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Plant Biotechnol (2023) 50:056-062
Published online April 28, 2023
https://doi.org/10.5010/JPB.2023.50.007.056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김종보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의료생명대학 생명공학과
Correspondence to : e-mail: jbhee1011@kku.ac.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ransgenic lilies have been obtained using Agrobacterium tumefaciens (AGL1) with the plant scale explants, followed by DL-phosphinothricin (PPT) selection. In this study, scales of lily plants cv. “red flame” were transformed with the pCAMBIA3301 vector containing the gus gene as a reporter and the blpR gene as a selectable marker, as well as a gene of interest showing herbicide tolerance, both driven by the CaMV 35S promoter. Using a 20-minute infection time and a 5-day cultivation period, factors that optimized and demonstrated a high transformation efficiency were achieved. With these conditions, approximately 22-27% efficiency was observed for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in lilies. After transformation with Agrobacterium, scales of lilies were transferred to MS medium without selective agents for 2 weeks. They were then placed on selection MS medium containing 5 mg/L PPT for a month of further selection and then cultured for another 4-8 weeks with a 4-week subculture regime on the same selection medium. PPT-resistant scales with shoots were successfully rooted and regenerated into plantlets after transferring into hormone-free MS medium. Also, most survived putatively transformed plantlets indicated the presence of the blpR gene by PCR analysis and showed a blue color indicating expression of the gus gene. In conclusion, when 100 scales of lily cv. “red flame” are transformed with Agrobacterium, approximately 22-27 transgenic plantlets can be produced following an optimized protocol. Therefore, this protocol can contribute to the lily breeding program in the future.
Keywords Agrobacterium, Herbicide-resistant, Lily, Monocot, Transformation
나리(
나리의 새로운 화색, 화형, 바이러스 저항성 및 환경 스트레스 내성과 같은 농업적으로 유용한 형질의 개량을 위해 나리의 효율적인 형질전환 시스템의 확립이 요구되어 왔다(Hoshi et al. 2004). 또한 나리 형질전환은 위 형질 외에도 환경스트레스나 제초제 저항성의 형질을 발현하는 목적을 충족하는데도 사용되어져 왔다(Liu et al. 2014). 외래 유전자를 나리에 도입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졌는데, 최초로 나리에 식물형질전환기법이 Cohen과 Meredith(1992)과 Langeveld 등(1995)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된 이후, 유전자총 (Irifune et al. 2003; Kamo and Han 2008; Kim 2017; Watad et al. 1998) 그리고 아그로박테리움(Azadi et al. 2010; Chen et al. 2023; Hoshi at al. 2004; Liu et al. 2011; Mercuri et al. 2003; Ogaki et al. 2008; Wang et al. 2012; Yan et al. 2019)이 주로 사용되어져 왔다. 다양한 식물형질전환 기술들 중 유전자총 대신
나리속에서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형질전환 기법들 중 효율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하여 접종시간 및 공동배양기간 등의 형질전환 조건을 최적화 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초제 저항성 형질을 나타내는 나리 형질전환 체계를 확립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재료로 사용된 나리 식물체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에서 육성한 ‘레드플레임’ 품종(제04-0005-726호;
박테리아는 30 ml 액체 YEP(yeast extraction NaCl, pH 7.5)와 kanamycin (Duchefa, Haarlem, The Netherlands), rifampicin (Duchefa, Haarlem, The Netherlands)과 같은 선택적 항생제를 포함된 배지에 120-130 rpm min-1, 28°C 조건으로 회전 진탕기에 배양한다. Optical density (OD)가 0.3~0.5에 도달한 박테리아를 2,800 RPM으로 centrifuge 시켜 suspension을 얻고 접종배지(MS medium containing 100 μM acetosyringone (AS). Duchefa, Haarlem, The Netherlands)로 resuspended시킨다. 60개의 인편들이 있는 petri dish (SPL, Republic of Korea)에 이 현탁액을 첨가해서 서로 다른 시간(5, 10, 20, 30 min)동안 접종을 시켜주고 나서 공동배양배지 0.7% plant agar)에 1, 3, 5, 7일간 암 배양한다. 공동배양 후
선발과정이 끝난 백합 형질전환 개체(Fig. 3A)에서
PPT 3 mg/l에서 4주 간격으로 계대배양 후, 8-12주 이상 선발과정을 거쳐 신초가 다수 형성된 형질전환 나리 인편들을 PPT가 첨가되지 않는 증식 MS 고체배지로 옮겨 발근 및 추가 생육을 유도하였다. 생육이 우수하고 발근이 우수한 개체들을 기외 상태에서 1-2주간 순화과정을 거쳐 혼합상토가 들어있는 직경 10 cm 화분으로 이식하여 증식 및 활착 하였다.
모든 처리구는 각 60개씩 백합 인편을 사용하였으며, 아그로박테리움 조건실험은 5 반복 수행하였다. 모든 통계처리는 SPSS (window version)으로 ANOVA 검정 후 던컨다중검정 (DMRT)을 수행하였다.
나리 형질전환 기술을 적용 시 유전자 총 같은 직접적인 유전자 도입방법과 비교해서 도입유전자를 식물게놈에서 전사가 잘 이루어지는 지역으로 도입할 수 있고, 낮은 유전자 copy 수 및 안정적인 삽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Liu et al. 2014). 1990년대 이후20여년간 알스트로메리아(Kim et al. 2007), 아가판더스(Suzuki et al. 2001), 무스카리(Suzuki and Nakano 2002), 마늘(Kondo et al. 2000), 아스파라거스(Kisaka and Kameya 1998), 양파(Eady et al. 2000) 등의 단자엽 식물에 아그로박테리움이 형질전환방법으로 사용되었다.
아그로박테리움 형질전환 실험에서 다양한 조건들의 확립이 중요한데 이들 요인들 중 본 연구에서는 아그로박테리움 접종시간 그리고 공동배양기간 조건을 확립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접종시간은 30분 접종 시 ppt 저항성 인편이 24.3개정도 형성되었으며 신초까지 형성된 개체도 19.6개정도임이 관찰되었다(Table 1). 이러한 결과는 알스트로메리아 형질전환 결과(Kim et al. 2007)에서 30분 접종시간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난 것과는 다소 차이가 났으나, 다른 나리 형질전환 연구에서는 본 연구결과와 비슷하게 20분정도가 제일 형질전환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Chen et al. 2023; Yan et al. 2019). 접종시간의 경우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한 형질전환에 있어서 박테리아 농도와 더불어 중요한 요인들인데 접종시간이 너무 짧으면 식물조직과 아그로박테리움이 충분히 접촉하지 못하게 되고 반대로 너무 긴 접종시간은 식물조직이 박테리아 공격에 취약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Yan et al. 2019).
Table 1 . Effect of infection time on the transformation efficiency of
Infection time (min) | # of PPT resistant scales /100 inoculated scales* | # of putative transgenic scales with shoots /100 inoculated scales** |
---|---|---|
5 | 8.1 ± 0.7c | 2.8 ± 0.7c |
10 | 11.2 ± 2.9c*** | 10.1 ± 2.9c |
20 | 24.3 ± 4.2a | 19.6 ± 3.7a |
30 | 23.5 ± 5.3ab | 19.1 ± 4.7ab |
*Data were collected 4 weeks after transformation.
**Data were collected 8 weeks after transformation.
***Values are means ± standard devleation (n = 5). Means followed by the same letters in each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using DMRT (Duncan’s Multi Range Test).
공동배양 기간의 경우에는 본 연구에서 5일 공동배양한 경우 ppt 저항성 인편이 100개의 접종한 인편 중 27.2개가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신초까지 형성된 인편은 100개 중 22.7개가 형성되었다(Table 2). 이러한 결과는 알스트로메리아(Kim et al. 2007)와 그리고 Wang 등(2012)이 보고한 7일 공동배양 시 가장 효율이 높은 것과 상이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3일의 공동배양 기간이 가장 효율이 좋다고 보고된 Chen 등(2023) 및 Yan 등(2019)의 보고와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다른 작물의 경우 벼에서도 공동배양기간이 3일인 경우 효율이 좋았다고 보고된 경우도 있었으며(Toki et al. 2006), 장미는 2일(Vergne et al. 2009), 심지어 글라디올러스에서는 12일간의 공동배양에서 제일 좋은 형질전환 효율을 보여주었다 (Wu et al. 2015). 이러한 다양한 공동배양 기간에서의 형질전환 효율차이는 아그로박테리움 균주의 병원성 차이, 식물품종 및 절편체 종류 그리고 접종농도 및 시간에 따른 다양한 변수 등이 작용한다고 판단된다.
Table 2 . Effect of co-cultivation period on the transformation efficiency of
Co-cultivation period (days) | # of PPT resistant scales /100 inoculated scales* | # of putative transgenic scales with shoots /100 inoculated scales** |
---|---|---|
1 | 6.2 ± 0.4***c | 3.8 ± 0.5c |
3 | 18.3 ± 3.9c | 12.1 ± 1.5c |
5 | 27.2 ± 4.8a | 22.7 ± 3.9a |
7 | 21.2 ± 7.2b | 23.3 ± 3.6b |
*Data were collected 4 weeks after transformation.
**Data were collected 8 weeks after transformation.
***Values are means ± standard devleation (n = 5). Means followed by the same letters in each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using DMRT (Duncan’s Multi Range Test).
본 연구에 사용된 pCAMBIA3301벡터에 포함된
8주에서 12주 정도 선발과정을 거친 형질전환 나리 소식물체로부터 유엽을 채취해서 DNA 추출 후, 선발유전자이자 목적유전자인
상기 실험에서 PCR 검정을 통해 유전자 도입이 확인 안된 계통은 온전하게 나리 게놈으로 삽입이 부분적으로 되었거나 선발 및 증식과정 중에 escape 발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 수행 결과,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하여 형질전환 나리 14계통 145 개체가 생산되어 증식 중에 있고, 추가 증식과정을 통하여 향후 기내 및 기외 상태에서 형질전환 및 비형질전환 나리 식물체들 간의 변이발생 여부조사를 포함하는 생육 및 배수체 검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5S cauliflower mosaic virus 프로모터의 조절을 받고 인트론이 포함된 β-
상기 실험 결과, 20분의 접종시간과 5일간의 아그로박테리움과의 공동배양이 100개의 접종된 인편개체에서 각각 24, 27개의 높은 PPT 저항성 개체가 관찰되었고 신초까지 형성된 인편을 19.6 및 22.7개를 생산하는 우수한 형질전환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렇게 제초제를 이용하여 선발되었을 뿐만 아니라 도입된 reporter 유전자인
J Plant Biotechnol 2023; 50(1): 56-62
Published online April 28, 2023 https://doi.org/10.5010/JPB.2023.50.007.056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김종보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의료생명대학 생명공학과
Jong Bo Kim
(Department of Biotechnology, College of Biomedical & Health Sciences, Glocal Campus. Konkuk university, Choong-Ju, 27478, Korea)
Correspondence to:e-mail: jbhee1011@kku.ac.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ransgenic lilies have been obtained using Agrobacterium tumefaciens (AGL1) with the plant scale explants, followed by DL-phosphinothricin (PPT) selection. In this study, scales of lily plants cv. “red flame” were transformed with the pCAMBIA3301 vector containing the gus gene as a reporter and the blpR gene as a selectable marker, as well as a gene of interest showing herbicide tolerance, both driven by the CaMV 35S promoter. Using a 20-minute infection time and a 5-day cultivation period, factors that optimized and demonstrated a high transformation efficiency were achieved. With these conditions, approximately 22-27% efficiency was observed for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in lilies. After transformation with Agrobacterium, scales of lilies were transferred to MS medium without selective agents for 2 weeks. They were then placed on selection MS medium containing 5 mg/L PPT for a month of further selection and then cultured for another 4-8 weeks with a 4-week subculture regime on the same selection medium. PPT-resistant scales with shoots were successfully rooted and regenerated into plantlets after transferring into hormone-free MS medium. Also, most survived putatively transformed plantlets indicated the presence of the blpR gene by PCR analysis and showed a blue color indicating expression of the gus gene. In conclusion, when 100 scales of lily cv. “red flame” are transformed with Agrobacterium, approximately 22-27 transgenic plantlets can be produced following an optimized protocol. Therefore, this protocol can contribute to the lily breeding program in the future.
Keywords: Agrobacterium, Herbicide-resistant, Lily, Monocot, Transformation
나리(
나리의 새로운 화색, 화형, 바이러스 저항성 및 환경 스트레스 내성과 같은 농업적으로 유용한 형질의 개량을 위해 나리의 효율적인 형질전환 시스템의 확립이 요구되어 왔다(Hoshi et al. 2004). 또한 나리 형질전환은 위 형질 외에도 환경스트레스나 제초제 저항성의 형질을 발현하는 목적을 충족하는데도 사용되어져 왔다(Liu et al. 2014). 외래 유전자를 나리에 도입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졌는데, 최초로 나리에 식물형질전환기법이 Cohen과 Meredith(1992)과 Langeveld 등(1995)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된 이후, 유전자총 (Irifune et al. 2003; Kamo and Han 2008; Kim 2017; Watad et al. 1998) 그리고 아그로박테리움(Azadi et al. 2010; Chen et al. 2023; Hoshi at al. 2004; Liu et al. 2011; Mercuri et al. 2003; Ogaki et al. 2008; Wang et al. 2012; Yan et al. 2019)이 주로 사용되어져 왔다. 다양한 식물형질전환 기술들 중 유전자총 대신
나리속에서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형질전환 기법들 중 효율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하여 접종시간 및 공동배양기간 등의 형질전환 조건을 최적화 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초제 저항성 형질을 나타내는 나리 형질전환 체계를 확립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재료로 사용된 나리 식물체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에서 육성한 ‘레드플레임’ 품종(제04-0005-726호;
박테리아는 30 ml 액체 YEP(yeast extraction NaCl, pH 7.5)와 kanamycin (Duchefa, Haarlem, The Netherlands), rifampicin (Duchefa, Haarlem, The Netherlands)과 같은 선택적 항생제를 포함된 배지에 120-130 rpm min-1, 28°C 조건으로 회전 진탕기에 배양한다. Optical density (OD)가 0.3~0.5에 도달한 박테리아를 2,800 RPM으로 centrifuge 시켜 suspension을 얻고 접종배지(MS medium containing 100 μM acetosyringone (AS). Duchefa, Haarlem, The Netherlands)로 resuspended시킨다. 60개의 인편들이 있는 petri dish (SPL, Republic of Korea)에 이 현탁액을 첨가해서 서로 다른 시간(5, 10, 20, 30 min)동안 접종을 시켜주고 나서 공동배양배지 0.7% plant agar)에 1, 3, 5, 7일간 암 배양한다. 공동배양 후
선발과정이 끝난 백합 형질전환 개체(Fig. 3A)에서
PPT 3 mg/l에서 4주 간격으로 계대배양 후, 8-12주 이상 선발과정을 거쳐 신초가 다수 형성된 형질전환 나리 인편들을 PPT가 첨가되지 않는 증식 MS 고체배지로 옮겨 발근 및 추가 생육을 유도하였다. 생육이 우수하고 발근이 우수한 개체들을 기외 상태에서 1-2주간 순화과정을 거쳐 혼합상토가 들어있는 직경 10 cm 화분으로 이식하여 증식 및 활착 하였다.
모든 처리구는 각 60개씩 백합 인편을 사용하였으며, 아그로박테리움 조건실험은 5 반복 수행하였다. 모든 통계처리는 SPSS (window version)으로 ANOVA 검정 후 던컨다중검정 (DMRT)을 수행하였다.
나리 형질전환 기술을 적용 시 유전자 총 같은 직접적인 유전자 도입방법과 비교해서 도입유전자를 식물게놈에서 전사가 잘 이루어지는 지역으로 도입할 수 있고, 낮은 유전자 copy 수 및 안정적인 삽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Liu et al. 2014). 1990년대 이후20여년간 알스트로메리아(Kim et al. 2007), 아가판더스(Suzuki et al. 2001), 무스카리(Suzuki and Nakano 2002), 마늘(Kondo et al. 2000), 아스파라거스(Kisaka and Kameya 1998), 양파(Eady et al. 2000) 등의 단자엽 식물에 아그로박테리움이 형질전환방법으로 사용되었다.
아그로박테리움 형질전환 실험에서 다양한 조건들의 확립이 중요한데 이들 요인들 중 본 연구에서는 아그로박테리움 접종시간 그리고 공동배양기간 조건을 확립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접종시간은 30분 접종 시 ppt 저항성 인편이 24.3개정도 형성되었으며 신초까지 형성된 개체도 19.6개정도임이 관찰되었다(Table 1). 이러한 결과는 알스트로메리아 형질전환 결과(Kim et al. 2007)에서 30분 접종시간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난 것과는 다소 차이가 났으나, 다른 나리 형질전환 연구에서는 본 연구결과와 비슷하게 20분정도가 제일 형질전환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Chen et al. 2023; Yan et al. 2019). 접종시간의 경우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한 형질전환에 있어서 박테리아 농도와 더불어 중요한 요인들인데 접종시간이 너무 짧으면 식물조직과 아그로박테리움이 충분히 접촉하지 못하게 되고 반대로 너무 긴 접종시간은 식물조직이 박테리아 공격에 취약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Yan et al. 2019).
Table 1 . Effect of infection time on the transformation efficiency of
Infection time (min) | # of PPT resistant scales /100 inoculated scales* | # of putative transgenic scales with shoots /100 inoculated scales** |
---|---|---|
5 | 8.1 ± 0.7c | 2.8 ± 0.7c |
10 | 11.2 ± 2.9c*** | 10.1 ± 2.9c |
20 | 24.3 ± 4.2a | 19.6 ± 3.7a |
30 | 23.5 ± 5.3ab | 19.1 ± 4.7ab |
*Data were collected 4 weeks after transformation..
**Data were collected 8 weeks after transformation..
***Values are means ± standard devleation (n = 5). Means followed by the same letters in each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using DMRT (Duncan’s Multi Range Test)..
공동배양 기간의 경우에는 본 연구에서 5일 공동배양한 경우 ppt 저항성 인편이 100개의 접종한 인편 중 27.2개가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신초까지 형성된 인편은 100개 중 22.7개가 형성되었다(Table 2). 이러한 결과는 알스트로메리아(Kim et al. 2007)와 그리고 Wang 등(2012)이 보고한 7일 공동배양 시 가장 효율이 높은 것과 상이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3일의 공동배양 기간이 가장 효율이 좋다고 보고된 Chen 등(2023) 및 Yan 등(2019)의 보고와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다른 작물의 경우 벼에서도 공동배양기간이 3일인 경우 효율이 좋았다고 보고된 경우도 있었으며(Toki et al. 2006), 장미는 2일(Vergne et al. 2009), 심지어 글라디올러스에서는 12일간의 공동배양에서 제일 좋은 형질전환 효율을 보여주었다 (Wu et al. 2015). 이러한 다양한 공동배양 기간에서의 형질전환 효율차이는 아그로박테리움 균주의 병원성 차이, 식물품종 및 절편체 종류 그리고 접종농도 및 시간에 따른 다양한 변수 등이 작용한다고 판단된다.
Table 2 . Effect of co-cultivation period on the transformation efficiency of
Co-cultivation period (days) | # of PPT resistant scales /100 inoculated scales* | # of putative transgenic scales with shoots /100 inoculated scales** |
---|---|---|
1 | 6.2 ± 0.4***c | 3.8 ± 0.5c |
3 | 18.3 ± 3.9c | 12.1 ± 1.5c |
5 | 27.2 ± 4.8a | 22.7 ± 3.9a |
7 | 21.2 ± 7.2b | 23.3 ± 3.6b |
*Data were collected 4 weeks after transformation..
**Data were collected 8 weeks after transformation..
***Values are means ± standard devleation (n = 5). Means followed by the same letters in each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using DMRT (Duncan’s Multi Range Test)..
본 연구에 사용된 pCAMBIA3301벡터에 포함된
8주에서 12주 정도 선발과정을 거친 형질전환 나리 소식물체로부터 유엽을 채취해서 DNA 추출 후, 선발유전자이자 목적유전자인
상기 실험에서 PCR 검정을 통해 유전자 도입이 확인 안된 계통은 온전하게 나리 게놈으로 삽입이 부분적으로 되었거나 선발 및 증식과정 중에 escape 발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 수행 결과,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하여 형질전환 나리 14계통 145 개체가 생산되어 증식 중에 있고, 추가 증식과정을 통하여 향후 기내 및 기외 상태에서 형질전환 및 비형질전환 나리 식물체들 간의 변이발생 여부조사를 포함하는 생육 및 배수체 검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5S cauliflower mosaic virus 프로모터의 조절을 받고 인트론이 포함된 β-
상기 실험 결과, 20분의 접종시간과 5일간의 아그로박테리움과의 공동배양이 100개의 접종된 인편개체에서 각각 24, 27개의 높은 PPT 저항성 개체가 관찰되었고 신초까지 형성된 인편을 19.6 및 22.7개를 생산하는 우수한 형질전환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렇게 제초제를 이용하여 선발되었을 뿐만 아니라 도입된 reporter 유전자인
이 논문은 건국대학교 2020년 KU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한 논문임.
Table 1 . Effect of infection time on the transformation efficiency of
Infection time (min) | # of PPT resistant scales /100 inoculated scales* | # of putative transgenic scales with shoots /100 inoculated scales** |
---|---|---|
5 | 8.1 ± 0.7c | 2.8 ± 0.7c |
10 | 11.2 ± 2.9c*** | 10.1 ± 2.9c |
20 | 24.3 ± 4.2a | 19.6 ± 3.7a |
30 | 23.5 ± 5.3ab | 19.1 ± 4.7ab |
*Data were collected 4 weeks after transformation..
**Data were collected 8 weeks after transformation..
***Values are means ± standard devleation (n = 5). Means followed by the same letters in each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using DMRT (Duncan’s Multi Range Test)..
Table 2 . Effect of co-cultivation period on the transformation efficiency of
Co-cultivation period (days) | # of PPT resistant scales /100 inoculated scales* | # of putative transgenic scales with shoots /100 inoculated scales** |
---|---|---|
1 | 6.2 ± 0.4***c | 3.8 ± 0.5c |
3 | 18.3 ± 3.9c | 12.1 ± 1.5c |
5 | 27.2 ± 4.8a | 22.7 ± 3.9a |
7 | 21.2 ± 7.2b | 23.3 ± 3.6b |
*Data were collected 4 weeks after transformation..
**Data were collected 8 weeks after transformation..
***Values are means ± standard devleation (n = 5). Means followed by the same letters in each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using DMRT (Duncan’s Multi Range Test)..
Jong Bo Kim
J Plant Biotechnol 2017; 44(1): 82-88Jong Bo Kim
J Plant Biotechnol 2023; 50(1): 63-69Suman Kalyan Sadhu ・Phanikanth Jogam ・Kranthikumar Gande ・Raghu Banoth ・Suprasanna Penna ・ Venkataiah Peddaboina
J Plant Biotechnol 2022; 49(1): 61-73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