Chieftain (male) | New Zealand collection | |
12 | Garmrok | NHK0042 × NHK0041 | |
13 | NHK0154 | New Zealand collection | |
14 | Goldrush | ACT-12 × ACT-13 | |
15 | NHK0155 | New Zealand collection | |
16 | Golden King | China collection | |
17 | Golden Yellow | China collection | |
18 | Goldone | NHK0047 × NHK0013 | |
19 | Haegeum | Jinfeng × SKK2 | |
20 | Halla Gold | Golden Yellow × Songoku | |
21 | Hayward | Chance seedling | |
22 | NHK0031 | China collection | |
23 | Hongyang | ||
24 | Hort16A | CK01 × CK15 | |
25 | Jecy Gold | Golden Yellow × Songoku | |
26 | Jecy Green | Sensation Apple × Tomuri | |
27 | K5-1-22 | Korean collection | |
28 | K5-2-22 (male) | Korean collection | |
29 | K5-3-18 (male) | Korean collection | |
30 | K5-4-3 | Korean collection | |
32 | M51-2 (male) | New Zealand collection | |
33 | NHK0027 | China collection | |
34 | Matua (male) | Chance seedling | |
35 | NHK0156 | New Zealand collection | |
36 | Octogreen | HA8457 × Matua | |
37 | Pohwa (male) | Hayward × Tara Vine | |
38 | Po-ok | Hayward × Tara Vine | |
39 | NHK0024 | China collection | |
40 | Redvita | NHK0047 × NHK0013 | |
41 | NHK0127 (male) | China collection | |
42 | NHK0050 (male) | China collection | |
43 | NHK0051 | China collection | |
44 | Samdong Lee’s Gold | Korean collection | |
45 | Sensation Apple | China collection | |
46 | Skinny Green | KN8903 × Tara Vine | |
47 | NHK0012 | China collection | |
48 | NHK0013 (male) | China collection | |
49 | NHK0019 | China collection | |
50 | NHK0021 | China collection | |
51 | NHK0022 | China collection | |
52 | NHK0117 (male) | China collection | |
53 | NHK0023 | China collection | |
54 | NHK0038 | China collection | |
55 | NHK0040 | China collection | |
56 | NHK0041 (male) | China collection | |
57 | NHK0042 | China collection | |
58 | Red Princess | China collection | |
59 | NHK0048 | China collection | |
60 | Songoku (male) | Japan collection | |
61 | Tomuri (male) | Chance seedling |
참다래 RAPD 분석에 적합한 primer를 선발하기 위해서 Operon (Operon Technologies, Alameda, CA, USA)과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BC, Vancouver, BC, Canada)에서 제조된 10개의 염기로 구성된 380종의 primer를 검정하였다. 참다래 유전자원간 다형성을 나타내는 RAPD 마커 선발에는 primer 검정에서 선발된 총 40종의 임의 primer를 이용하였다(Table 2).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반응은 genomic DNA 40 ng, 1 × PCR buffer, 0.36 µM 임의 primer, 200 µM dNTP, 3 mM MgCl2와 0.4 units
Table 2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primers used in this study, sequences and numbers of polymorphic fragments produced
Primer | Sequence (5’ → 3’) | No. of polymorphic bands |
---|---|---|
OPA-09 | GGGTAACGCC | 4 |
OPA-11 | CAATCGCCGT | 4 |
OPA-16 | AGCCAGCGAA | 5 |
OPD-12 | CACCGTATCC | 7 |
OPE-08 | TCACCACGGT | 6 |
OPE-09 | CTTCACCCGA | 9 |
OPG-01 | CTACGGAGGA | 5 |
OPG-05 | CTGAGACGGA | 7 |
OPG-09 | CTGACGTCAC | 6 |
OPG-10 | AGGGCCGTCT | 8 |
OPG-12 | CAGCTCACGA | 6 |
OPG-18 | GGCTCATGTG | 5 |
OPG-19 | GTCAGGGCAA | 5 |
OPK-01 | CATTCGAGCC | 8 |
OPK-07 | AGCGAGCAAG | 3 |
OPK-08 | GAACACTGGG | 5 |
OPL-07 | AGGCGGGAAC | 4 |
OPM-05 | GGGAACGTGT | 5 |
OPM-06 | CTGGGCAACT | 6 |
OPM-07 | CCGTGACTCA | 4 |
OPM-14 | AGGGTCGTTC | 10 |
OPM-15 | GACCTACCAC | 3 |
OPN-05 | ACTGAACGCC | 5 |
OPN-10 | ACAACTGGGG | 4 |
OPN-16 | AAGCGACCTG | 5 |
OPN-19 | GTCCGTACTG | 4 |
UBC186 | GTGCGTCGCT | 8 |
UBC248 | GAGTAAGCGG | 7 |
UBC254 | CGCCCCCATT | 6 |
UBC268 | AGGCCGCTTA | 7 |
UBC269 | CCAGTTCGCC | 6 |
UBC381 | ATGAGTCCTG | 4 |
UBC402 | CCCGCCGTTG | 8 |
UBC517 | GGTCGCAGCT | 5 |
UBC519 | ACCGGACACT | 4 |
UBC530 | AATAACCGCC | 7 |
UBC531 | GCTCACTGTT | 5 |
UBC533 | GCATCTACGC | 4 |
UBC536 | GCCCCTCGTC | 7 |
UBC600 | GAAGAACCGC | 9 |
참다래 유전자원의 SRAP 분석에는 primer 검정에서 선발된 총 32종의 조합을 이용하였다(Zhao et al. 2013, Table 3). SRAP 분석은 기존의 Li와 Quiros (2001)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PCR 반응액은 총 15 μL로 genomic DNA 40 ng, 1 × PCR buffer, 0.36 µM primers, 200 μM dNTP, 2 mM MgCl2와 0.5 units
Table 3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primer combinations used in this study, sequences and numbers of polymorphic fragments produced
Primer combination | Sequence (5’ → 3’) | No. of polymorphic bands | |
---|---|---|---|
Forward (me) | Reverse (em) | ||
me1/em2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TGC | 4 |
me1/em3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GAC | 6 |
me1/em4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TGA | 10 |
me1/em6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GCA | 4 |
me1/em10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TAG | 7 |
me1/em11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TCG | 6 |
me1/em13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GGT | 4 |
me1/em15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CTG | 5 |
me1/em17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CCA | 7 |
me1/em18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GAT | 8 |
me1/em21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CTA | 8 |
me1/em22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CTC | 11 |
me2/em2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TGC | 7 |
me2/em3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GAC | 6 |
me2/em4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TGA | 4 |
me2/em6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GCA | 5 |
me2/em9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TCA | 4 |
me2/em10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TAG | 8 |
me2/em16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CGG | 4 |
me3/em3 | TGAGTCCAAACCGGAGT | GACTGCGTACGAATTGAC | 7 |
me3/em4 | TGAGTCCAAACCGGAGT | GACTGCGTACGAATTTGA | 7 |
me3/em10 | TGAGTCCAAACCGGAGT | GACTGCGTACGAATTTAG | 6 |
me5/em14 | TGAGTCCAAACCGGAAG | GACTGCGTACGAATTCAG | 7 |
me5/em17 | TGAGTCCAAACCGGAAG | GACTGCGTACGAATTCCA | 5 |
me5/em19 | TGAGTCCAAACCGGAAG | GACTGCGTACGAATTCAA | 9 |
me5/em22 | TGAGTCCAAACCGGAAG | GACTGCGTACGAATTCTC | 5 |
me6/em2 | TGAGTCCAAACCGGTAA | GACTGCGTACGAATTTGC | 7 |
me6/em3 | TGAGTCCAAACCGGTAA | GACTGCGTACGAATTGAC | 6 |
me8/em5 | TGAGTCCAAACCGGATG | GACTGCGTACGAATTAAC | 8 |
me8/em8 | TGAGTCCAAACCGGATG | GACTGCGTACGAATTAGC | 6 |
me9/em20 | TGAGTCCAAACCGGACA | GACTGCGTACGAATTCAT | 5 |
me10/em13 | TGAGTCCAAACCGGGAT- | GACTGCGTACGAATTGGT | 8 |
RAPD와 SRAP 분석에서 증폭된 다형성 밴드의 유무에 따라 1(유)과 0(무)으로 scoring하였고 참다래 유전자원간의 유연관계는 MVSP (multi-variate statistical package) version 3.13 (Kovach computing services)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Simple matching coefficient에 의해 유전적 유사도 값을 계산하고 이 값을 기초로 하여 비가중평균결합(UPGMA: unweighted pair- group method with arithmetic averages)법으로 집괴분석(cluster analysis)을 하여 dendrogram을 작성하였다.
국내육성 품종인 ‘골드원’ 및 국내·외에서 수집한 참다래 유전자원 61점의 유전적 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RAPD와 SRAP 분석을 하였다. Fig. 1A와 B는 UBC600의 임의 primer와 me10/em13 primer 조합을 이용하여 수행한 RAPD와 SRAP 분석의 profile을 나타낸 것이다. RAPD 분석한 결과 품종 간 다형성을 나타내는 밴드 수는 230개로서 평균 5.75개였다(Table 2). Primer에 따라 선발된 다형성 밴드의 수는 최소 3개(OPK-07, OPM-15)에서 최대 10개(OPM-14)였다. Huang et al.(2002)은 31종(species)이 포함된 40개 분류군(taxon)의 참다래를 대상으로 22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RAPD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188개의 다형성 밴드를 얻어 평균 8.55개의 다형성 밴드를 보고하였다. Novo et al. (2010)은 6개의 임의 primer를 이용한 개화기가 다른 숫나무 41개 식물체의 RAPD 분석에서 총 37개의 다형성 밴드를 얻었다. 다형성 밴드 수는 primer에 따라 2 ~ 11개였으며 평균 6.11개였다. 이와 같이 RAPD 분석에서 다형성 밴드 수의 차이는 사용한 primer의 종류가 다르고 시험재료로 이용한 품종의 유전적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RAPD 분석은 쉽고 빠르게 다량의 변이를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PCR 반응 시 낮은 온도에서 짧은 길이(10 ~ 12-mer)의 primer를 결합시키기 때문에 미세한 반응조건의 차이에 따라 비특이적인 밴드가 증폭되어 안정적인 검출에 문제가 있다(Ellsworth et al. 1993).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재현성이 뚜렷한 다형성 밴드만 선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profiles of 61 kiwifruit germplasms amplified using UBC600 primer (A) and me10/em13 primer combination (B), respectively. Lane numbers represent kiwifruit germplasms as shown in Table 1. M, 100 bp plus DNA ladder
32종의 SRAP primer 조합을 이용한 분석 결과, 선발된 다형성 밴드의 수는 최소 4개(me1/em2, me2/em4, me2/em16 등)에서 최대 11개(me1/em22)였다(Table 3). 총 204개의 다형성 밴드를 획득하였고, 평균 다형성 밴드는 6.38개로 나타났다. Primer 조합 중에서 me1/em22 조합에서 11개로 가장 높은 다형화 현상을 보였고 me1/em4와 me5/em19에서도 각각 10개와 9개의 다형성 밴드를 나타내어 이들 조합이 참다래 유전자원들을 분류하는데 이용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과수작물에 있어서 SRAP 분석을 이용한 품종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는 복숭아, 포도 등에서 보고되었다(Ahmad et al.2004; Guo et al. 2012). Ahmad et al. (2004)은 38종의 복숭아와 넥타린(nectarine) 품종을 10개의 SRAP primer 조합을 분석하여 49개의 다형성 밴드를 선발하였고, 이 중 30품종에서 고유의 밴드가 증폭되어 복숭아와 같이 변이가 적은 종에서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는데 효과적이었음을 보고하였다. Guo et al. (2012)은 76종의 포도 재배품종과 야생종의 유전자원을 이용한 SRAP 분석을 통해 중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과 야생종 유전자원 간에는 유전적 다양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버펄로그래스(buffalograss)에서도 SRAP 마커가 RAPD, SSR 등 다른 마커 시스템에 비해 다형성률이 높아 가깝게 연관된 품종들 간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는데 더 유용한 방법으로 보고되었다(Budak et al. 2004).
RAPD와 SRAP 분석에서 얻어진 434개의 다형성 밴드를 이용하여 참다래 유전자원의 유사도 값을 측정한 결과 전체 범위는 0.479 ~ 0.991이었다. 가장 높은 유사도 값(0.991)을 나타낸 것은
Table 4 Average genetic similarity values of 60 possible comparisons for 61 kiwifruit germplasms
No. | Germplasm | Average genetic similarity value | No. | Germplasm | Average genetic similarity value |
---|---|---|---|---|---|
1 | 26-1-8 | 0.602 | 32 | M51-2 | 0.747 |
2 | 26-1-12 | 0.608 | 33 | NHK0027 | 0.633 |
3 | 26-7-10 | 0.668 | 34 | Matua | 0.754 |
4 | 2005-2-101 | 0.689 | 35 | NHK0156 | 0.769 |
5 | Deliwoong | 0.731 | 36 | Octogreen | 0.744 |
6 | Abbott | 0.731 | 37 | Pohwa | 0.743 |
7 | Bangwoori | 0.678 | 38 | Po-ok | 0.743 |
8 | Bidan | 0.646 | 39 | NHK0024 | 0.613 |
9 | Bruno | 0.743 | 40 | Redvita | 0.760 |
10 | CG-2 | 0.751 | 41 | NHK0127 | 0.631 |
11 | Chieftain | 0.745 | 42 | NHK0050 | 0.635 |
12 | Garmrok | 0.752 | 43 | NHK0051 | 0.636 |
13 | NHK0154 | 0.772 | 44 | Samdong Lee’s Gold | 0.753 |
14 | Goldrush | 0.763 | 45 | Sensation Apple | 0.765 |
15 | NHK0155 | 0.772 | 46 | Skinny Green | 0.598 |
16 | Golden King | 0.777 | 47 | NHK0012 | 0.763 |
17 | Golden Yellow | 0.765 | 48 | NHK0013 | 0.744 |
18 | Goldone | 0.771 | 49 | NHK0019 | 0.751 |
19 | Haegeum | 0.758 | 50 | NHK0021 | 0.763 |
20 | Halla Gold | 0.754 | 51 | NHK0022 | 0.752 |
21 | Hayward | 0.733 | 52 | NHK0117 | 0.751 |
22 | NHK0031 | 0.643 | 53 | NHK0023 | 0.761 |
23 | Hongyang | 0.750 | 54 | NHK0038 | 0.746 |
24 | Hort16A | 0.761 | 55 | NHK0040 | 0.752 |
25 | Jecy Gold | 0.759 | 56 | NHK0041 | 0.741 |
26 | Jecy Green | 0.761 | 57 | NHK0042 | 0.729 |
27 | K5-1-22 | 0.583 | 58 | Red Princess | 0.774 |
28 | K5-2-22 | 0.586 | 59 | NHK0048 | 0.692 |
29 | K5-3-18 | 0.585 | 60 | Songoku | 0.758 |
30 | K5-4-3 | 0.591 | 61 | Tomuri | 0.744 |
31 | Lushanxiang | 0.761 | - | Mean | 0.717 |
Dendrogram of 61 kiwifruit germplasms based on genetic similarity values collected from RAPD and SRAP data. Scale indicates genetic similarity values
제2그룹에는
현재 참다래의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소비자의 수요에 맞는 다양한 품종과 난온대 기후에 적합하고 꽃 솎기 등 생산 노력을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생력형에 중점을 둔 품종 개발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육종 목표에 부합되는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전자원을 수집하여 유전적 변이의 폭을 확대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현재 보존 중인 많은 유전자원에 대한 형태적 형질 등의 정밀한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다양한 지역에서 수집된 참다래 유전자원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에 대한 정보는 축적된 형태적 형질의 정보와 더불어 효율적인 유전자원 관리 및 품종 육성을 위한 교배조합 작성 등 육종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참다래(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번호: PJ01022805)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J Plant Biotechnol 2017; 44(3): 303-311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17 https://doi.org/10.5010/JPB.2017.44.3.303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조강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남해출장소
Kang Hee Cho
Frui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Wan-ju 565-852, Korea,
Namhae Branch,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Namhae 668-812, Korea
Correspondence to: e-mail: khc7027@korea.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n this stud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analyses were used for evaluation of genetic diversity of 61 kiwifruit (
Keywords:
참다래(
2007). 이를 위해서 유전자원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약 140점의 참다래 유전자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원예적 형질에 대한 특성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참다래 유전자원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형태형질뿐 만 아니라 분자생물학적 분석법인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Crowhurst et al. 1990),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Cipriani et al. 1996; Huang et al. 2002; Palombi and Damiano 2002),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rado et al. 2007), simple sequence repeats (Korkovelos et al. 2008; Zhen et al. 2004)와 같은 다양한 DNA 마커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RAPD 마커는 재현성은 낮지만 다른 분석방법들에 비해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유전자원의 분류 및 유연관계 분석에 효과적이다(Cho et al. 2010).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마커는 Li와 Quiros (2001)에 의해 Brassica 작물에서 처음 개발되어 엑손(exon) 부분과 인트론(intron), 프로모터(promoter) 부분을 증폭할 수 있는 2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open reading frames 부분이 증폭되도록 고안된 것으로 배(Zhao et a1. 2013), 포도(Guo et al. 2012), 복숭아(Ahmad et al. 2004), 살구(Uzun et al. 2010) 등 다양한 작물에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참다래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RAPD와 SRAP 마커를 이용하여 유연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유전적 다양성을 파악하여 신품종 육종 시 교배친 선정 등 육종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재료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남해출장소에서 보존 중인 참다래 재배품종 및 국내·외에서 수집된 유전자원 총 61점을 이용하였다(Table 1). 참다래 어린 잎을 채취하고 DNeasy plant mini kit(Qiagen, Valencia, CA, USA)를 사용하여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DNA는 0.8% agarose gel에 전기영동하여 확인하였고 DNA 양은 NanoDrop spectrophotometer (Thermo Fisher Scientific, MA, USA)로 정량한 후 10 ng·µL-1의 농도로 희석하여 PCR 분석에 이용하였다.
Table 1 . Kiwifruit germplasms used in this study, including parentages and species.
No. | Germplasm | Parentage or origin | Species |
---|---|---|---|
1 | 26-1-8 | Korean collection | |
2 | 26-1-12 | Korean collection | |
3 | 26-7-10 (male) | Korean collection | |
4 | 2005-2-101 | Sensation Apple × Tara Vine | |
5 | Deliwoong (male) | NHK0042 × NHK0041 | |
6 | Abbott | Chance seedling | |
7 | Bangwoori | Tara Vine × Tomuri | |
8 | Bidan | SKK s20 × SKK s10 | |
9 | Bruno | Chance seedling | |
10 | CG-2 | ||
11 | Chieftain (male) | New Zealand collection | |
12 | Garmrok | NHK0042 × NHK0041 | |
13 | NHK0154 | New Zealand collection | |
14 | Goldrush | ACT-12 × ACT-13 | |
15 | NHK0155 | New Zealand collection | |
16 | Golden King | China collection | |
17 | Golden Yellow | China collection | |
18 | Goldone | NHK0047 × NHK0013 | |
19 | Haegeum | Jinfeng × SKK2 | |
20 | Halla Gold | Golden Yellow × Songoku | |
21 | Hayward | Chance seedling | |
22 | NHK0031 | China collection | |
23 | Hongyang | ||
24 | Hort16A | CK01 × CK15 | |
25 | Jecy Gold | Golden Yellow × Songoku | |
26 | Jecy Green | Sensation Apple × Tomuri | |
27 | K5-1-22 | Korean collection | |
28 | K5-2-22 (male) | Korean collection | |
29 | K5-3-18 (male) | Korean collection | |
30 | K5-4-3 | Korean collection | |
32 | M51-2 (male) | New Zealand collection | |
33 | NHK0027 | China collection | |
34 | Matua (male) | Chance seedling | |
35 | NHK0156 | New Zealand collection | |
36 | Octogreen | HA8457 × Matua | |
37 | Pohwa (male) | Hayward × Tara Vine | |
38 | Po-ok | Hayward × Tara Vine | |
39 | NHK0024 | China collection | |
40 | Redvita | NHK0047 × NHK0013 | |
41 | NHK0127 (male) | China collection | |
42 | NHK0050 (male) | China collection | |
43 | NHK0051 | China collection | |
44 | Samdong Lee’s Gold | Korean collection | |
45 | Sensation Apple | China collection | |
46 | Skinny Green | KN8903 × Tara Vine | |
47 | NHK0012 | China collection | |
48 | NHK0013 (male) | China collection | |
49 | NHK0019 | China collection | |
50 | NHK0021 | China collection | |
51 | NHK0022 | China collection | |
52 | NHK0117 (male) | China collection | |
53 | NHK0023 | China collection | |
54 | NHK0038 | China collection | |
55 | NHK0040 | China collection | |
56 | NHK0041 (male) | China collection | |
57 | NHK0042 | China collection | |
58 | Red Princess | China collection | |
59 | NHK0048 | China collection | |
60 | Songoku (male) | Japan collection | |
61 | Tomuri (male) | Chance seedling |
참다래 RAPD 분석에 적합한 primer를 선발하기 위해서 Operon (Operon Technologies, Alameda, CA, USA)과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BC, Vancouver, BC, Canada)에서 제조된 10개의 염기로 구성된 380종의 primer를 검정하였다. 참다래 유전자원간 다형성을 나타내는 RAPD 마커 선발에는 primer 검정에서 선발된 총 40종의 임의 primer를 이용하였다(Table 2).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반응은 genomic DNA 40 ng, 1 × PCR buffer, 0.36 µM 임의 primer, 200 µM dNTP, 3 mM MgCl2와 0.4 units
Table 2 .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primers used in this study, sequences and numbers of polymorphic fragments produced.
Primer | Sequence (5’ → 3’) | No. of polymorphic bands |
---|---|---|
OPA-09 | GGGTAACGCC | 4 |
OPA-11 | CAATCGCCGT | 4 |
OPA-16 | AGCCAGCGAA | 5 |
OPD-12 | CACCGTATCC | 7 |
OPE-08 | TCACCACGGT | 6 |
OPE-09 | CTTCACCCGA | 9 |
OPG-01 | CTACGGAGGA | 5 |
OPG-05 | CTGAGACGGA | 7 |
OPG-09 | CTGACGTCAC | 6 |
OPG-10 | AGGGCCGTCT | 8 |
OPG-12 | CAGCTCACGA | 6 |
OPG-18 | GGCTCATGTG | 5 |
OPG-19 | GTCAGGGCAA | 5 |
OPK-01 | CATTCGAGCC | 8 |
OPK-07 | AGCGAGCAAG | 3 |
OPK-08 | GAACACTGGG | 5 |
OPL-07 | AGGCGGGAAC | 4 |
OPM-05 | GGGAACGTGT | 5 |
OPM-06 | CTGGGCAACT | 6 |
OPM-07 | CCGTGACTCA | 4 |
OPM-14 | AGGGTCGTTC | 10 |
OPM-15 | GACCTACCAC | 3 |
OPN-05 | ACTGAACGCC | 5 |
OPN-10 | ACAACTGGGG | 4 |
OPN-16 | AAGCGACCTG | 5 |
OPN-19 | GTCCGTACTG | 4 |
UBC186 | GTGCGTCGCT | 8 |
UBC248 | GAGTAAGCGG | 7 |
UBC254 | CGCCCCCATT | 6 |
UBC268 | AGGCCGCTTA | 7 |
UBC269 | CCAGTTCGCC | 6 |
UBC381 | ATGAGTCCTG | 4 |
UBC402 | CCCGCCGTTG | 8 |
UBC517 | GGTCGCAGCT | 5 |
UBC519 | ACCGGACACT | 4 |
UBC530 | AATAACCGCC | 7 |
UBC531 | GCTCACTGTT | 5 |
UBC533 | GCATCTACGC | 4 |
UBC536 | GCCCCTCGTC | 7 |
UBC600 | GAAGAACCGC | 9 |
참다래 유전자원의 SRAP 분석에는 primer 검정에서 선발된 총 32종의 조합을 이용하였다(Zhao et al. 2013, Table 3). SRAP 분석은 기존의 Li와 Quiros (2001)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PCR 반응액은 총 15 μL로 genomic DNA 40 ng, 1 × PCR buffer, 0.36 µM primers, 200 μM dNTP, 2 mM MgCl2와 0.5 units
Table 3 .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primer combinations used in this study, sequences and numbers of polymorphic fragments produced.
Primer combination | Sequence (5’ → 3’) | No. of polymorphic bands | |
---|---|---|---|
Forward (me) | Reverse (em) | ||
me1/em2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TGC | 4 |
me1/em3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GAC | 6 |
me1/em4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TGA | 10 |
me1/em6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GCA | 4 |
me1/em10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TAG | 7 |
me1/em11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TCG | 6 |
me1/em13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GGT | 4 |
me1/em15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CTG | 5 |
me1/em17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CCA | 7 |
me1/em18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GAT | 8 |
me1/em21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CTA | 8 |
me1/em22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CTC | 11 |
me2/em2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TGC | 7 |
me2/em3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GAC | 6 |
me2/em4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TGA | 4 |
me2/em6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GCA | 5 |
me2/em9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TCA | 4 |
me2/em10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TAG | 8 |
me2/em16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CGG | 4 |
me3/em3 | TGAGTCCAAACCGGAGT | GACTGCGTACGAATTGAC | 7 |
me3/em4 | TGAGTCCAAACCGGAGT | GACTGCGTACGAATTTGA | 7 |
me3/em10 | TGAGTCCAAACCGGAGT | GACTGCGTACGAATTTAG | 6 |
me5/em14 | TGAGTCCAAACCGGAAG | GACTGCGTACGAATTCAG | 7 |
me5/em17 | TGAGTCCAAACCGGAAG | GACTGCGTACGAATTCCA | 5 |
me5/em19 | TGAGTCCAAACCGGAAG | GACTGCGTACGAATTCAA | 9 |
me5/em22 | TGAGTCCAAACCGGAAG | GACTGCGTACGAATTCTC | 5 |
me6/em2 | TGAGTCCAAACCGGTAA | GACTGCGTACGAATTTGC | 7 |
me6/em3 | TGAGTCCAAACCGGTAA | GACTGCGTACGAATTGAC | 6 |
me8/em5 | TGAGTCCAAACCGGATG | GACTGCGTACGAATTAAC | 8 |
me8/em8 | TGAGTCCAAACCGGATG | GACTGCGTACGAATTAGC | 6 |
me9/em20 | TGAGTCCAAACCGGACA | GACTGCGTACGAATTCAT | 5 |
me10/em13 | TGAGTCCAAACCGGGAT- | GACTGCGTACGAATTGGT | 8 |
RAPD와 SRAP 분석에서 증폭된 다형성 밴드의 유무에 따라 1(유)과 0(무)으로 scoring하였고 참다래 유전자원간의 유연관계는 MVSP (multi-variate statistical package) version 3.13 (Kovach computing services)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Simple matching coefficient에 의해 유전적 유사도 값을 계산하고 이 값을 기초로 하여 비가중평균결합(UPGMA: unweighted pair- group method with arithmetic averages)법으로 집괴분석(cluster analysis)을 하여 dendrogram을 작성하였다.
국내육성 품종인 ‘골드원’ 및 국내·외에서 수집한 참다래 유전자원 61점의 유전적 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RAPD와 SRAP 분석을 하였다. Fig. 1A와 B는 UBC600의 임의 primer와 me10/em13 primer 조합을 이용하여 수행한 RAPD와 SRAP 분석의 profile을 나타낸 것이다. RAPD 분석한 결과 품종 간 다형성을 나타내는 밴드 수는 230개로서 평균 5.75개였다(Table 2). Primer에 따라 선발된 다형성 밴드의 수는 최소 3개(OPK-07, OPM-15)에서 최대 10개(OPM-14)였다. Huang et al.(2002)은 31종(species)이 포함된 40개 분류군(taxon)의 참다래를 대상으로 22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RAPD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188개의 다형성 밴드를 얻어 평균 8.55개의 다형성 밴드를 보고하였다. Novo et al. (2010)은 6개의 임의 primer를 이용한 개화기가 다른 숫나무 41개 식물체의 RAPD 분석에서 총 37개의 다형성 밴드를 얻었다. 다형성 밴드 수는 primer에 따라 2 ~ 11개였으며 평균 6.11개였다. 이와 같이 RAPD 분석에서 다형성 밴드 수의 차이는 사용한 primer의 종류가 다르고 시험재료로 이용한 품종의 유전적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RAPD 분석은 쉽고 빠르게 다량의 변이를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PCR 반응 시 낮은 온도에서 짧은 길이(10 ~ 12-mer)의 primer를 결합시키기 때문에 미세한 반응조건의 차이에 따라 비특이적인 밴드가 증폭되어 안정적인 검출에 문제가 있다(Ellsworth et al. 1993).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재현성이 뚜렷한 다형성 밴드만 선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profiles of 61 kiwifruit germplasms amplified using UBC600 primer (A) and me10/em13 primer combination (B), respectively. Lane numbers represent kiwifruit germplasms as shown in Table 1. M, 100 bp plus DNA ladder
32종의 SRAP primer 조합을 이용한 분석 결과, 선발된 다형성 밴드의 수는 최소 4개(me1/em2, me2/em4, me2/em16 등)에서 최대 11개(me1/em22)였다(Table 3). 총 204개의 다형성 밴드를 획득하였고, 평균 다형성 밴드는 6.38개로 나타났다. Primer 조합 중에서 me1/em22 조합에서 11개로 가장 높은 다형화 현상을 보였고 me1/em4와 me5/em19에서도 각각 10개와 9개의 다형성 밴드를 나타내어 이들 조합이 참다래 유전자원들을 분류하는데 이용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과수작물에 있어서 SRAP 분석을 이용한 품종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는 복숭아, 포도 등에서 보고되었다(Ahmad et al.2004; Guo et al. 2012). Ahmad et al. (2004)은 38종의 복숭아와 넥타린(nectarine) 품종을 10개의 SRAP primer 조합을 분석하여 49개의 다형성 밴드를 선발하였고, 이 중 30품종에서 고유의 밴드가 증폭되어 복숭아와 같이 변이가 적은 종에서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는데 효과적이었음을 보고하였다. Guo et al. (2012)은 76종의 포도 재배품종과 야생종의 유전자원을 이용한 SRAP 분석을 통해 중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과 야생종 유전자원 간에는 유전적 다양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버펄로그래스(buffalograss)에서도 SRAP 마커가 RAPD, SSR 등 다른 마커 시스템에 비해 다형성률이 높아 가깝게 연관된 품종들 간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는데 더 유용한 방법으로 보고되었다(Budak et al. 2004).
RAPD와 SRAP 분석에서 얻어진 434개의 다형성 밴드를 이용하여 참다래 유전자원의 유사도 값을 측정한 결과 전체 범위는 0.479 ~ 0.991이었다. 가장 높은 유사도 값(0.991)을 나타낸 것은
Table 4 . Average genetic similarity values of 60 possible comparisons for 61 kiwifruit germplasms.
No. | Germplasm | Average genetic similarity value | No. | Germplasm | Average genetic similarity value |
---|---|---|---|---|---|
1 | 26-1-8 | 0.602 | 32 | M51-2 | 0.747 |
2 | 26-1-12 | 0.608 | 33 | NHK0027 | 0.633 |
3 | 26-7-10 | 0.668 | 34 | Matua | 0.754 |
4 | 2005-2-101 | 0.689 | 35 | NHK0156 | 0.769 |
5 | Deliwoong | 0.731 | 36 | Octogreen | 0.744 |
6 | Abbott | 0.731 | 37 | Pohwa | 0.743 |
7 | Bangwoori | 0.678 | 38 | Po-ok | 0.743 |
8 | Bidan | 0.646 | 39 | NHK0024 | 0.613 |
9 | Bruno | 0.743 | 40 | Redvita | 0.760 |
10 | CG-2 | 0.751 | 41 | NHK0127 | 0.631 |
11 | Chieftain | 0.745 | 42 | NHK0050 | 0.635 |
12 | Garmrok | 0.752 | 43 | NHK0051 | 0.636 |
13 | NHK0154 | 0.772 | 44 | Samdong Lee’s Gold | 0.753 |
14 | Goldrush | 0.763 | 45 | Sensation Apple | 0.765 |
15 | NHK0155 | 0.772 | 46 | Skinny Green | 0.598 |
16 | Golden King | 0.777 | 47 | NHK0012 | 0.763 |
17 | Golden Yellow | 0.765 | 48 | NHK0013 | 0.744 |
18 | Goldone | 0.771 | 49 | NHK0019 | 0.751 |
19 | Haegeum | 0.758 | 50 | NHK0021 | 0.763 |
20 | Halla Gold | 0.754 | 51 | NHK0022 | 0.752 |
21 | Hayward | 0.733 | 52 | NHK0117 | 0.751 |
22 | NHK0031 | 0.643 | 53 | NHK0023 | 0.761 |
23 | Hongyang | 0.750 | 54 | NHK0038 | 0.746 |
24 | Hort16A | 0.761 | 55 | NHK0040 | 0.752 |
25 | Jecy Gold | 0.759 | 56 | NHK0041 | 0.741 |
26 | Jecy Green | 0.761 | 57 | NHK0042 | 0.729 |
27 | K5-1-22 | 0.583 | 58 | Red Princess | 0.774 |
28 | K5-2-22 | 0.586 | 59 | NHK0048 | 0.692 |
29 | K5-3-18 | 0.585 | 60 | Songoku | 0.758 |
30 | K5-4-3 | 0.591 | 61 | Tomuri | 0.744 |
31 | Lushanxiang | 0.761 | - | Mean | 0.717 |
Dendrogram of 61 kiwifruit germplasms based on genetic similarity values collected from RAPD and SRAP data. Scale indicates genetic similarity values
제2그룹에는
현재 참다래의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소비자의 수요에 맞는 다양한 품종과 난온대 기후에 적합하고 꽃 솎기 등 생산 노력을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생력형에 중점을 둔 품종 개발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육종 목표에 부합되는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전자원을 수집하여 유전적 변이의 폭을 확대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현재 보존 중인 많은 유전자원에 대한 형태적 형질 등의 정밀한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다양한 지역에서 수집된 참다래 유전자원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에 대한 정보는 축적된 형태적 형질의 정보와 더불어 효율적인 유전자원 관리 및 품종 육성을 위한 교배조합 작성 등 육종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참다래(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번호: PJ01022805)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profiles of 61 kiwifruit germplasms amplified using UBC600 primer (A) and me10/em13 primer combination (B), respectively. Lane numbers represent kiwifruit germplasms as shown in Table 1. M, 100 bp plus DNA ladder
Dendrogram of 61 kiwifruit germplasms based on genetic similarity values collected from RAPD and SRAP data. Scale indicates genetic similarity values
Table 1 . Kiwifruit germplasms used in this study, including parentages and species.
No. | Germplasm | Parentage or origin | Species |
---|---|---|---|
1 | 26-1-8 | Korean collection | |
2 | 26-1-12 | Korean collection | |
3 | 26-7-10 (male) | Korean collection | |
4 | 2005-2-101 | Sensation Apple × Tara Vine | |
5 | Deliwoong (male) | NHK0042 × NHK0041 | |
6 | Abbott | Chance seedling | |
7 | Bangwoori | Tara Vine × Tomuri | |
8 | Bidan | SKK s20 × SKK s10 | |
9 | Bruno | Chance seedling | |
10 | CG-2 | ||
11 | Chieftain (male) | New Zealand collection | |
12 | Garmrok | NHK0042 × NHK0041 | |
13 | NHK0154 | New Zealand collection | |
14 | Goldrush | ACT-12 × ACT-13 | |
15 | NHK0155 | New Zealand collection | |
16 | Golden King | China collection | |
17 | Golden Yellow | China collection | |
18 | Goldone | NHK0047 × NHK0013 | |
19 | Haegeum | Jinfeng × SKK2 | |
20 | Halla Gold | Golden Yellow × Songoku | |
21 | Hayward | Chance seedling | |
22 | NHK0031 | China collection | |
23 | Hongyang | ||
24 | Hort16A | CK01 × CK15 | |
25 | Jecy Gold | Golden Yellow × Songoku | |
26 | Jecy Green | Sensation Apple × Tomuri | |
27 | K5-1-22 | Korean collection | |
28 | K5-2-22 (male) | Korean collection | |
29 | K5-3-18 (male) | Korean collection | |
30 | K5-4-3 | Korean collection | |
32 | M51-2 (male) | New Zealand collection | |
33 | NHK0027 | China collection | |
34 | Matua (male) | Chance seedling | |
35 | NHK0156 | New Zealand collection | |
36 | Octogreen | HA8457 × Matua | |
37 | Pohwa (male) | Hayward × Tara Vine | |
38 | Po-ok | Hayward × Tara Vine | |
39 | NHK0024 | China collection | |
40 | Redvita | NHK0047 × NHK0013 | |
41 | NHK0127 (male) | China collection | |
42 | NHK0050 (male) | China collection | |
43 | NHK0051 | China collection | |
44 | Samdong Lee’s Gold | Korean collection | |
45 | Sensation Apple | China collection | |
46 | Skinny Green | KN8903 × Tara Vine | |
47 | NHK0012 | China collection | |
48 | NHK0013 (male) | China collection | |
49 | NHK0019 | China collection | |
50 | NHK0021 | China collection | |
51 | NHK0022 | China collection | |
52 | NHK0117 (male) | China collection | |
53 | NHK0023 | China collection | |
54 | NHK0038 | China collection | |
55 | NHK0040 | China collection | |
56 | NHK0041 (male) | China collection | |
57 | NHK0042 | China collection | |
58 | Red Princess | China collection | |
59 | NHK0048 | China collection | |
60 | Songoku (male) | Japan collection | |
61 | Tomuri (male) | Chance seedling |
Table 2 .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primers used in this study, sequences and numbers of polymorphic fragments produced.
Primer | Sequence (5’ → 3’) | No. of polymorphic bands |
---|---|---|
OPA-09 | GGGTAACGCC | 4 |
OPA-11 | CAATCGCCGT | 4 |
OPA-16 | AGCCAGCGAA | 5 |
OPD-12 | CACCGTATCC | 7 |
OPE-08 | TCACCACGGT | 6 |
OPE-09 | CTTCACCCGA | 9 |
OPG-01 | CTACGGAGGA | 5 |
OPG-05 | CTGAGACGGA | 7 |
OPG-09 | CTGACGTCAC | 6 |
OPG-10 | AGGGCCGTCT | 8 |
OPG-12 | CAGCTCACGA | 6 |
OPG-18 | GGCTCATGTG | 5 |
OPG-19 | GTCAGGGCAA | 5 |
OPK-01 | CATTCGAGCC | 8 |
OPK-07 | AGCGAGCAAG | 3 |
OPK-08 | GAACACTGGG | 5 |
OPL-07 | AGGCGGGAAC | 4 |
OPM-05 | GGGAACGTGT | 5 |
OPM-06 | CTGGGCAACT | 6 |
OPM-07 | CCGTGACTCA | 4 |
OPM-14 | AGGGTCGTTC | 10 |
OPM-15 | GACCTACCAC | 3 |
OPN-05 | ACTGAACGCC | 5 |
OPN-10 | ACAACTGGGG | 4 |
OPN-16 | AAGCGACCTG | 5 |
OPN-19 | GTCCGTACTG | 4 |
UBC186 | GTGCGTCGCT | 8 |
UBC248 | GAGTAAGCGG | 7 |
UBC254 | CGCCCCCATT | 6 |
UBC268 | AGGCCGCTTA | 7 |
UBC269 | CCAGTTCGCC | 6 |
UBC381 | ATGAGTCCTG | 4 |
UBC402 | CCCGCCGTTG | 8 |
UBC517 | GGTCGCAGCT | 5 |
UBC519 | ACCGGACACT | 4 |
UBC530 | AATAACCGCC | 7 |
UBC531 | GCTCACTGTT | 5 |
UBC533 | GCATCTACGC | 4 |
UBC536 | GCCCCTCGTC | 7 |
UBC600 | GAAGAACCGC | 9 |
Table 3 .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primer combinations used in this study, sequences and numbers of polymorphic fragments produced.
Primer combination | Sequence (5’ → 3’) | No. of polymorphic bands | |
---|---|---|---|
Forward (me) | Reverse (em) | ||
me1/em2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TGC | 4 |
me1/em3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GAC | 6 |
me1/em4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TGA | 10 |
me1/em6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GCA | 4 |
me1/em10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TAG | 7 |
me1/em11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TCG | 6 |
me1/em13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GGT | 4 |
me1/em15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CTG | 5 |
me1/em17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CCA | 7 |
me1/em18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GAT | 8 |
me1/em21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CTA | 8 |
me1/em22 | TGAGTCCAAACCGGATA | GACTGCGTACGAATTCTC | 11 |
me2/em2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TGC | 7 |
me2/em3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GAC | 6 |
me2/em4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TGA | 4 |
me2/em6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GCA | 5 |
me2/em9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TCA | 4 |
me2/em10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TAG | 8 |
me2/em16 | TGAGTCCAAACCGGAGC | GACTGCGTACGAATTCGG | 4 |
me3/em3 | TGAGTCCAAACCGGAGT | GACTGCGTACGAATTGAC | 7 |
me3/em4 | TGAGTCCAAACCGGAGT | GACTGCGTACGAATTTGA | 7 |
me3/em10 | TGAGTCCAAACCGGAGT | GACTGCGTACGAATTTAG | 6 |
me5/em14 | TGAGTCCAAACCGGAAG | GACTGCGTACGAATTCAG | 7 |
me5/em17 | TGAGTCCAAACCGGAAG | GACTGCGTACGAATTCCA | 5 |
me5/em19 | TGAGTCCAAACCGGAAG | GACTGCGTACGAATTCAA | 9 |
me5/em22 | TGAGTCCAAACCGGAAG | GACTGCGTACGAATTCTC | 5 |
me6/em2 | TGAGTCCAAACCGGTAA | GACTGCGTACGAATTTGC | 7 |
me6/em3 | TGAGTCCAAACCGGTAA | GACTGCGTACGAATTGAC | 6 |
me8/em5 | TGAGTCCAAACCGGATG | GACTGCGTACGAATTAAC | 8 |
me8/em8 | TGAGTCCAAACCGGATG | GACTGCGTACGAATTAGC | 6 |
me9/em20 | TGAGTCCAAACCGGACA | GACTGCGTACGAATTCAT | 5 |
me10/em13 | TGAGTCCAAACCGGGAT- | GACTGCGTACGAATTGGT | 8 |
Table 4 . Average genetic similarity values of 60 possible comparisons for 61 kiwifruit germplasms.
No. | Germplasm | Average genetic similarity value | No. | Germplasm | Average genetic similarity value |
---|---|---|---|---|---|
1 | 26-1-8 | 0.602 | 32 | M51-2 | 0.747 |
2 | 26-1-12 | 0.608 | 33 | NHK0027 | 0.633 |
3 | 26-7-10 | 0.668 | 34 | Matua | 0.754 |
4 | 2005-2-101 | 0.689 | 35 | NHK0156 | 0.769 |
5 | Deliwoong | 0.731 | 36 | Octogreen | 0.744 |
6 | Abbott | 0.731 | 37 | Pohwa | 0.743 |
7 | Bangwoori | 0.678 | 38 | Po-ok | 0.743 |
8 | Bidan | 0.646 | 39 | NHK0024 | 0.613 |
9 | Bruno | 0.743 | 40 | Redvita | 0.760 |
10 | CG-2 | 0.751 | 41 | NHK0127 | 0.631 |
11 | Chieftain | 0.745 | 42 | NHK0050 | 0.635 |
12 | Garmrok | 0.752 | 43 | NHK0051 | 0.636 |
13 | NHK0154 | 0.772 | 44 | Samdong Lee’s Gold | 0.753 |
14 | Goldrush | 0.763 | 45 | Sensation Apple | 0.765 |
15 | NHK0155 | 0.772 | 46 | Skinny Green | 0.598 |
16 | Golden King | 0.777 | 47 | NHK0012 | 0.763 |
17 | Golden Yellow | 0.765 | 48 | NHK0013 | 0.744 |
18 | Goldone | 0.771 | 49 | NHK0019 | 0.751 |
19 | Haegeum | 0.758 | 50 | NHK0021 | 0.763 |
20 | Halla Gold | 0.754 | 51 | NHK0022 | 0.752 |
21 | Hayward | 0.733 | 52 | NHK0117 | 0.751 |
22 | NHK0031 | 0.643 | 53 | NHK0023 | 0.761 |
23 | Hongyang | 0.750 | 54 | NHK0038 | 0.746 |
24 | Hort16A | 0.761 | 55 | NHK0040 | 0.752 |
25 | Jecy Gold | 0.759 | 56 | NHK0041 | 0.741 |
26 | Jecy Green | 0.761 | 57 | NHK0042 | 0.729 |
27 | K5-1-22 | 0.583 | 58 | Red Princess | 0.774 |
28 | K5-2-22 | 0.586 | 59 | NHK0048 | 0.692 |
29 | K5-3-18 | 0.585 | 60 | Songoku | 0.758 |
30 | K5-4-3 | 0.591 | 61 | Tomuri | 0.744 |
31 | Lushanxiang | 0.761 | - | Mean | 0.717 |
Nhat-Anh Tran-Nguyen・My Y Huynh・Hong Hanh Doan・Phuong Ngo Diem Quach・Thanh-Hao Nguyen・ Vi An Ly
J Plant Biotechnol 2024; 51(1): 24-32Ho Bang Kim・Hye-Young Lee・Mi Sun Lee・Yi Lee・Youngtae Choi・Sung-Yeol Kim・Jaeyong Choi
J Plant Biotechnol 2023; 50(1): 207-214Shipra Kumari · Young-Sun Kim · Bashistha Kumar Kanth · Ji-Young Jang · Geung-Joo Lee
J Plant Biotechnol 2019; 46(3): 158-164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profiles of 61 kiwifruit germplasms amplified using UBC600 primer (A) and me10/em13 primer combination (B), respectively. Lane numbers represent kiwifruit germplasms as shown in Table 1. M, 100 bp plus DNA ladder
|@|~(^,^)~|@|Dendrogram of 61 kiwifruit germplasms based on genetic similarity values collected from RAPD and SRAP data. Scale indicates genetic similarity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