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Split Viewer

J Plant Biotechnol 2020; 47(2): 141-149

Published online June 30, 2020

https://doi.org/10.5010/JPB.2020.47.2.141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엽록체 전장유전체 정보를 이용한 Solanum hougasii 특이적 분자마커 개발

김수정 · 박태호

Received: 11 June 2020; Revised: 18 June 2020; Accepted: 18 June 2020

Development of Solanum hougasii-specific markers using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s of Solanum species

Soojung Kim · Tae-Ho Park

Department of Horticulture, Daegu University, Gyeongsan 38453, South Korea

Correspondence to : e-mail: thzoo@daegu.ac.kr

Received: 11 June 2020; Revised: 18 June 2020; Accepted: 18 June 2020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Solanum hougasii, one of the wild Solanum species, has been widely used in potato breeding since it exhibits excellent resistance to diverse important pathogens. S. hougasii can be directly crossed with the cultivated tetraploid potato (S. tuberosum) owing to its EBN (Endosperm Balanced Number) value of 4, which is same as that of S. tuberosum although it is an allohexaploid. In this study,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S. hougasii was obtained by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chloroplast genome of seven other Solanum species to identify S. hougasii-specific PCR markers. The length of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of S. hougasii was 155,549 bp. The structural organization of the chloroplast genome in S. hougasii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at of seven other Solanum species studied. Phylogenetic analysis of S. hougasii with ten other Solanaceae family members revealed that S. hougasii was most closely related to S. stoloniferum, followed by S. berthaultii, and S. tuberosum. Additional comparison of th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with that of five other Solanum species revealed five InDels and 43 SNPs specific to S. hougasii. Based on these SNPs, four PCR-based markers were developed for the differentiation of S. hougasii from other Solanum specie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ill aid in exploring the evolutionary and breeding aspects of Solanum species.

Keywords PCR-based marker, cpDNA, Potato, SNPs, Solanum hougasii

Solanum hougasii는 멕시코에서 자생하는 괴경을 형성하는 감자(Solanum tuberosum L.) 야생종 중의 하나이다. 이 야생종은 감자의 Phytophthora infestans에 의한 감자역병(late blight), Alternaria solani에 의한 겹둥근무늬병 (early blight), 감자선충(root-knot nematode), 감자바이러스Y (potato virus Y) 등 다양한 병원균에 대해 저항성을 보여 감자의 품종 육성에 중요한 재료로 이용된다(Brown et al. 1999; Cockerham 1970; Haynes and Qu 2016; Inglis et al. 2007). S. hougasii는 6배체이나 EBN (Endosperm Balanced Number)이 4로 재배되고 있는 4배체 감자와 동일한 EBN을 가지고 있어 이론적으로 감자와 직접적인 교배를 통한 품종 육성에 이용될 수 있다 (Cho et al. 1997; Hawkes 1990; Haynes and Qu 2016; Ortiz and Ehlenfeldt 1992; Spooner et al. 2014). S. hougasii 염색체의 유전체 구성은 GISH (Genomic in situ hybridization) 분석에 의해 진화적으로 구명되었는데, S. demissum이 AA 게놈을 기반으로 조성된 동질6배체 인 반면, S. hougasii의 유전체는 AABBPP 게놈을 가지는 이질6배체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Pendinen et al. 2012).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보고하고자 하는 S. hougasii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cpDNA)의 결과와 함께 다른 감자 야생종의 cpDNA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AA, BB, 또는 PP 게놈으로 구성되어 있는 다양한 2배체 Solanum 야생종과 동질배수체 및 이질배수체 게놈 구성을 가지는 다양한 Solanum 종들을 대상을 한 진화적인 그리고 감자 육종 측면에서의 새로운 연구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엽록체 또는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세포질 유전체(cpDNA 또는 mtDNA)는 그들만의 특별한 유전체를 가지며 광합성, 웅성불임 등과 같은 중요한 세포성 기능을 하는 특별한 유전자들로 구성되어 있다(Jheng et al. 2012; Ruiz and Daniell 2005). 감자는 기본적으로 다섯 가지의 cpDNA 타입(A, C, S, T and W)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재배종 감자의 경우 β 타입의 mtDNA와 함께 T 타입의 cpDNA로 알려져 있다(Hosaka and Hanneman 1988). T 타입과 다른 cpDNA 타입의 가장 큰 차이는 cpDNA 상의 trnVndhC 사이의 유전자 간 영역에 S. tuberosum에 241 bp의 삭제(deletion)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Hosaka 2002; Hosaka and Sanetome 2012). cpDNA 전체의 염기서열을 구명하는 것은 대부분의 식물종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종 내에서는 그 다형성이 드문 반면, 종 간에는 상대적으로 분명하게 다형성이 나타나 그 정보를 이용하고자 함에 있다(Kim et al. 2015). 이는 많은 식물종의 cpDNA가 구조적으로 거의 유사한 형태를 띄고 있으나(Sugiura et al. 1998; Palmer 1991; Raubeson and Jansen 2005; Saski et al. 2005), 많은 식물종의 cpDNA에서 유전자 순서의 재배치, 역위, SNP, InDel 등과 같은 변이가 발생하여 이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Calsa Junior et al. 2004; Cho et al. 2015; Jheng et al. 2012; Kim et al. 2005; Saski et al. 2005).

본 연구에서는 앞서 Cho et al. (2018)에 의해 간략히 보고된 바 있는 S. hougasii의 전체 cpDNA에 대한 조금 더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와 가지과(Solanaceae) 다른 종의 cpDNA와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개발한 PCR 기반의 S. hougasii 특이적 분자마커 개발에 대한 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식물 재료

본 연구에 사용된 식물 재료로는 엽록체 전장 유전체 분석을 위해 감자 야생종 S. hougasii (SH2)가 사용되었으며, 이후 S. hougasii 특이적 마커 개발을 위해 감자 품종 육성 계통 중 하나인 PT56와 감자 품종 ‘탐라’(‘Tamra’, TR)와 S. hougasii (PI161174, SH2)를 포함한 감자 야생종 16개 계통 - S. acaule (PI310970, SA), S. pinnatisectum (PI190115, SP), S. berthaultii (PI310981, SB1), S. mochiquense (PI338616, SM1), S. cardiophyllum (PI341233, SC1), S. kurtzianum (PI498422, SK), S. microdontum (PI310979, SM2), S. commersonii (PI558050, SC2), S. chacoense (PI201846, SC3), S. candolleanum (PI210035, SC4), S. brevicaule (PI205394, SB2), S. vernei (PI230468, SV2), S. raphanifolium (PI246488, SR), S. jamesii (PI578236, SJ) and S. tuberosum subsp. andigenum (PI566805, ST2) - 이 이용되었다. 실험에 이용된 모든 식물 재료는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로부터 분양 받아 이용되었다.

DNA 추출

DNA 분리에는 Genomic DNA Extraction kit (Plants) (RBC, New Taipei City, Taiwan)가 이용되었으며, 기내 식물체 또는 온실에서 유지되고 있는 모든 식물 재료를 대상으로 약 100 mg의 잎을 채취하여 수행되었다.

엽록체 전장유전체 분석

S. hougasii 계통 중 하나인 SH2-10을 대상으로 엽록체 DNA의 전장유전체(cpDNA) 분석이 수행되었다. SH2-10의 genomic DNA를 추출하고 Macrogen (Macrogen, Seoul, South Korea)의 Illumina Hiseq2000 (Illumina, SanDiego, CA, USA)의 플랫폼을 이용하여 전체 염기서열 정보를 얻은 후 파이젠의 생물정보학 파이프라인(http://phyzen.com) (Cho et al. 2015), 4.06 beta version CLC genome assembler (CLC Inc, Rarhus, Denmark), Nucmer (Kurtz et al. 2004) 등을 이용하여 엽록체 유전체의 염기서열을 추출하고 유전체 서열을 조립하였다. 이후, 전장유전체의 완성은 보고된 S. commersonii cpDNA (KM489054)와의 비교, 대표 콘티그들은 BLASTZ 분석 결과, 그리고 일부 영역에서의 편집을 토대로 하여 순서대로 정렬되었으며, 구조와 염기서열을 확인하였다(Cho et al. 2016; Schwartz et al. 2003).

S. hougasii의 cpDNA에 포함되어 있는 유전자 분석은 DOGMA (Dual Oranellar Genome Annotator) 프로그램을 통해 1차적인 유전자 부위를 확인하고, Blast search를 기반하여 최종 유전자를 확인하였다(Wyman et al. 2004). 원형의 S. hougasii cpDNA 전체 유전자지도는 OGDraw (OrganellarGenomeDRAW; http://ogdraw.mpimp-golm.mpg.de)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Lohse et al. 2013).

엽록체 전장유전체의 비교

S. hougasii의 cpDNA와 다른 가지과 (Solanaceae)에 속한 다양한 종들과의 유연관계 확인을 위해 계통수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에는 본 연구 결과로 얻은 S. hougasii의 cpDNA를 포함하여 NCBI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로부터 얻은 S. tuberosum (KM489056 및 NC008096), S. berthaultii (KY419708), S. commersonii (KM489054), S. chacoense (MF471371), S. bulbocastanum (DQ347958), S. lycopersicum (NC007898), S. nigrum (KM489055), Capsicum annuum (JX270811) 및 본 연구와 동시에 진행되어 얻은 S. stoloniferum (MF471373)의 cpDNA 등, 전체 11종의 cpDNA가 이용되었으며, MEGA 6.0을 이용하여 엽록체 코딩 서열을 분석하고(Tamura et al. 2013), 이를 기반으로 Swofford (2001)에 의해 제안된 방법에 따라 계통수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S. hougasii 특이적 마커 개발을 위해 S. hougasii의 cpDNA와 함께 S. chacoense (MF471371), S. berthaultii (KY419708), S. commersonii (KM489054), S. nigrum (KM489055), S. tuberosum (KM489056)의 cpDNA 등 총 6종을 대상으로 EMBL (http://www.ebi.ac.uk/Tools/msa/clustalw2)의 ClustalW2에 의해 다중 정렬이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InDel과 SNP영역을 구명하였다.

PCR 기반의 분자마커 개발

S. hougasii (MF471372), S. chacoense (MF471371), S. berthaultii (KY419708), S. commersonii (KM489054), S. nigrum (KM489055), S. tuberosum (KM489056) 등 전체 6종의 cpDNA 다중 정렬을 통해 구명된 S. hougasii 특이적 InDel과 SNP를 대상으로 S. hougasii 특이 마커 개발이 수행되었다.

확인된 InDel 영역에서의 S. hougasii 특이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InDel 영역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디자인하여 PCR을 진행하였다. PCR은 총 18개의 유전자형 계통(PT56, TR, SH2, SA, SP, SB1, SM1, SC1, SK, SM2, SC2, SC3, SC4, SB2, SV2, SR, SJ, ST2)을 대상으로 Cho와 Park (2016)에 의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Thermocycler (Biometra, Göttingen, Germany)를 이용하여 총 25ul 볼륨(20 ng genomic DNA, 0.5 mM dNTPs, 10 pMol each primer, 1 U Taq polymerase (Genetbio, Daejeon, South Korea))으로 PCR 후, 핵산염색용액인 RedSafe (Intron Biotechnology, Seongnam, South Korea)를 이용하여 1% agarose gel에서 확인하였다.

SNP 마커의 경우, 우선 S. hougasii 특이적 SNP를 대상으로 dCAPS Finder 2.0 (http://helix.wustl.edu/dcaps/dcaps.html)을 이용하여 6종의 염기서열 다중 비교에서 S. hougasii의 단편만을 절단하고 나머지 5종의 단편은 절단하지 못하거나, 반대로 5종의 단편은 절단하나 S. hougasii의 단편은 절단하지 못하는, 즉 각각의 SNP 영역에 S. hougasii 특이적으로 PCR 단편을 절단할 수 있는 적합한 제한효소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후 SNP 영역을 포함하여 PCR에 의한 DNA 단편이 증폭될 수 있도록 프라이머를 디자인하여 PCR과 전기영동을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진행하였고, 특정 SNP 영역을 대상으로 한 프라이머가 PCR에 의해 18개 계통의 DNA를 모두 증폭하였을 때, 확인된 제한효소를 처리하여 반응시킨 후 1% agarose gel에서 DNA 단편의 다형성을 확인하였다.

감자 야생종 S. hougasii 엽록체 전장유전체 완성

S. hougasii 엽록체 전장유전체(cpDNA)는 NGS(Next-Generation Sequencing) 기술에 의해 완료되어 간략히 보고된 바가 있다 (Cho et al. 2018). 데이터는 Illumina의 PE 표준 프로코콜에 의해 평균 길이가 297.1 bp인 염기서열 총 651,869,869 bp를 얻었으며, S. commersonii의 cpDNA 전체 염기서열(KM489054, Cho et al. 2016)과 비교하고 BLASTZ 분석의 결과를 종합하여 엽록체 전장 유전체를 조립하여 3개의 대표 컨티그를 형성하였다(Schwartz et al. 2003) (Fig. 1).

Fig. 1. Assembly result of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S. hougasii. Four contigs representative of the chloroplast genome of S. hougasii have been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regions in the chloroplast genome of S. commersonii (KM489054). Blue and yellow bars indicate contig matching with the reference sequence in the forward and reverse orientations, respectively

추정되는 염기서열의 오류는 62.73x의 데이터를 맵핑하는 과정과 한 쌍의 inverted repeat 영역(IRs), small single copy 영영(SSC), large single copy 영역(LSC) 간의 경계 부분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다수의 영역을 대상으로 한 PCR과 ABI3730에 의한 BigDye Terminator Cycle Sequencing에 의해 수정되었다. 최종적인 S. hougasii의 cpDNA는 대다수 일반적인 식물의 cpDNA와 같이 원형의 이중가닥 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cpDNA의 크기는 155,549 bp였다(Cho et al. 2018; GeneBank accession no. MF471372). 세부적인 구조는 18,373 bp의 SSC 영역과 85,990 bp의 LSC 영역을 연결하는 25,593 bp의 IR 영역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4분할 구조이며, 다른 Solanum 속의 다른 종들과 비교할 때 약간 긴 편이나, S. stoloniferum 보다는 18 bp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Table 1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S. hougasii with that of eight other Solanum species

SpeciesAccession no.Total Length (bp)GC content (%)Total No. of genesNo. of tRNANo. of rRNAReference
S. hougasiiMF471372155,54938135364This study
S. stoloniferumMF471373155,56738135364Concurrent study
S. chacoenseMF471371155,53238136364Kim and Park (2019)
S. berthaultiiKY419708155,53338137394Kim et al. (2018)
S. nigrumKM489055155,43238139394Cho and Park (2016)
S. commersoniiKM489054155,52537.5133334Cho et al. (2016)
S. tubersoumNC008096155,29637.5131364Gargano et al. (2005)
S. tuberosumKM489056155,31237130304Cho et al. (2016)
S. bulbocastanumDQ347958155,37138133304Daniell et al. (2006)

*The data has been partially adopted from Kim and Park (2019).



S. hougasii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는 105개의 단백질 코딩 유전자, 45개의 tRNA, 8개의 rRNA 등, 총 158개의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각각 10개, 9개, 4개 등 총 23개가 한 쌍의 IR 영역에서 역배열로 중복되어 있었다(Table 1, Fig. 2). 전체 염기서열 중 59.4%가 평균 584.5 bp의 크기로 코딩 영역이었으며, 단백질 코딩유전자와 RNA가 각각 평균 766.6 bp, 223.7 bp의 크기로 51.7%와 7.6%의 비율로 분포되어 있었다. GC의 함량은 37.87%이며, 유전자, tRNA, rRNA 등의 개수, 순서 등이 모두 다른 Solanum 속의 종들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을 뿐 만 아니라, S. stoloniferum과는 거의 일치하였다 (Table 1) (Cho et al. 2016; Cho and Park 2016; Kim et al. 2018; Kim and Park, 2019).

Fig. 2. Gene map of S. hougasii chloroplast genome. Genes on the outside of the map are transcrib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genes on the inside of the map are transcrib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엽록체 전장유전체 비교 및 계통수

본 연구결과로 얻은 S. hougasii의 cpDNA는 계통수 작성을 위해 가지과에 속하는 다른 10종의 cpDNA의 코딩 서열과 비교 분석되었다(Fig. 3). 분석에 이용된 방법(maximum likelihood 및 parsimony법)은 체계적인 분류의 결과를 보여주었을 뿐 만 아니라 높은 부트스트랩(bootstrap) 값은 계통수의 결과를 뒷받침 해 주었다. 결과적으로 계통수에서 S. hougasiiS. stoloniferum은 앞서 엽록체 전장유전체 비교 분석한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거의 일치하는 수준으로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이후 가장 근접한 Solanum 종은 S. berthaultiiS. tuberosum이었다.

Fig. 3. Phylogenetic tree of S. hougasii and ten Solanaceae family members constructed using the maximum-likelihood method. The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by aligning the protein-coding sequences in each chloroplast genome. The numbers on each node indicate the bootstrap values from 1,000 replicates

S. hougasii의 cpDNA를 이용하여 S. hougasii와 다른 Solanum 속에 속하는 종들을 구분할 있는 S. hougasii 특이적 분자마커를 개발하기 위해 EMBL의 ClustalW2 (https://www.ebi.ac.uk/Tools/msa/clustalw2 )를 이용하여 S. hougasii의 cpDNA와 다른 5개 Solanum 종의 cpDNA 전체를 대상으로 다중 정열을 수행하였다(Fig. 4). 그 결과, 앞서 보고된 바와 같이 다수의 InDel과 SNP 영역을 발견할 수 있었으나(Cho and Park 2016; Chung et al. 2006; Kim et al. 2018; Kim and Park 2019), 대부분은 계통수의 결과에 나타난 것과 같이 유연관계가 상대적으로 먼 S. nigrum에 의한 것이었으며(Fig. 3), S. hougasii 특이적으로 InDel과 SNP 기반의 마커를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이 각각 5개, 43개로 나타났다.

Fig. 4. Multiple alignment of the intergenic regions of the sequences containing SNPs aided in the development of PCR-based markers specific for S. hougasii. The chloroplast genome sequences of S. hougasii (SH2-10: MF471372), S. chacoense (SC3-12: MF471371), S. berthaultii (Sber: KY419708), S. commersonii (Scom: KM489054), S. nigrum (Snig: KM489055), and S. tuberosum (Stub: KM489056) were used. The SNP-containing regions of S. hougasii are highlighted and the restriction sites are indicated in bold, red letters

S. hougasii 특이적 분자마커 개발

분자마커의 개발은 다중 정열의 결과로 얻은 다수의 InDel과 SNP 중, 다중 정열에 이용된 6종의 cpDNA의 비교에서 S. hougasii에는 특이적이며 나머지 5종은 일치하는 InDel과 SNP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앞서 보고된 바와 같이, 이들 특이적 InDel과 SNP는 전체 cpDNA 영역 중 InDel의 경우 코딩영역보다는 비코딩영역에서 조금 더 많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SNP의 경우 코딩영역과 비코딩영역에서 거의 비슷하게 분포하고 있었다(Cho and Park 2016; Chung et al. 2006; Kim and Park 2019).

InDel 영역을 대상으로 프라이머를 디자인하여 PCR을 할 경우 분자마커의 다형성에 의해 효과적으로 식물종을 구별할 수 분자마커를 개발하여 적용되고 있다(Cho et al. 2015; Garcia-Lor et al. 2013; Yamaki et al. 2013).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된 5개의 S. hougasii 특이적 InDel 영역 모두 PCR 기반의 S. hougasii 특이적 마커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마도 이는 상대적으로 좁은 InDel 영역에서 디자인 된 프라이머가 S. hougasii 만을 특이적으로 증폭하지 못 한 결과인 것으로 추정된다.

SNP를 기반으로 한 분자마커 개발에서는 SNP을 포함하는 영역을 PCR로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제작하여 PCR을 수행한 후 PCR 결과물을 대상으로 SNP 서열에서 DNA 단편을 절단할 수 있는 적절한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개발하는 것으로 Konieczny and Ausubel (1993)에 의해 CAPS (Cleaved Amplified Polymorphism Sequence) 마커로 명명되었으며, 이는 Solanum 속에 속한 다른 종들을 구별하거나 같은 종내 다른 유전자형을 구별하는데 많이 이용될 뿐 만 아니라(Cho and Park 2016; Cho et al. 2016; Park et al. 2005; Smilde et al. 2005; Uribe et al. 2014), 다른 식물 종에서도 많이 활용이 되고 있다 (Komori and Nitta 2005; Uncu et al. 2015; Wang et al. 2017). 따라서, S. hougasii 특이적인 것으로 확인된 43개의 영역 중 일부를 대상으로 마커 개발에 적용하였으며, 그 중 S. hougasii 특이적인 SNP를 포함하는 PCR 결과물에 S. hougasii의 단편만을 절단하고 나머지 종들은 절단하지 못하거나 반대로 S. hougasii 단편은 절단하지 못하고 나머지 종들은 절단하는 적합한 제한효소를 구명하였다(Fig. 4). 최종적으로, 제작된 프라이머를 S. hougasii를 포함하는 총 18종에 적용하여 PCR을 진행한 후 결과물에 특정 제한효소를 처리한 결과 4개의 SNP 기반의 CAPS 마커를 개발하였다(Table 2, Fig. 5).

Table 2 . The primers and restriction enzymes used to generate S. hougasii-specific PCR markers

Marker nameRegionSaPrimer sequenceSize (bp)bREc
SH2_SNP_1trnK-rps16 (Intergenic)FTGAGTTAGCAACCCGAAGAA394MseI
RATTGTAGTTTTGTTTTCCAC
SH2_SNP_5rpl22-rps16 (Intergenic)FCTAGTATCATAAGCGTTTCC399ClaI
RTAAGCTTAACACAAAAGCAG
SH2_SNP_13rbcL-accD (Intergenic)FAGGATTGAGCCGAATACAAC384BccI
RAAAAGAGATTTGTCCTCTCC
SH2_SNP_15trnW-trnP (Intergenic)FTTGTGAAAGTTACTGAATGG387MaeI
RCACTGTGGAACAATTGAAGG

aF and R indicate forward and reverse stand of primers, respectively.

bThe expected size of the PCR fragments were obtained based on the chloroplast sequence of S. hougasii.

cRestriction enzymes for generating S. hougasii-specific PCR markers.


Fig. 5. PCR-based markers for the differentiation of S. hougasii from other Solanum species. A: SH2_SNP_1. B: SH2_SNP_5. C: SH2_SNP_13. D: SH2_SNP_15. The four markers are all positively specific to S. hougasii. M, PT56, TR, SH2, SA, SP, SB1, SM1, SC1, SK, SM2, SC2, SC3, SC4, SB2, SV2, SR, SJ, and ST2 indicate the size marker ladder, a S. tuberosum breeding line, the potato variety ‘Tamra’, S. hougasii (PI161174), S. acaule (PI310970), S. pinnatisectum (PI190115), S. berthaultii (PI310981), S. mochiquense (PI338616), S. cardiophyllum (PI341233), S. kurtzianum (PI498422), S. microdontum (PI310979), S. commersonii (PI558050), S. chacoense (PI201846), S. candolleanum (PI210035), S. brevicaule (PI205394), S. vernei (PI230468), S. raphanifolium (PI246488), S. jamesii (PI578236), and S. tuberosum subsp. andigenum (PI566805), respectively

엽록체 전장유전체는 감자의 신품종 육성과정에서 야생종을 활용할 경우 그 정보를 활용하여 분자마커를 개발하는데 활용될 뿐 만 아니라 그 특성은 진화와 관련된 연구에도 활용되고 있다(Bohs and Olmstead 1997; Hosaka and Sanetomo 2012). 육종적 측면에서는 체세포 융합이나 식물조직배양에서의 재분화 과정에서 cpDNA의 무작위 배분과 mtDNA (mitochondrial genome)의 높은 재조합 빈도는 Solanum 종을 포함하여 다양한 식물 종에서 보고된 바가 있다(Chen et al. 2013; Cho et al. 2016; Lössl et al. 2000; Mohapatra et al. 1998; Smyda-Dajmund et al. 2016; Xiang et al. 2004). 본 연구에서 개발된 SNP 기반의 마커는 S. hougasii를 다른 Solanum 종과 구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S. hougasii를 이용한 감자 품종 육성 과정에서 S. hougasii 또는 S. tuberosum의 적합한 엽록체형을 선발하고 육종 연한을 조금 더 단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Solanum hougasii는 감자 야생종 중의 하나로 다양한 종류의 병원균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 감자 육종에서 중요한 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S. hougasii는 이질6배체이나 4배체인 감자와 EBN이 4로 같아 직접적인 교배로 육종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NGS 기술에 의해 완성된 S. hougasii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cpDNA)와 이를 다른 Solanum 종과의 비교를 통해 개발한 분자마커에 대해 보고하였다. S. hougasii의 전체 cpDNA의 크기는 155,549 bp였으며 그 구조는 다른 Solanum 종과 매우 유사하였다. S. hougasii의 cpDNA와 가지과에 속하는 10개 종의 cpDNA 코딩서열을 이용하여 분석한 계통수에서는 S. hougasiiS. stoloniferum이 거의 동일한 유전체 구성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S. berthaultiiS. tuberosum과 유연관계가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S. hougasii와 다른 다섯 종의 Solanum과의 전체 cpDNA 다중 정렬을 통해 S. hougasii 특이적인 다섯 개의 InDel과 43개의 SNP 영역을 구명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PCR을 기반으로 한 네 개의 S. hougasii 특이적 마커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olanum 종들을 대상으로 한 조금 더 세부적인 진화적 그리고 육종적 측면에서의 연구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농촌진흥청・산림청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Golden Seed 프로젝트 사업(식량종자사업단, 과제번호: 213009-05-4-WT411)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1. Bohs L, Olmstead RG (1997)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Solanum (Solanaceae) based on ndhF sequences. Syst Bot 22:5-17
    CrossRef
  2. Brown CR, Hojtahedi H, Santo GS (1999) Genetic analysis of resistance to Meloidogyne chitwoodi introgressed from Solanum hougasii into cultivated potato. J Nematol 31:264-271
  3. Calsa Junior T, Carraro DM, Benatti MR, Barbosa AC, Kitajima JP, Carrer H (2004) Structural features and transcript-editing analysis of sugarcane (Saccharum officinarum L.) chloroplast genome. Curr Genet 46:366-373
    Pubmed CrossRef
  4. Chen L, Guo X, Xie C, He L, Cai X, Tian L, Song B, Liu J (2013) Nuclear and cytoplasmic genome components of Solanum tuberosum + S. chacoense somatic hybrids and three SSR alleles related to bacterial wilt resistance. Theor Appl Genet 126:1861-1872
    Pubmed CrossRef
  5. Cho KS, Cheon KS, Hong SY, Cho JH, Im JS, Mekapogu M, Yu YS, Park TH (2016)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s of Solanum commersonii and its application to chloroplast genotype in somatic hybrids with Solanum tuberosum. Plant Cell Rep 35:2113-2123
    Pubmed CrossRef
  6. Cho K-S, Cho J-H, Im J-S, Choi J-G, Park Y-E, Jang D-C, Hong S-Y, Park T-H (2018) Th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Solanum hougasii, one of the potato wild relative species. Mitochondr DNA Part B 3:755-757
    CrossRef
  7. Cho HM, Kim-Lee HY, Om YH, Kim JK (1997) Influence of endosperm balance number (EBN) in interploidal and interspecific crosses between Solanum tuberosum dihaploids and wild species. Korean J Breed 29:154-161
  8. Cho KS, Park TH (2016)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Solanum nigrum and Development of markers for the discrimination of S. nigrum. Hort Environ Biotechnol 57:69-78
    CrossRef
  9. Cho K-S, Yun B-K, Yoon Y-H, Hong S-Y, Mekapogu M, Kim K-H, Yang T-J (2015)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tartary Buckwheat (Fagopyrum tataricum) and comparative analysis with common Buckwheat (F. esculentum). PloS One 10:e0125332
    Pubmed KoreaMed CrossRef
  10. Chung HJ, Jung JD, Park HW, Kim JH, Cha HW, Min SR, Jeong WJ, Liu JR (2006)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s of Solanum tuberosum and comparative analysis with Solanaceae species identified the presence of a 241-bp in cultivated potato chloroplast DNA sequence. Plant Cell Rep 25:1369-1379
    Pubmed CrossRef
  11. Cockerham G (1970) Genetical studies on resistance to potato viruses X and Y. Heredity 25:309-348
    CrossRef
  12. Garcia-Lor A, Curk F, Snoussi-Trifa H, Morillon R, Ancillo G, Luro F, Navarro L and Ollitrault P (2013) A nuclear phylogenetic analysis: SNPs, indels and SSRs deliver new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s in the ‘true citrus fruit trees’ group (Citrinae, Rutaceae) and the origin of cultivated species. Ann Bot 111:1-19
    Pubmed KoreaMed CrossRef
  13. Hawkes JG (1990) The potato: Evolution, biodiversity and genetic resources. Belhaven Press, London, UK
  14. Haynes KG, Qu X (2016) Late blight and early blight resistance from Solanum hougasii introgressed into Solanum tuberosum. Amer J of Potato Res 93:86-95
    CrossRef
  15. Hosaka K (2002) Distribution of the 241 bp deletion of chloroplast DNA in wild potato species. Am J Potato Res 79:119-123
    CrossRef
  16. Hosaka K, Hanneman RE Jr (1988) The origin of the cultivated tetraploid potato based on chloroplast DNA. Theor Appl Genet 76:172-176
    Pubmed CrossRef
  17. Hosaka K, Sanetomo R (2012) Development of a rapid identification method for potato cytoplasm and its use for evaluating Japanese collections. Theor Appl Genet 125:1237-1251
    Pubmed CrossRef
  18. Inglis DA, Brown CR, Gundersen BG, Porter LD, Miller JS, Johnson DA, Lozoya-Saldaña H, Haynes KG (2007) Assessment of Solanum Hougasii in Washington and Mexico as a source of resistance to late blight. Amer J of Potato Res 84:217-228
    CrossRef
  19. Jheng C-F, Chen T-C, Lin J-Y, Chen T-C, Wu W-L, Chang C-C (2012) The comparative chloroplast genomic analysis of photosynthetic orchids and developing DNA markers to distinguish Phalaenopsis orchids. Plant Sci 190:62-73
    Pubmed CrossRef
  20. Kim S, Cho K-S, Park T-H (2018) Development of PCR-based markers for discriminating Solanum berthaultii using its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pecies. J Plant Biotechnol 45:207-216
    CrossRef
  21. Kim KJ, Choi KS, Jansen RK (2005) Two chloroplast DNA inversion originated simultaneously during the early evolution of the sunflower family (Asteraceae). Mol Biol Evol 22:1783-1792
    Pubmed CrossRef
  22. Kim K, Lee SC, Lee J, Lee HO, Joh HJ, Kim NH, Park HS, Yang TJ (2015) Comprehensive survey of genetic diversity in chloroplast genomes and 45S nrDNAs within Panax ginseng species. PLoS One 10:e0117159
    Pubmed KoreaMed CrossRef
  23. Kim S, Park T-H (2019) PCR-based markers developed by comparison of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s discriminate Solanum chacoense from other Solanum species. J Plant Bioechnol 46:79-87
    CrossRef
  24. Komori T, Nitta N (2005) Utilization of the CAPS/dCAPS method to convert rice SNPs into PCR-based markers. Breed Sci 55:93-98
    CrossRef
  25. Konieczny A, Ausubel FM (1993) A procedure for mapping Arabidopsis mutations using co-dominant ecotype-specific PCR-based markers. Plant J 4:403-410
    Pubmed CrossRef
  26. Kurtz S, Phillippy A, Delcher AL, Smoot M, Shumway M, Antonescu C, Salzberg SL (2004) Versatile and open software for comparing large genomes. Genome Biol 5:R12
    Pubmed KoreaMed CrossRef
  27. Lohse M, Drechsel O, Kahlau S, Bock R (2013) OrganellarGenome DRAW - a suite of tools for generating physical maps of plastid and mitochondrial genomes and visualizing expression data sets. Nucleic Acids Res 41:W575-W581
    Pubmed KoreaMed CrossRef
  28. Lössl A, Götz A, Braun A, Wenzel G (2000) Molecular markers for cytoplasm in potato: male sterility and contribution of different plastid-mitochondrial configurations to starch production. Euphytica 116:221-230
    CrossRef
  29. Mohapatra T, Kirti PB, Dinesh Kumar V, Prakash S, Chopra VL (1998) Random chloroplast segregation and mitochondrial genome recombination in somatic hybrid plants of Diplotaxis catholica + Brassica juncea. Plant Cell Rep 17:814-818
    Pubmed CrossRef
  30. Ortiz R, Ehlenfeldt MK (1992) The importance of endorsperm balance number in potato breeding and the evolution of tuber-bearing Solanum species. Euphytica 60:105-113
  31. Palmer JD (1991) Plastid chromosomes: structure and evolution, p. 5-53. In: L. Bogorad, K. Vasil (eds.) The molecular biology of plastids.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KoreaMed CrossRef
  32. Park T-H, Gros J, Sikkema A, Vleeshouwers VGAA, Muskens M, Allefs S, Jacobsen E, Visser RGF, van der Vossen EAG (2005) The late blight resistance locus Rpi-blb3 from Solanum bulbocastanum belongs to a major late blight R gene cluster on chromosome 4 of potato. Mol Plant-Microb Interact 18:722-729
    Pubmed CrossRef
  33. Pendinen G, Spooner DM, Jiang J, Gavrilenko T (2012) Genomic in situ hybridization reveals both auto- and allopolyploid origins of different North and Central American hexaploid potato (Solanum sect. Petota) species. Genome 55:407-415
    Pubmed CrossRef
  34. Raubeson LA, Jansen RK (2005) Chloroplast genomes of plants, p. 45-68. In: H. Henry (ed.) Diversity and evolution of plants:genotypic and phenotypic variation in higher plants. CABI Publishing, Wallingford, UK
    CrossRef
  35. Ruiz ON, Daniell H (2005) Engineering cytoplasmic male sterility via the chloroplast genome. Plant Physiol 138:1232-1246
    Pubmed KoreaMed CrossRef
  36. Saski C, Lee SB, Daniell H, Wood TC, Tomkins J, Kim HG, Jansen RK (2005)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Glycine max and comparative analyses with other legume genomes. Plant Mol Biol 59:309-322
    Pubmed CrossRef
  37. Schwartz S, Kent WJ, Smit A, Zhang Z, Baertsch R, Hardison RC, Haussler D, Miller W (2003) Human-mouse alignments with BLASTZ. Genome Res 13:103-107
    Pubmed KoreaMed CrossRef
  38. Smilde WD, Brigneti G, Jagger L, Perkins S, Jones JDG (2005) Solanum mochiquense chromosome IX carries a novel late blight resistance gene Rpi-moc1. Theor Appl Genet 110:252-258
    Pubmed CrossRef
  39. Spooner DM, Ghislain M, Simon R, Jansky SH, Gavrilenko T (2014) Systematics, diversity, genetics, and evolution of wild and cultivated potatoes. Bot Rev 80:283-383
    CrossRef
  40. Sugiura M, Hirose T, Sugita M (1998) Evolution and mechanism of translation in chloroplast. Annu Rev Genet 32:437-459
    Pubmed CrossRef
  41. Swofford DL (2001)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simony (* and other methods).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42. Symda-Dajmund P, Śliwka J, Wasilewicz-Flis I, Jakuczun H, ZimnochGuzowska E (2016) Genetic composition of interspecific potato somatic hybrids and autofused 4x plants evaluated by DArT and cytoplasmic DNA markers. Plant Cell Rep 35:1345-1358
    Pubmed KoreaMed CrossRef
  43.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Kumar S (2013)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30:2725-2729
    Pubmed KoreaMed CrossRef
  44. Uncu AT, Celik I, Devran Z, Ozkaynak E, Frary A, Frary A, Doganlar S (2015) Development of a SNP-based CAPS assay for the Me1 gene conferring resistance to root knot nematode in pepper. Euphytica 206:393-399
    CrossRef
  45. Uribe P, Jansky S, Halterman D (2014) Two CAPS markers predict Verticillium wilt resistance in wild Solanum species. Mol Breeding 33:465-476
    CrossRef
  46. Wang Y, Liu W, Xu L, Wang Y, Chen Y, Luo X, Tang M, Liu L (2017) Development of SNP markers based on transcriptome sequences and their application in germplasm identification in radish (Raphanus sativus L.). Mol Breeding 37:26
    CrossRef
  47. Wyman SK, Jansen RK, Boore JL (2004) Antomatic annotation of organellar genomes with DOGMA. Bioinformatics 20:3252-3255
    Pubmed CrossRef
  48. Xiang F, Xia G, Zhi D, Wang J, Nie H, Chen H (2004) Regeneration of somatic hybrids in relation to the nuclear and cytoplasmic genomes of wheat and Setaria italica. Genome 47:680-688
    Pubmed CrossRef
  49. Yamaki S, Ohyangi H, Yamasaki M, Eiguchi M, Miyabayashi T, Kubo T, Kurata N and Nonomura K (2013) Development of INDEL markers to discriminate all genome types rapidly in the genus Oryza. Breeding Sci 63:246-254
    Pubmed KoreaMed CrossRef

Article

Research Article

J Plant Biotechnol 2020; 47(2): 141-149

Published online June 30, 2020 https://doi.org/10.5010/JPB.2020.47.2.141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엽록체 전장유전체 정보를 이용한 Solanum hougasii 특이적 분자마커 개발

김수정 · 박태호

Received: 11 June 2020; Revised: 18 June 2020; Accepted: 18 June 2020

Development of Solanum hougasii-specific markers using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s of Solanum species

Soojung Kim · Tae-Ho Park

Department of Horticulture, Daegu University, Gyeongsan 38453, South Korea

Correspondence to:e-mail: thzoo@daegu.ac.kr

Received: 11 June 2020; Revised: 18 June 2020; Accepted: 18 June 2020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Solanum hougasii, one of the wild Solanum species, has been widely used in potato breeding since it exhibits excellent resistance to diverse important pathogens. S. hougasii can be directly crossed with the cultivated tetraploid potato (S. tuberosum) owing to its EBN (Endosperm Balanced Number) value of 4, which is same as that of S. tuberosum although it is an allohexaploid. In this study,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S. hougasii was obtained by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chloroplast genome of seven other Solanum species to identify S. hougasii-specific PCR markers. The length of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of S. hougasii was 155,549 bp. The structural organization of the chloroplast genome in S. hougasii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at of seven other Solanum species studied. Phylogenetic analysis of S. hougasii with ten other Solanaceae family members revealed that S. hougasii was most closely related to S. stoloniferum, followed by S. berthaultii, and S. tuberosum. Additional comparison of th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with that of five other Solanum species revealed five InDels and 43 SNPs specific to S. hougasii. Based on these SNPs, four PCR-based markers were developed for the differentiation of S. hougasii from other Solanum specie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ill aid in exploring the evolutionary and breeding aspects of Solanum species.

Keywords: PCR-based marker, cpDNA, Potato, SNPs, Solanum hougasii

서 언

Solanum hougasii는 멕시코에서 자생하는 괴경을 형성하는 감자(Solanum tuberosum L.) 야생종 중의 하나이다. 이 야생종은 감자의 Phytophthora infestans에 의한 감자역병(late blight), Alternaria solani에 의한 겹둥근무늬병 (early blight), 감자선충(root-knot nematode), 감자바이러스Y (potato virus Y) 등 다양한 병원균에 대해 저항성을 보여 감자의 품종 육성에 중요한 재료로 이용된다(Brown et al. 1999; Cockerham 1970; Haynes and Qu 2016; Inglis et al. 2007). S. hougasii는 6배체이나 EBN (Endosperm Balanced Number)이 4로 재배되고 있는 4배체 감자와 동일한 EBN을 가지고 있어 이론적으로 감자와 직접적인 교배를 통한 품종 육성에 이용될 수 있다 (Cho et al. 1997; Hawkes 1990; Haynes and Qu 2016; Ortiz and Ehlenfeldt 1992; Spooner et al. 2014). S. hougasii 염색체의 유전체 구성은 GISH (Genomic in situ hybridization) 분석에 의해 진화적으로 구명되었는데, S. demissum이 AA 게놈을 기반으로 조성된 동질6배체 인 반면, S. hougasii의 유전체는 AABBPP 게놈을 가지는 이질6배체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Pendinen et al. 2012).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보고하고자 하는 S. hougasii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cpDNA)의 결과와 함께 다른 감자 야생종의 cpDNA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AA, BB, 또는 PP 게놈으로 구성되어 있는 다양한 2배체 Solanum 야생종과 동질배수체 및 이질배수체 게놈 구성을 가지는 다양한 Solanum 종들을 대상을 한 진화적인 그리고 감자 육종 측면에서의 새로운 연구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엽록체 또는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세포질 유전체(cpDNA 또는 mtDNA)는 그들만의 특별한 유전체를 가지며 광합성, 웅성불임 등과 같은 중요한 세포성 기능을 하는 특별한 유전자들로 구성되어 있다(Jheng et al. 2012; Ruiz and Daniell 2005). 감자는 기본적으로 다섯 가지의 cpDNA 타입(A, C, S, T and W)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재배종 감자의 경우 β 타입의 mtDNA와 함께 T 타입의 cpDNA로 알려져 있다(Hosaka and Hanneman 1988). T 타입과 다른 cpDNA 타입의 가장 큰 차이는 cpDNA 상의 trnVndhC 사이의 유전자 간 영역에 S. tuberosum에 241 bp의 삭제(deletion)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Hosaka 2002; Hosaka and Sanetome 2012). cpDNA 전체의 염기서열을 구명하는 것은 대부분의 식물종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종 내에서는 그 다형성이 드문 반면, 종 간에는 상대적으로 분명하게 다형성이 나타나 그 정보를 이용하고자 함에 있다(Kim et al. 2015). 이는 많은 식물종의 cpDNA가 구조적으로 거의 유사한 형태를 띄고 있으나(Sugiura et al. 1998; Palmer 1991; Raubeson and Jansen 2005; Saski et al. 2005), 많은 식물종의 cpDNA에서 유전자 순서의 재배치, 역위, SNP, InDel 등과 같은 변이가 발생하여 이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Calsa Junior et al. 2004; Cho et al. 2015; Jheng et al. 2012; Kim et al. 2005; Saski et al. 2005).

본 연구에서는 앞서 Cho et al. (2018)에 의해 간략히 보고된 바 있는 S. hougasii의 전체 cpDNA에 대한 조금 더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와 가지과(Solanaceae) 다른 종의 cpDNA와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개발한 PCR 기반의 S. hougasii 특이적 분자마커 개발에 대한 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식물 재료

본 연구에 사용된 식물 재료로는 엽록체 전장 유전체 분석을 위해 감자 야생종 S. hougasii (SH2)가 사용되었으며, 이후 S. hougasii 특이적 마커 개발을 위해 감자 품종 육성 계통 중 하나인 PT56와 감자 품종 ‘탐라’(‘Tamra’, TR)와 S. hougasii (PI161174, SH2)를 포함한 감자 야생종 16개 계통 - S. acaule (PI310970, SA), S. pinnatisectum (PI190115, SP), S. berthaultii (PI310981, SB1), S. mochiquense (PI338616, SM1), S. cardiophyllum (PI341233, SC1), S. kurtzianum (PI498422, SK), S. microdontum (PI310979, SM2), S. commersonii (PI558050, SC2), S. chacoense (PI201846, SC3), S. candolleanum (PI210035, SC4), S. brevicaule (PI205394, SB2), S. vernei (PI230468, SV2), S. raphanifolium (PI246488, SR), S. jamesii (PI578236, SJ) and S. tuberosum subsp. andigenum (PI566805, ST2) - 이 이용되었다. 실험에 이용된 모든 식물 재료는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로부터 분양 받아 이용되었다.

DNA 추출

DNA 분리에는 Genomic DNA Extraction kit (Plants) (RBC, New Taipei City, Taiwan)가 이용되었으며, 기내 식물체 또는 온실에서 유지되고 있는 모든 식물 재료를 대상으로 약 100 mg의 잎을 채취하여 수행되었다.

엽록체 전장유전체 분석

S. hougasii 계통 중 하나인 SH2-10을 대상으로 엽록체 DNA의 전장유전체(cpDNA) 분석이 수행되었다. SH2-10의 genomic DNA를 추출하고 Macrogen (Macrogen, Seoul, South Korea)의 Illumina Hiseq2000 (Illumina, SanDiego, CA, USA)의 플랫폼을 이용하여 전체 염기서열 정보를 얻은 후 파이젠의 생물정보학 파이프라인(http://phyzen.com) (Cho et al. 2015), 4.06 beta version CLC genome assembler (CLC Inc, Rarhus, Denmark), Nucmer (Kurtz et al. 2004) 등을 이용하여 엽록체 유전체의 염기서열을 추출하고 유전체 서열을 조립하였다. 이후, 전장유전체의 완성은 보고된 S. commersonii cpDNA (KM489054)와의 비교, 대표 콘티그들은 BLASTZ 분석 결과, 그리고 일부 영역에서의 편집을 토대로 하여 순서대로 정렬되었으며, 구조와 염기서열을 확인하였다(Cho et al. 2016; Schwartz et al. 2003).

S. hougasii의 cpDNA에 포함되어 있는 유전자 분석은 DOGMA (Dual Oranellar Genome Annotator) 프로그램을 통해 1차적인 유전자 부위를 확인하고, Blast search를 기반하여 최종 유전자를 확인하였다(Wyman et al. 2004). 원형의 S. hougasii cpDNA 전체 유전자지도는 OGDraw (OrganellarGenomeDRAW; http://ogdraw.mpimp-golm.mpg.de)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Lohse et al. 2013).

엽록체 전장유전체의 비교

S. hougasii의 cpDNA와 다른 가지과 (Solanaceae)에 속한 다양한 종들과의 유연관계 확인을 위해 계통수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에는 본 연구 결과로 얻은 S. hougasii의 cpDNA를 포함하여 NCBI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로부터 얻은 S. tuberosum (KM489056 및 NC008096), S. berthaultii (KY419708), S. commersonii (KM489054), S. chacoense (MF471371), S. bulbocastanum (DQ347958), S. lycopersicum (NC007898), S. nigrum (KM489055), Capsicum annuum (JX270811) 및 본 연구와 동시에 진행되어 얻은 S. stoloniferum (MF471373)의 cpDNA 등, 전체 11종의 cpDNA가 이용되었으며, MEGA 6.0을 이용하여 엽록체 코딩 서열을 분석하고(Tamura et al. 2013), 이를 기반으로 Swofford (2001)에 의해 제안된 방법에 따라 계통수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S. hougasii 특이적 마커 개발을 위해 S. hougasii의 cpDNA와 함께 S. chacoense (MF471371), S. berthaultii (KY419708), S. commersonii (KM489054), S. nigrum (KM489055), S. tuberosum (KM489056)의 cpDNA 등 총 6종을 대상으로 EMBL (http://www.ebi.ac.uk/Tools/msa/clustalw2)의 ClustalW2에 의해 다중 정렬이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InDel과 SNP영역을 구명하였다.

PCR 기반의 분자마커 개발

S. hougasii (MF471372), S. chacoense (MF471371), S. berthaultii (KY419708), S. commersonii (KM489054), S. nigrum (KM489055), S. tuberosum (KM489056) 등 전체 6종의 cpDNA 다중 정렬을 통해 구명된 S. hougasii 특이적 InDel과 SNP를 대상으로 S. hougasii 특이 마커 개발이 수행되었다.

확인된 InDel 영역에서의 S. hougasii 특이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InDel 영역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디자인하여 PCR을 진행하였다. PCR은 총 18개의 유전자형 계통(PT56, TR, SH2, SA, SP, SB1, SM1, SC1, SK, SM2, SC2, SC3, SC4, SB2, SV2, SR, SJ, ST2)을 대상으로 Cho와 Park (2016)에 의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Thermocycler (Biometra, Göttingen, Germany)를 이용하여 총 25ul 볼륨(20 ng genomic DNA, 0.5 mM dNTPs, 10 pMol each primer, 1 U Taq polymerase (Genetbio, Daejeon, South Korea))으로 PCR 후, 핵산염색용액인 RedSafe (Intron Biotechnology, Seongnam, South Korea)를 이용하여 1% agarose gel에서 확인하였다.

SNP 마커의 경우, 우선 S. hougasii 특이적 SNP를 대상으로 dCAPS Finder 2.0 (http://helix.wustl.edu/dcaps/dcaps.html)을 이용하여 6종의 염기서열 다중 비교에서 S. hougasii의 단편만을 절단하고 나머지 5종의 단편은 절단하지 못하거나, 반대로 5종의 단편은 절단하나 S. hougasii의 단편은 절단하지 못하는, 즉 각각의 SNP 영역에 S. hougasii 특이적으로 PCR 단편을 절단할 수 있는 적합한 제한효소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후 SNP 영역을 포함하여 PCR에 의한 DNA 단편이 증폭될 수 있도록 프라이머를 디자인하여 PCR과 전기영동을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진행하였고, 특정 SNP 영역을 대상으로 한 프라이머가 PCR에 의해 18개 계통의 DNA를 모두 증폭하였을 때, 확인된 제한효소를 처리하여 반응시킨 후 1% agarose gel에서 DNA 단편의 다형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및 고찰

감자 야생종 S. hougasii 엽록체 전장유전체 완성

S. hougasii 엽록체 전장유전체(cpDNA)는 NGS(Next-Generation Sequencing) 기술에 의해 완료되어 간략히 보고된 바가 있다 (Cho et al. 2018). 데이터는 Illumina의 PE 표준 프로코콜에 의해 평균 길이가 297.1 bp인 염기서열 총 651,869,869 bp를 얻었으며, S. commersonii의 cpDNA 전체 염기서열(KM489054, Cho et al. 2016)과 비교하고 BLASTZ 분석의 결과를 종합하여 엽록체 전장 유전체를 조립하여 3개의 대표 컨티그를 형성하였다(Schwartz et al. 2003) (Fig. 1).

Figure 1. Assembly result of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S. hougasii. Four contigs representative of the chloroplast genome of S. hougasii have been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regions in the chloroplast genome of S. commersonii (KM489054). Blue and yellow bars indicate contig matching with the reference sequence in the forward and reverse orientations, respectively

추정되는 염기서열의 오류는 62.73x의 데이터를 맵핑하는 과정과 한 쌍의 inverted repeat 영역(IRs), small single copy 영영(SSC), large single copy 영역(LSC) 간의 경계 부분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다수의 영역을 대상으로 한 PCR과 ABI3730에 의한 BigDye Terminator Cycle Sequencing에 의해 수정되었다. 최종적인 S. hougasii의 cpDNA는 대다수 일반적인 식물의 cpDNA와 같이 원형의 이중가닥 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cpDNA의 크기는 155,549 bp였다(Cho et al. 2018; GeneBank accession no. MF471372). 세부적인 구조는 18,373 bp의 SSC 영역과 85,990 bp의 LSC 영역을 연결하는 25,593 bp의 IR 영역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4분할 구조이며, 다른 Solanum 속의 다른 종들과 비교할 때 약간 긴 편이나, S. stoloniferum 보다는 18 bp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Table 1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S. hougasii with that of eight other Solanum species.

SpeciesAccession no.Total Length (bp)GC content (%)Total No. of genesNo. of tRNANo. of rRNAReference
S. hougasiiMF471372155,54938135364This study
S. stoloniferumMF471373155,56738135364Concurrent study
S. chacoenseMF471371155,53238136364Kim and Park (2019)
S. berthaultiiKY419708155,53338137394Kim et al. (2018)
S. nigrumKM489055155,43238139394Cho and Park (2016)
S. commersoniiKM489054155,52537.5133334Cho et al. (2016)
S. tubersoumNC008096155,29637.5131364Gargano et al. (2005)
S. tuberosumKM489056155,31237130304Cho et al. (2016)
S. bulbocastanumDQ347958155,37138133304Daniell et al. (2006)

*The data has been partially adopted from Kim and Park (2019)..



S. hougasii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는 105개의 단백질 코딩 유전자, 45개의 tRNA, 8개의 rRNA 등, 총 158개의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각각 10개, 9개, 4개 등 총 23개가 한 쌍의 IR 영역에서 역배열로 중복되어 있었다(Table 1, Fig. 2). 전체 염기서열 중 59.4%가 평균 584.5 bp의 크기로 코딩 영역이었으며, 단백질 코딩유전자와 RNA가 각각 평균 766.6 bp, 223.7 bp의 크기로 51.7%와 7.6%의 비율로 분포되어 있었다. GC의 함량은 37.87%이며, 유전자, tRNA, rRNA 등의 개수, 순서 등이 모두 다른 Solanum 속의 종들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을 뿐 만 아니라, S. stoloniferum과는 거의 일치하였다 (Table 1) (Cho et al. 2016; Cho and Park 2016; Kim et al. 2018; Kim and Park, 2019).

Figure 2. Gene map of S. hougasii chloroplast genome. Genes on the outside of the map are transcrib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genes on the inside of the map are transcrib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엽록체 전장유전체 비교 및 계통수

본 연구결과로 얻은 S. hougasii의 cpDNA는 계통수 작성을 위해 가지과에 속하는 다른 10종의 cpDNA의 코딩 서열과 비교 분석되었다(Fig. 3). 분석에 이용된 방법(maximum likelihood 및 parsimony법)은 체계적인 분류의 결과를 보여주었을 뿐 만 아니라 높은 부트스트랩(bootstrap) 값은 계통수의 결과를 뒷받침 해 주었다. 결과적으로 계통수에서 S. hougasiiS. stoloniferum은 앞서 엽록체 전장유전체 비교 분석한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거의 일치하는 수준으로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이후 가장 근접한 Solanum 종은 S. berthaultiiS. tuberosum이었다.

Figure 3. Phylogenetic tree of S. hougasii and ten Solanaceae family members constructed using the maximum-likelihood method. The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by aligning the protein-coding sequences in each chloroplast genome. The numbers on each node indicate the bootstrap values from 1,000 replicates

S. hougasii의 cpDNA를 이용하여 S. hougasii와 다른 Solanum 속에 속하는 종들을 구분할 있는 S. hougasii 특이적 분자마커를 개발하기 위해 EMBL의 ClustalW2 (https://www.ebi.ac.uk/Tools/msa/clustalw2 )를 이용하여 S. hougasii의 cpDNA와 다른 5개 Solanum 종의 cpDNA 전체를 대상으로 다중 정열을 수행하였다(Fig. 4). 그 결과, 앞서 보고된 바와 같이 다수의 InDel과 SNP 영역을 발견할 수 있었으나(Cho and Park 2016; Chung et al. 2006; Kim et al. 2018; Kim and Park 2019), 대부분은 계통수의 결과에 나타난 것과 같이 유연관계가 상대적으로 먼 S. nigrum에 의한 것이었으며(Fig. 3), S. hougasii 특이적으로 InDel과 SNP 기반의 마커를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이 각각 5개, 43개로 나타났다.

Figure 4. Multiple alignment of the intergenic regions of the sequences containing SNPs aided in the development of PCR-based markers specific for S. hougasii. The chloroplast genome sequences of S. hougasii (SH2-10: MF471372), S. chacoense (SC3-12: MF471371), S. berthaultii (Sber: KY419708), S. commersonii (Scom: KM489054), S. nigrum (Snig: KM489055), and S. tuberosum (Stub: KM489056) were used. The SNP-containing regions of S. hougasii are highlighted and the restriction sites are indicated in bold, red letters

S. hougasii 특이적 분자마커 개발

분자마커의 개발은 다중 정열의 결과로 얻은 다수의 InDel과 SNP 중, 다중 정열에 이용된 6종의 cpDNA의 비교에서 S. hougasii에는 특이적이며 나머지 5종은 일치하는 InDel과 SNP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앞서 보고된 바와 같이, 이들 특이적 InDel과 SNP는 전체 cpDNA 영역 중 InDel의 경우 코딩영역보다는 비코딩영역에서 조금 더 많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SNP의 경우 코딩영역과 비코딩영역에서 거의 비슷하게 분포하고 있었다(Cho and Park 2016; Chung et al. 2006; Kim and Park 2019).

InDel 영역을 대상으로 프라이머를 디자인하여 PCR을 할 경우 분자마커의 다형성에 의해 효과적으로 식물종을 구별할 수 분자마커를 개발하여 적용되고 있다(Cho et al. 2015; Garcia-Lor et al. 2013; Yamaki et al. 2013).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된 5개의 S. hougasii 특이적 InDel 영역 모두 PCR 기반의 S. hougasii 특이적 마커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마도 이는 상대적으로 좁은 InDel 영역에서 디자인 된 프라이머가 S. hougasii 만을 특이적으로 증폭하지 못 한 결과인 것으로 추정된다.

SNP를 기반으로 한 분자마커 개발에서는 SNP을 포함하는 영역을 PCR로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제작하여 PCR을 수행한 후 PCR 결과물을 대상으로 SNP 서열에서 DNA 단편을 절단할 수 있는 적절한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개발하는 것으로 Konieczny and Ausubel (1993)에 의해 CAPS (Cleaved Amplified Polymorphism Sequence) 마커로 명명되었으며, 이는 Solanum 속에 속한 다른 종들을 구별하거나 같은 종내 다른 유전자형을 구별하는데 많이 이용될 뿐 만 아니라(Cho and Park 2016; Cho et al. 2016; Park et al. 2005; Smilde et al. 2005; Uribe et al. 2014), 다른 식물 종에서도 많이 활용이 되고 있다 (Komori and Nitta 2005; Uncu et al. 2015; Wang et al. 2017). 따라서, S. hougasii 특이적인 것으로 확인된 43개의 영역 중 일부를 대상으로 마커 개발에 적용하였으며, 그 중 S. hougasii 특이적인 SNP를 포함하는 PCR 결과물에 S. hougasii의 단편만을 절단하고 나머지 종들은 절단하지 못하거나 반대로 S. hougasii 단편은 절단하지 못하고 나머지 종들은 절단하는 적합한 제한효소를 구명하였다(Fig. 4). 최종적으로, 제작된 프라이머를 S. hougasii를 포함하는 총 18종에 적용하여 PCR을 진행한 후 결과물에 특정 제한효소를 처리한 결과 4개의 SNP 기반의 CAPS 마커를 개발하였다(Table 2, Fig. 5).

Table 2 . The primers and restriction enzymes used to generate S. hougasii-specific PCR markers.

Marker nameRegionSaPrimer sequenceSize (bp)bREc
SH2_SNP_1trnK-rps16 (Intergenic)FTGAGTTAGCAACCCGAAGAA394MseI
RATTGTAGTTTTGTTTTCCAC
SH2_SNP_5rpl22-rps16 (Intergenic)FCTAGTATCATAAGCGTTTCC399ClaI
RTAAGCTTAACACAAAAGCAG
SH2_SNP_13rbcL-accD (Intergenic)FAGGATTGAGCCGAATACAAC384BccI
RAAAAGAGATTTGTCCTCTCC
SH2_SNP_15trnW-trnP (Intergenic)FTTGTGAAAGTTACTGAATGG387MaeI
RCACTGTGGAACAATTGAAGG

aF and R indicate forward and reverse stand of primers, respectively..

bThe expected size of the PCR fragments were obtained based on the chloroplast sequence of S. hougasii..

cRestriction enzymes for generating S. hougasii-specific PCR markers..


Figure 5. PCR-based markers for the differentiation of S. hougasii from other Solanum species. A: SH2_SNP_1. B: SH2_SNP_5. C: SH2_SNP_13. D: SH2_SNP_15. The four markers are all positively specific to S. hougasii. M, PT56, TR, SH2, SA, SP, SB1, SM1, SC1, SK, SM2, SC2, SC3, SC4, SB2, SV2, SR, SJ, and ST2 indicate the size marker ladder, a S. tuberosum breeding line, the potato variety ‘Tamra’, S. hougasii (PI161174), S. acaule (PI310970), S. pinnatisectum (PI190115), S. berthaultii (PI310981), S. mochiquense (PI338616), S. cardiophyllum (PI341233), S. kurtzianum (PI498422), S. microdontum (PI310979), S. commersonii (PI558050), S. chacoense (PI201846), S. candolleanum (PI210035), S. brevicaule (PI205394), S. vernei (PI230468), S. raphanifolium (PI246488), S. jamesii (PI578236), and S. tuberosum subsp. andigenum (PI566805), respectively

엽록체 전장유전체는 감자의 신품종 육성과정에서 야생종을 활용할 경우 그 정보를 활용하여 분자마커를 개발하는데 활용될 뿐 만 아니라 그 특성은 진화와 관련된 연구에도 활용되고 있다(Bohs and Olmstead 1997; Hosaka and Sanetomo 2012). 육종적 측면에서는 체세포 융합이나 식물조직배양에서의 재분화 과정에서 cpDNA의 무작위 배분과 mtDNA (mitochondrial genome)의 높은 재조합 빈도는 Solanum 종을 포함하여 다양한 식물 종에서 보고된 바가 있다(Chen et al. 2013; Cho et al. 2016; Lössl et al. 2000; Mohapatra et al. 1998; Smyda-Dajmund et al. 2016; Xiang et al. 2004). 본 연구에서 개발된 SNP 기반의 마커는 S. hougasii를 다른 Solanum 종과 구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S. hougasii를 이용한 감자 품종 육성 과정에서 S. hougasii 또는 S. tuberosum의 적합한 엽록체형을 선발하고 육종 연한을 조금 더 단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적 요

Solanum hougasii는 감자 야생종 중의 하나로 다양한 종류의 병원균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 감자 육종에서 중요한 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S. hougasii는 이질6배체이나 4배체인 감자와 EBN이 4로 같아 직접적인 교배로 육종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NGS 기술에 의해 완성된 S. hougasii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cpDNA)와 이를 다른 Solanum 종과의 비교를 통해 개발한 분자마커에 대해 보고하였다. S. hougasii의 전체 cpDNA의 크기는 155,549 bp였으며 그 구조는 다른 Solanum 종과 매우 유사하였다. S. hougasii의 cpDNA와 가지과에 속하는 10개 종의 cpDNA 코딩서열을 이용하여 분석한 계통수에서는 S. hougasiiS. stoloniferum이 거의 동일한 유전체 구성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S. berthaultiiS. tuberosum과 유연관계가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S. hougasii와 다른 다섯 종의 Solanum과의 전체 cpDNA 다중 정렬을 통해 S. hougasii 특이적인 다섯 개의 InDel과 43개의 SNP 영역을 구명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PCR을 기반으로 한 네 개의 S. hougasii 특이적 마커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olanum 종들을 대상으로 한 조금 더 세부적인 진화적 그리고 육종적 측면에서의 연구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사 사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농촌진흥청・산림청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Golden Seed 프로젝트 사업(식량종자사업단, 과제번호: 213009-05-4-WT411)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Fig 1.

Figure 1.Assembly result of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S. hougasii. Four contigs representative of the chloroplast genome of S. hougasii have been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regions in the chloroplast genome of S. commersonii (KM489054). Blue and yellow bars indicate contig matching with the reference sequence in the forward and reverse orientations, respectively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20; 47: 141-149https://doi.org/10.5010/JPB.2020.47.2.141

Fig 2.

Figure 2.Gene map of S. hougasii chloroplast genome. Genes on the outside of the map are transcrib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genes on the inside of the map are transcrib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20; 47: 141-149https://doi.org/10.5010/JPB.2020.47.2.141

Fig 3.

Figure 3.Phylogenetic tree of S. hougasii and ten Solanaceae family members constructed using the maximum-likelihood method. The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by aligning the protein-coding sequences in each chloroplast genome. The numbers on each node indicate the bootstrap values from 1,000 replicates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20; 47: 141-149https://doi.org/10.5010/JPB.2020.47.2.141

Fig 4.

Figure 4.Multiple alignment of the intergenic regions of the sequences containing SNPs aided in the development of PCR-based markers specific for S. hougasii. The chloroplast genome sequences of S. hougasii (SH2-10: MF471372), S. chacoense (SC3-12: MF471371), S. berthaultii (Sber: KY419708), S. commersonii (Scom: KM489054), S. nigrum (Snig: KM489055), and S. tuberosum (Stub: KM489056) were used. The SNP-containing regions of S. hougasii are highlighted and the restriction sites are indicated in bold, red letters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20; 47: 141-149https://doi.org/10.5010/JPB.2020.47.2.141

Fig 5.

Figure 5.PCR-based markers for the differentiation of S. hougasii from other Solanum species. A: SH2_SNP_1. B: SH2_SNP_5. C: SH2_SNP_13. D: SH2_SNP_15. The four markers are all positively specific to S. hougasii. M, PT56, TR, SH2, SA, SP, SB1, SM1, SC1, SK, SM2, SC2, SC3, SC4, SB2, SV2, SR, SJ, and ST2 indicate the size marker ladder, a S. tuberosum breeding line, the potato variety ‘Tamra’, S. hougasii (PI161174), S. acaule (PI310970), S. pinnatisectum (PI190115), S. berthaultii (PI310981), S. mochiquense (PI338616), S. cardiophyllum (PI341233), S. kurtzianum (PI498422), S. microdontum (PI310979), S. commersonii (PI558050), S. chacoense (PI201846), S. candolleanum (PI210035), S. brevicaule (PI205394), S. vernei (PI230468), S. raphanifolium (PI246488), S. jamesii (PI578236), and S. tuberosum subsp. andigenum (PI566805), respectively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20; 47: 141-149https://doi.org/10.5010/JPB.2020.47.2.141

Table 1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S. hougasii with that of eight other Solanum species.

SpeciesAccession no.Total Length (bp)GC content (%)Total No. of genesNo. of tRNANo. of rRNAReference
S. hougasiiMF471372155,54938135364This study
S. stoloniferumMF471373155,56738135364Concurrent study
S. chacoenseMF471371155,53238136364Kim and Park (2019)
S. berthaultiiKY419708155,53338137394Kim et al. (2018)
S. nigrumKM489055155,43238139394Cho and Park (2016)
S. commersoniiKM489054155,52537.5133334Cho et al. (2016)
S. tubersoumNC008096155,29637.5131364Gargano et al. (2005)
S. tuberosumKM489056155,31237130304Cho et al. (2016)
S. bulbocastanumDQ347958155,37138133304Daniell et al. (2006)

*The data has been partially adopted from Kim and Park (2019)..


Table 2 . The primers and restriction enzymes used to generate S. hougasii-specific PCR markers.

Marker nameRegionSaPrimer sequenceSize (bp)bREc
SH2_SNP_1trnK-rps16 (Intergenic)FTGAGTTAGCAACCCGAAGAA394MseI
RATTGTAGTTTTGTTTTCCAC
SH2_SNP_5rpl22-rps16 (Intergenic)FCTAGTATCATAAGCGTTTCC399ClaI
RTAAGCTTAACACAAAAGCAG
SH2_SNP_13rbcL-accD (Intergenic)FAGGATTGAGCCGAATACAAC384BccI
RAAAAGAGATTTGTCCTCTCC
SH2_SNP_15trnW-trnP (Intergenic)FTTGTGAAAGTTACTGAATGG387MaeI
RCACTGTGGAACAATTGAAGG

aF and R indicate forward and reverse stand of primers, respectively..

bThe expected size of the PCR fragments were obtained based on the chloroplast sequence of S. hougasii..

cRestriction enzymes for generating S. hougasii-specific PCR markers..


References

  1. Bohs L, Olmstead RG (1997)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Solanum (Solanaceae) based on ndhF sequences. Syst Bot 22:5-17
    CrossRef
  2. Brown CR, Hojtahedi H, Santo GS (1999) Genetic analysis of resistance to Meloidogyne chitwoodi introgressed from Solanum hougasii into cultivated potato. J Nematol 31:264-271
  3. Calsa Junior T, Carraro DM, Benatti MR, Barbosa AC, Kitajima JP, Carrer H (2004) Structural features and transcript-editing analysis of sugarcane (Saccharum officinarum L.) chloroplast genome. Curr Genet 46:366-373
    Pubmed CrossRef
  4. Chen L, Guo X, Xie C, He L, Cai X, Tian L, Song B, Liu J (2013) Nuclear and cytoplasmic genome components of Solanum tuberosum + S. chacoense somatic hybrids and three SSR alleles related to bacterial wilt resistance. Theor Appl Genet 126:1861-1872
    Pubmed CrossRef
  5. Cho KS, Cheon KS, Hong SY, Cho JH, Im JS, Mekapogu M, Yu YS, Park TH (2016)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s of Solanum commersonii and its application to chloroplast genotype in somatic hybrids with Solanum tuberosum. Plant Cell Rep 35:2113-2123
    Pubmed CrossRef
  6. Cho K-S, Cho J-H, Im J-S, Choi J-G, Park Y-E, Jang D-C, Hong S-Y, Park T-H (2018) Th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Solanum hougasii, one of the potato wild relative species. Mitochondr DNA Part B 3:755-757
    CrossRef
  7. Cho HM, Kim-Lee HY, Om YH, Kim JK (1997) Influence of endosperm balance number (EBN) in interploidal and interspecific crosses between Solanum tuberosum dihaploids and wild species. Korean J Breed 29:154-161
  8. Cho KS, Park TH (2016)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Solanum nigrum and Development of markers for the discrimination of S. nigrum. Hort Environ Biotechnol 57:69-78
    CrossRef
  9. Cho K-S, Yun B-K, Yoon Y-H, Hong S-Y, Mekapogu M, Kim K-H, Yang T-J (2015)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tartary Buckwheat (Fagopyrum tataricum) and comparative analysis with common Buckwheat (F. esculentum). PloS One 10:e0125332
    Pubmed KoreaMed CrossRef
  10. Chung HJ, Jung JD, Park HW, Kim JH, Cha HW, Min SR, Jeong WJ, Liu JR (2006)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s of Solanum tuberosum and comparative analysis with Solanaceae species identified the presence of a 241-bp in cultivated potato chloroplast DNA sequence. Plant Cell Rep 25:1369-1379
    Pubmed CrossRef
  11. Cockerham G (1970) Genetical studies on resistance to potato viruses X and Y. Heredity 25:309-348
    CrossRef
  12. Garcia-Lor A, Curk F, Snoussi-Trifa H, Morillon R, Ancillo G, Luro F, Navarro L and Ollitrault P (2013) A nuclear phylogenetic analysis: SNPs, indels and SSRs deliver new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s in the ‘true citrus fruit trees’ group (Citrinae, Rutaceae) and the origin of cultivated species. Ann Bot 111:1-19
    Pubmed KoreaMed CrossRef
  13. Hawkes JG (1990) The potato: Evolution, biodiversity and genetic resources. Belhaven Press, London, UK
  14. Haynes KG, Qu X (2016) Late blight and early blight resistance from Solanum hougasii introgressed into Solanum tuberosum. Amer J of Potato Res 93:86-95
    CrossRef
  15. Hosaka K (2002) Distribution of the 241 bp deletion of chloroplast DNA in wild potato species. Am J Potato Res 79:119-123
    CrossRef
  16. Hosaka K, Hanneman RE Jr (1988) The origin of the cultivated tetraploid potato based on chloroplast DNA. Theor Appl Genet 76:172-176
    Pubmed CrossRef
  17. Hosaka K, Sanetomo R (2012) Development of a rapid identification method for potato cytoplasm and its use for evaluating Japanese collections. Theor Appl Genet 125:1237-1251
    Pubmed CrossRef
  18. Inglis DA, Brown CR, Gundersen BG, Porter LD, Miller JS, Johnson DA, Lozoya-Saldaña H, Haynes KG (2007) Assessment of Solanum Hougasii in Washington and Mexico as a source of resistance to late blight. Amer J of Potato Res 84:217-228
    CrossRef
  19. Jheng C-F, Chen T-C, Lin J-Y, Chen T-C, Wu W-L, Chang C-C (2012) The comparative chloroplast genomic analysis of photosynthetic orchids and developing DNA markers to distinguish Phalaenopsis orchids. Plant Sci 190:62-73
    Pubmed CrossRef
  20. Kim S, Cho K-S, Park T-H (2018) Development of PCR-based markers for discriminating Solanum berthaultii using its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pecies. J Plant Biotechnol 45:207-216
    CrossRef
  21. Kim KJ, Choi KS, Jansen RK (2005) Two chloroplast DNA inversion originated simultaneously during the early evolution of the sunflower family (Asteraceae). Mol Biol Evol 22:1783-1792
    Pubmed CrossRef
  22. Kim K, Lee SC, Lee J, Lee HO, Joh HJ, Kim NH, Park HS, Yang TJ (2015) Comprehensive survey of genetic diversity in chloroplast genomes and 45S nrDNAs within Panax ginseng species. PLoS One 10:e0117159
    Pubmed KoreaMed CrossRef
  23. Kim S, Park T-H (2019) PCR-based markers developed by comparison of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s discriminate Solanum chacoense from other Solanum species. J Plant Bioechnol 46:79-87
    CrossRef
  24. Komori T, Nitta N (2005) Utilization of the CAPS/dCAPS method to convert rice SNPs into PCR-based markers. Breed Sci 55:93-98
    CrossRef
  25. Konieczny A, Ausubel FM (1993) A procedure for mapping Arabidopsis mutations using co-dominant ecotype-specific PCR-based markers. Plant J 4:403-410
    Pubmed CrossRef
  26. Kurtz S, Phillippy A, Delcher AL, Smoot M, Shumway M, Antonescu C, Salzberg SL (2004) Versatile and open software for comparing large genomes. Genome Biol 5:R12
    Pubmed KoreaMed CrossRef
  27. Lohse M, Drechsel O, Kahlau S, Bock R (2013) OrganellarGenome DRAW - a suite of tools for generating physical maps of plastid and mitochondrial genomes and visualizing expression data sets. Nucleic Acids Res 41:W575-W581
    Pubmed KoreaMed CrossRef
  28. Lössl A, Götz A, Braun A, Wenzel G (2000) Molecular markers for cytoplasm in potato: male sterility and contribution of different plastid-mitochondrial configurations to starch production. Euphytica 116:221-230
    CrossRef
  29. Mohapatra T, Kirti PB, Dinesh Kumar V, Prakash S, Chopra VL (1998) Random chloroplast segregation and mitochondrial genome recombination in somatic hybrid plants of Diplotaxis catholica + Brassica juncea. Plant Cell Rep 17:814-818
    Pubmed CrossRef
  30. Ortiz R, Ehlenfeldt MK (1992) The importance of endorsperm balance number in potato breeding and the evolution of tuber-bearing Solanum species. Euphytica 60:105-113
  31. Palmer JD (1991) Plastid chromosomes: structure and evolution, p. 5-53. In: L. Bogorad, K. Vasil (eds.) The molecular biology of plastids.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KoreaMed CrossRef
  32. Park T-H, Gros J, Sikkema A, Vleeshouwers VGAA, Muskens M, Allefs S, Jacobsen E, Visser RGF, van der Vossen EAG (2005) The late blight resistance locus Rpi-blb3 from Solanum bulbocastanum belongs to a major late blight R gene cluster on chromosome 4 of potato. Mol Plant-Microb Interact 18:722-729
    Pubmed CrossRef
  33. Pendinen G, Spooner DM, Jiang J, Gavrilenko T (2012) Genomic in situ hybridization reveals both auto- and allopolyploid origins of different North and Central American hexaploid potato (Solanum sect. Petota) species. Genome 55:407-415
    Pubmed CrossRef
  34. Raubeson LA, Jansen RK (2005) Chloroplast genomes of plants, p. 45-68. In: H. Henry (ed.) Diversity and evolution of plants:genotypic and phenotypic variation in higher plants. CABI Publishing, Wallingford, UK
    CrossRef
  35. Ruiz ON, Daniell H (2005) Engineering cytoplasmic male sterility via the chloroplast genome. Plant Physiol 138:1232-1246
    Pubmed KoreaMed CrossRef
  36. Saski C, Lee SB, Daniell H, Wood TC, Tomkins J, Kim HG, Jansen RK (2005)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Glycine max and comparative analyses with other legume genomes. Plant Mol Biol 59:309-322
    Pubmed CrossRef
  37. Schwartz S, Kent WJ, Smit A, Zhang Z, Baertsch R, Hardison RC, Haussler D, Miller W (2003) Human-mouse alignments with BLASTZ. Genome Res 13:103-107
    Pubmed KoreaMed CrossRef
  38. Smilde WD, Brigneti G, Jagger L, Perkins S, Jones JDG (2005) Solanum mochiquense chromosome IX carries a novel late blight resistance gene Rpi-moc1. Theor Appl Genet 110:252-258
    Pubmed CrossRef
  39. Spooner DM, Ghislain M, Simon R, Jansky SH, Gavrilenko T (2014) Systematics, diversity, genetics, and evolution of wild and cultivated potatoes. Bot Rev 80:283-383
    CrossRef
  40. Sugiura M, Hirose T, Sugita M (1998) Evolution and mechanism of translation in chloroplast. Annu Rev Genet 32:437-459
    Pubmed CrossRef
  41. Swofford DL (2001)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simony (* and other methods).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42. Symda-Dajmund P, Śliwka J, Wasilewicz-Flis I, Jakuczun H, ZimnochGuzowska E (2016) Genetic composition of interspecific potato somatic hybrids and autofused 4x plants evaluated by DArT and cytoplasmic DNA markers. Plant Cell Rep 35:1345-1358
    Pubmed KoreaMed CrossRef
  43.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Kumar S (2013)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30:2725-2729
    Pubmed KoreaMed CrossRef
  44. Uncu AT, Celik I, Devran Z, Ozkaynak E, Frary A, Frary A, Doganlar S (2015) Development of a SNP-based CAPS assay for the Me1 gene conferring resistance to root knot nematode in pepper. Euphytica 206:393-399
    CrossRef
  45. Uribe P, Jansky S, Halterman D (2014) Two CAPS markers predict Verticillium wilt resistance in wild Solanum species. Mol Breeding 33:465-476
    CrossRef
  46. Wang Y, Liu W, Xu L, Wang Y, Chen Y, Luo X, Tang M, Liu L (2017) Development of SNP markers based on transcriptome sequences and their application in germplasm identification in radish (Raphanus sativus L.). Mol Breeding 37:26
    CrossRef
  47. Wyman SK, Jansen RK, Boore JL (2004) Antomatic annotation of organellar genomes with DOGMA. Bioinformatics 20:3252-3255
    Pubmed CrossRef
  48. Xiang F, Xia G, Zhi D, Wang J, Nie H, Chen H (2004) Regeneration of somatic hybrids in relation to the nuclear and cytoplasmic genomes of wheat and Setaria italica. Genome 47:680-688
    Pubmed CrossRef
  49. Yamaki S, Ohyangi H, Yamasaki M, Eiguchi M, Miyabayashi T, Kubo T, Kurata N and Nonomura K (2013) Development of INDEL markers to discriminate all genome types rapidly in the genus Oryza. Breeding Sci 63:246-254
    Pubmed KoreaMed CrossRef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pISSN 1229-2818
eISSN 2384-1397
qr-code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