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5; 42(3): 135-153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15
https://doi.org/10.5010/JPB.2015.42.3.135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임선형1,*, 박상규1, 하선화2, 최민지1, 김다혜1, 이종렬1, 김영미1
1국립농업과학원, 농촌진흥청, 전주, 560-500, 대한민국,
2생명공학원, 경희대학교, 용인, 446-701, 대한민국
Correspondence to : S.-H. Lim e-mail: limsh2@korea.kr
The aromatic amino acids, which are composed of ?-phenylalanine, ?-tyrosine and ?-tryptophan, are general components of protein synthesis as well as precursors for a wide range of secondary metabolites. These aromatic amino acids-derived compounds play important roles as ingredients of diverse phenolics including pigments and cell walls, and hormones like auxin and salicylic acid in plants. Moreover, they also serve as the natural products of alkaloids and glucosinolates, which have a high potential to promote human health and nutrition. The biosynthetic pathways of aromatic amino acids share a chorismate, the common intermediate, which is originated from shikimate pathway. Then, tryptophan is synthesized via anthranilate and the other phenylalanine and tyrosine are synthesized via prephenate, as intermediates. This review reports recent studies about all the enzymatic steps involved in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tic pathways and their gene regulation on transcriptional/post-transcriptional levels. Furthermore, results of metabolic engineering are introduced as efforts to improve the production of the aromatic amino acids-derived secondary metabolites in plants.
Keywords Aromatic amino acid, Metabolic engineering
방향족 아미노산인 트립토판(?-Tryptophan),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티로신(?-tyrosine)은 모든 생명체의 단백질 생합성에 필수성분이다. 방향족 아미노산의 합성은 shikimate 경로와 chorismate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대사경로들은 몇몇 원생생물, 박테리아, 곰팡이, 식물에서 존재하나 동물에는 존재하지 않는다(Galili and Hoefgen 2002). 인간과 단위가축(monogastric)에 방향족 아미노산은 필수 영양물질일 뿐 아니라, 트립토판과 티로신은 각각 신경전달물질인 세라토닌과 카테콜라민의 전구체로서 중요성을 지닌다. 뿐만 아니라 방향족 아미노산과 그 유도체들은 약리적, 생리적 활성효과를 지니므로, 다양한 의약품, 화장품, 식품, 염료, 농약 및 기타 특수소재 등에 직, 간접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Leonard et al. 2009).
방향족 아미노산은 식물의 성장과 발달, 생식, 방어, 환경적 반응 등에서 결정적 역할을 하는 매우 다양한 식물 이차 대사물질들의 전구체이다(Fig. 1). 트립토판은 식물 호르몬인 옥신(auxin)과 다양한 이차 대사물질, 알칼로이드(alkaloids),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s), 인돌 글루코시놀레이트(indole glucosinolates)의 전구체이다. 또한 티로신은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isoquinoline alkaloids), 베타라인(betalains) 색소, 퀴논(quinones)의 전구체이다. 페닐알라닌은 다양한 페놀릭 화합물의 전구물질로 사용되는데, 대표적으로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중합 탄닌(condensed tannins), 리그닌 화합물(lignans, lignins), 휘발성 페닐프로파노이드/벤제노이드(phenylpropanoid/benzenoid volatiles) 화합물의 전구체이다. 또한 방향족 아미노산의 전구물질인 chorismate는 비타민 K1과 B9 및 식물 방어물질로 알려진 살리실산(salicylic acid)의 전구물질로 이용된다(Maeda and Dudareva 2012).
Schematic diagram of the shikimate and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tic pathway in plant. Secondary metabolites derived from chorismate, tryptophan (Trp), both phenylalanine (Phe) and tyrosine (Tyr) was shown in a light purple box, a light green box and a light orange box, respectively. ADCS, aminodeoxychorismate synthase; AS, anthranilate synthase; CM, chorismate mutase; ICS, isochorismate synthase
본 리뷰에서는 인류 건강증진, 의약, 농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식물의 방향족 아미노산 생산과 현재까지 규명된 관련 효소들의 분자적 특성, 전사 및 전사 후 조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식물체 내의 방향족 아미노산 생산을 높이기 위해 시도된 그 동안의 대사공학적 접근에 대해 되짚어 보며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Shikimate 경로는 1차 대사와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을 연결하는 경로로서, 해당과정을 통해 생산된 phosphoenolpyruvate (PEP)와 5탄당 인산화 과정을 통해 생산된 erythrose 4-phosphate (E4P)를 이용하여 7단계의 효소반응을 통해 chorismate를 합성한다(Fig. 2). Shikimate 경로 관련 효소들은 생화학적 특성이 규명되어왔고, 각각의 해당 유전자들이 미생물과 식물에서 밝혀져 왔다. 대표적인 애기장대, 토마토, 벼에서의 shikimate 경로 관련 효소의 유전자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식물에서의 shikimate 경로 관련 효소들에 대한 다양한 실험적 결과와 세포 내 위치 예측 분석을 수행한 결과 대다수의 효소는 색소체(plastid)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Emanuelsson et al. 1999).
Shikimate and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tic pathway. Through seven enzymatic reactions of the shikimate pathway, chorismate was produced. Trp is produced from chorismate via six enzymatic reactions of the Trp pathway (light green box), whereas Phe and Tyr are produced via three reactions in the arogenate or phenylpyruvate/4-hydroxyphenylpyruvate routes (light orange box). Other abbreviations: CdRP, 1-(o-carboxyphenylamino)-1-deoxy-ribulose 5-phosphate; DAHP, 3-deoxy-D-
Table 1 Enzyme and genes involved in shikimate and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tic pathway in
Enzyme | Abbreviation | |||
---|---|---|---|---|
Shikimate Pathway | ||||
3-Deoxy-D- | DAHPS | At1g22410 | Sl04g074480 | Os03g27230 |
At4g33510 | Sl11g009080 | Os07g42960 | ||
At4g39980 | Sl01g105390 | Os08g37790 | ||
Sl01g105420 | Os10g41480 | |||
3-Dehydroquinate synthase | DHQS | At5g66120 | Sl02g083590 | Os09g36800 |
Sl03g058860 | ||||
3-Dehydroquianate dehydratase/shikimate dehydrogenase | DHD/SDH | At3g06350 | Sl01g067750 | Os01g27750 |
Sl06g084460 | Os01g27780 | |||
Sl09g011730 | Os12g34870 | |||
Sl10g038080 | ||||
Shikimate kinase | SK | At2g21940 | Sl02g094420 | Os01g01302 |
At2g35500 | Sl04g051860 | Os02g51410 | ||
At3g26900 | Sl07g044970 | Os04g54800 | ||
At4g39540 | Sl08g076410 | Os06g12150 | ||
Os10g42700 | ||||
5- | EPSPS | At1g48860 | Sl01g091190 | Os06g04280 |
At2g45300 | Sl05g050980 | |||
Sl09g005460 | ||||
Chorismate synthase | CS | At1g48850 | Sl04g009620 | Os03g14990 |
Sl04g049350 | ||||
Aminodeoxychorismate synthase | ADCS | At2g28880 | Sl04g049360 | Os06g48620 |
Isochorismate synthase | ICS | At1g73805 | Sl06g071030 | Os09g19734 |
At1g74710 | ||||
Tryptophan Pathway | ||||
Anthranilate synthase | AS | At1g24807 | Sl06g005980 | Os03g15780 |
At1g24909 | Sl06g006100 | Os03g50880 | ||
At1g25083 | Sl12g010180 | Os03g61120 | ||
At1g25155 | Os04g38950 | |||
At1g25220 | Os06g48620 | |||
At2g28880 | ||||
At2g29690 | ||||
At3g55870 | ||||
At5g05730 | ||||
At5g57890 | ||||
Phosphoribosylanthranilate transferase | PAT | At5g17990 | Sl04g025540 | Os01g40480 |
At1g70570 | Sl06g071550 | Os02g44490 | ||
Sl12g035190 | Os02g57090 | |||
Os03g03450 | ||||
Os03g44890 | ||||
Os04g39680 | ||||
Os04g58720 | ||||
Os04g59520 | ||||
Os05g30750 | ||||
Os05g35480 | ||||
Os06g41090 | ||||
Os07g07070 | ||||
Os07g30020 | ||||
Phosphoribosylanthranilate isomerase | PAI | At1g07780 | Sl02g076760 | Os02g16630 |
At1g29410 | Sl06g051410 | |||
At5g05590 | ||||
Indole-3-glycerol phosphate synthase | IGPS | At2g04400 | Sl03g111850 | Os04g39270 |
At5g48220 | Os08g23150 | |||
Os09g08130 | ||||
Tryptophan synthase alpha subunit | TS | At3g54640 | Sl01g098550 | Os03g58260 |
At4g02610 | Os03g58290 | |||
Os03g58300 | ||||
Os03g58320 | ||||
Os07g08430 | ||||
Tryptophan synthase beta subunit | TS | At4g27070 | Sl05g046350 | Os06g42560 |
At5g28237 | Sl10g018380 | Os08g04180 | ||
At5g38530 | Sl07g064280 | |||
At5g54810 | Sl10g005320 | |||
Sl10g006400 | ||||
Sl10g018390 | ||||
Sl12g096190 | ||||
Phenylalaine/Tyrosine Pathway | ||||
Chorismate mutase | CM | At1g69370 | Sl02g088460 | Os01g55870 |
At3g29200 | Sl11g017240 | Os02g08410 | ||
At5g10870 | Os08g34290 | |||
Os12g38900 | ||||
Prephenate aminotransferase | PPA-AT | At1g77670 | Sl03g120450 | Os01g65090 |
At1g80360 | Sl04g054710 | |||
At2g22250 | Sl11g013170 | |||
Arogenate dehydratase /prephenate dehydratase | ADT /PDT | At1g08250 | Sl02g080620 | Os03g17730 |
At1g11790 | Sl06g050630 | Os04g33390 | ||
At2g27820 | Sl06g074530 | Os07g32774 | ||
At3g07630 | Sl07g007590 | Os07g49390 | ||
At3g44720 | Sl09g011870 | Os09g39230 | ||
At5g22630 | Sl11g066890 | Os10g37980 | ||
Sl11g072520 | ||||
Arogenate dehydrogenase/prephenate dehydrogenase | ADH/PDH | At1g15710 | Sl06g050630 | Os06g35050 |
At5g34930 | Sl06g060930 | Os06g49505 | ||
Sl07g007590 | Os06g49520 | |||
Sl09g011870 | ||||
Phenylpyruvate/4-hydroxyphenylpyruvate aminotransferases | PPY-AT/HPP-AT | At2g20610 | Sl07g053710 | Os02g20360 |
At2g24850 | Sl07g053720 | Os06g23684 | ||
At4g23590 | Sl10g007110 | Os11g42510 | ||
At4g23600 | Sl10g008200 | |||
At4g28410 | ||||
At4g28420 | ||||
At5g36160 | ||||
At5g53970 |
adata available from TAIR (http://www.arabidopsis.org/)
bdata available from TIGR (http://rice.plantbiology.msu.edu/)
cdata available from PLAZA 3.0 (http://plaza.psb.ugent.be/)
Shikimate 경로의 첫 번째 단계 효소인 3-deoxy-d-
식물에서 보고되는 type II DAHPS는 비록 대장균과 효모와는 상동성이 매우 적으나, 이들 미생물의 DAHPS 돌연변이체를 이용한 상보성 검정(complementation test)을 수행하여 몇몇 식물 종에서 동형(isotype) DAHPS들이 분리되었다(Dyer et al. 1990; Keith et al. 1991). 애기장대의 경우에는 3개의 유전자가 DAHPS를 암호화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나 몇몇 식물 종에서는 2개 또는 많게는 8개까지의 유전자가 암호화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애기장대의
Shikimate 경로의 두 번째 효소인 3-dehydroquinate synthase (DHQS)는 Co2+와 같은 2가 양이온과 NAD+를 보조인자 (co-factor)로 사용하여 DAHP를 3-dehydroquinate로 변환시킨다. 곰팡이의 경우에는 AroM 복합체로 알려진 5중 기능성 효소가 DAHP를 5-
3-Dehydroquinate dehydratase (DHD)와 shikimate:NADP+ oxidoreductase로도 불리는 shikimate dehydrogenase (SDH)는 shikimate 경로의 세 번째와 네 번째 효소반응을 촉매하여 shikimate를 생산한다. DHD는 3-dehydroquinate의 탈수화(dehydration)를 통해 3-dehydroshikimate를 생산하고, SDH는 NADPH를 보조인자로 사용하여 3-dehydroshikimate를 shikimate로 역 환원시킨다. 이들 효소의 구성은 생물계에 따라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낸다. 곰팡이에서 이들 효소는 AroM 복합체의 일부로 구성되고, 대장균의 AroD, AroE는 각각 단일기능성 효소이며, 식물의 경우에는 DHD-SDH 형태로 융합된 이중기능성 효소이다(Duncan et al. 1987; Anton and Coggins 1988; Bischoff et al. 2001). 식물에서 SDH 효소활성도는 DHD 효소활성보다 10배 이상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생산된 3-dehydroshikimate를 효과적으로 shikimate로 변환시킨다(Fiedler and Schultz 1985). 이러한 이중기능성 효소들은 페놀릭 이차 대사경로의 물질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판단된다.
애기장대를 포함한 여러 식물 종에서
Shikimate kinase (SK)는 ATP를 보조인자로 사용해서 shikimate를 인산화시켜 shikimate 3-phosphate를 생성시킨다. 대장균의 경우에는 2개의
5-
지금까지 애기장대, 사과, 포도 및 옥수수 등의 게놈 내에서 각각 2개의
Chorismate synthase (CS)는 EPSP의 3-phosphate와 C6-
방향족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은 chorismate를 기질로 하여 여섯 단계의 효소반응을 통해 생성된다. 트립토판 대사경로에 관여하는 모든 생합성 효소들은 색소체에 위치하거나 또는 위치하는 것으로 예측 된다(Zhao and Last 1995; Kriechbaumer et al. 2008). 미생물에서 종종 발견되는 트립토판 생합성 대사경로의 다중기능성 효소들과 달리 식물 효소들은 모두 단일기능성 효소들로 밝혀졌다(Radwanski and Last 1995a).
트립토판 생합성의 첫 번째 단계인 anthranilate 생성을 촉매하는 효소는 anthranilate synthase (AS)이다. AS는 두 개의 알파 서브유닛(ASα)과 두 개의 베타 서브유닛(ASβ)으로 구성되며 α2/β2 사량체(tetramer)를 형성한다(Romero et al. 1995a). ASα는 chorismate에 결합하여 아미노화(amination) 반응과 pyruvate 제거반응을 촉매하는 활성을 지니고, ASβ는 glutamine을 가수분해하여 ASα에 암모니아(ammonia)를 제공하는 활성을 지닌다. 대부분의 고등식물은 두 개의
애기장대의 ASβ 서브유닛의 유전자가 손상된
트립토판 생합성의 두 번째 효소인 phosphoribosylanthranilate transferase (PAT)는 phosphoribosylpyrophosphate의 phosphoribosyl 그룹을 anthranilate로 전달하여 5-phosphoribosylanthranilate를 생성시킨다.
Phosphoribosylanthranilate isomerase (PAI)는 5-phosphoribosylanthranilate에서 1-(
Indole-3-glycerol phosphate synthase (IGPS)는 CdRP의 indole-3-glycerol phosphate (IGP)로의 변환 반응을 촉매한다. IGPS는 indole ring을 만드는 유일한 효소로서, 트립토판과 옥신 생합성에서 중요한 반응 단계의 효소이다. 애기장대에서는 2개의
트립토판 생합성 경로의 마지막 두 단계 반응은 tryptophan synthase 알파 서브유닛(TSα)과 베타 서브유닛(TSβ)에 의해 일어난다. TSα에 의해 IGP는 인돌(indole)과 glyceraldehyde 3-phosphate (G3P)로 분리되고, TSβ는 인돌과 serine을 결합시킴으로써 트립토판을 생성한다(Barends et al. 2008). 애기장대의 기능적으로 검증된 TSα1 외에도 65%의 아미노산 상동성을 나타내는 TSα homolog (At4g02610)는 특성 분석되어 indole synthase로 명명 되었다. 애기장대의 기능적
방향족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은 shikimate 경로의 최종산물인 chorismate로부터 합성된다. Chorismate는 chorismate mutase (CM)에 의해 prephenate로 변환되고, 이를 기질로 하여 2가지 대사경로로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이 생성된다. 하나는 arogenate 경로로서, prephenate를 ?-arogenate로 변환한 후, arogenate dehydratase (ADT) 또는 arogenate dehydrogenase (ADH)에 의해 각각 탈수화(dehydration)/탈카르복실화(decarboxylation)을 거쳐 페닐알라닌을 생성하거나, 탈수소화(dehydrogenation)/탈카르복실화를 거쳐 티로신을 생성한다. 또 다른 경로는 phenylpyruvate와 4-hydroxyphenylpyruvate 경로로서, 각각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을 생성한다. Phenylpyruvate 경로에서는 prephenate가 prephenate dehydratase (PDT)에 의해 탈수화/탈카르복실화 되어 phenylpyruvate로 변환된 후, transamination 되어 페닐알라닌이 생성된다. 4-hydroxyphenylpyruvate 경로에서는 prephenate가 prephenate dehydrogenase (PDH)에 의해 탈수소화/탈카르복실화되어 4-hydroxyphenylpyruvate로 변환된 후, transamination 되어 티로신이 생성된다.
대부분의 미생물들은 페닐알라닌과 티로신 합성을 위해서 주로 phenylpyruvate 경로를 이용한다(Zamir et al. 1985). 식물의 페닐알라닌 합성의 경우에는 미생물과는 달리 arogenate 경로가 주요 경로임이 밝혀졌으며, 티로신 합성의 주요경로는 앞으로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Maeda et al. 2010). 식물에서의 방향족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의 생합성 경로가 정확하게 밝혀진다면 식물의 탄소흐름의 분할과 그 조절에 대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horismate mutase (CM)는 페닐알라닌과 티로신 생합성의 첫 번째 반응인 chorismate의 prephenate로의 전환을 촉매한다. CM은 방향족 아미노산을 생산하는 여러 생물체에서 기능적, 구조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자연계에서 CM은 일반적인 단일기능성 효소 이외에도
애기장대에서는 3개의
한편 색소체 적중서열을 지니지 않은 CM2의 경우, 담배의 CM2는 세포질에 위치하나 아직 CM 효소활성도는 검증되지 않았으며 애기장대 AtCM2는 CM 효소활성도는 검증되었으나 아직 그 생리적 중요성은 파악되지 않고 있다(d’Amato et al. 1984; Eberhard et al. 1996; Rippert et al. 2009). 또한 토마토의 오직 하나뿐인 CM 효소는 세포질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들 세포질의 CM들은 방향족 아미노산에 의한 다른자리 입체성 조절을 받지 않는다(Eberhard et al. 1996).
최근 식물 종양을 유발하는 병원성 곰팡이인
페닐알라닌과 티로신 생합성에서 arogenate 경로의 시작 단계 효소인 prephenate aminotransferase (PPA-AT)는 transamination 반응을 통해 prephenate로부터 arogenate를 생성한다. PPA-AT 효소활성은 그 동안 수행되어온 광범위한 생화학적 특성분석에 의해 많은 식물종 뿐 아니라 몇몇 박테리아에서도 검출되어왔다(Stenmark et al. 1974; Bonner and Jensen 1985; Maeda et al. 2011). 애기장대와 페튜니아, 토마토에서의
Prephenate dehydratase (PDT)는 페닐알라닌 생합성경로에서 phenylpyruvate 경로의 첫 번째 단계인 탈카르복실화와 탈가수화반응으로 prephenate의 phenylpyruvate로의 전환을 촉매한다. 반면 ADT는 arogenate 경로의 마지막 단계인 arogenate의 페닐알라닌으로의 전환을 촉매한다. PDT와 ADT 단백질들은 촉매도메인(catalytic domain)과 페닐알라닌에 의한 다른자리 입체성 조절에 관여하는 C말단의 ACT (aspartokinase, chorismate mutase, TyrA) 조절도메인(regulatory domain)으로 구성된다. 곰팡이와 대부분의 박테리아들은 단일기능성의 PDT 또는 ADT 효소들을 지니는 반면, 대장균 같은 몇몇 진정세균들은 N말단에 CM과 융합된 이중기능성 CM-PDT (PheA) 효소를 지닌다(Kleeb et al. 2006).
식물 ADT 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박테리아 PDT들과의 상동성 검색을 통해, 애기장대에서는 6개, 벼에서는 6개, 페튜니아에서는 3개가 확인되었다. 이들 효소는 세포 내 위치조사에 의해 색소체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되었고, 기질로 prephenate가 아닌 arogenate를 선호하는 기질특이성을 나타냈다(Cho et al. 2007; Yamada et al. 2008; Maeda et al. 2010). 벼의 5-methyl-Trp 저항성 돌연변이인
ADT 효소활성도는 다양한 식물 조직과 종에서 검출되어온 반면 PDT 활성은 백화된 애기장대의 어린 식물체에서만 나타났다. 그러나 애기장대의 6개 ADT 중 3개(ADT1, ADT2, ADT6)의 효소는 ADT 활성 뿐만 아니라 prephenate를 기질로 하여 phenylpyruvate를 생성하는 PDT 활성도 역시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Cho et al. 2007). 또한 최근에 페튜니아의 꽃잎에 shikimate를 처리하여 shikimate 경로로의 탄소 흐름을 증가시킬 경우 phenylpyruvate가 검출되며, 또한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를 취합해 보면 식물은 주로 arogenate 경로를 통해서 페닐알라닌을 합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결과는 PPA-AT 효소활성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Arogenate 뿐만 아니라 prephenate 역시 기질로 사용할 수 있는 ADT 효소들은 prephenate 기질에 대해 PPA-AT 효소와 경쟁한다. 두 효소들 모두 prephenate에 대해 비슷한
ADH와 PDH는 arogenate와 prephenate의 산화적 탈카르복실화를 촉매하여 각각 티로신과 4-hydroxyphenylpyruvate를 생성한다. ADH와 PDH들은 사량체로써 활성을 나타내며 각각의 단량체들은 N말단 핵산결합부위와 C말단 기질결합부위를 지닌다(Legrand et al. 2006). 페닐알라닌 결합조절부위를 지닌 PDT, ADT들과는 달리 PDH와 ADH들은 독립적인 티로신 결합부위가 없고, 생성된 티로신에 의해 경쟁적으로 arogenate 기질에 대한 효소활성 저해를 받는다(Connelly and Conn 1986; Rippert and Matringe 2002; Legrand et al. 2006).
담배, 옥수수, 수수, 애기장대에서 arogenate를 티로신으로 변환시키는 ADH 활성이 검출되어 왔다. 반면 PDH 활성은 오직 콩류에서만 검출되어왔다(Rubin and Jensen 1979). 식물의
ADH 효소의 식물체에서의 생체내 기능은 아직 명확하지 않으나, transposon 삽입을 통한 옥수수
Phenylpyruvate aminotransferase (PPY-AT)는 phenylpyruvate의 transamination을 촉매하여 페닐알라닌을 생성한다.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4-hydroxyphenylpyruvate aminotransferase (HPP-AT)는 4-hydroxyphenylpyruvate을 티로신으로 변환시킨다. 애기장대에는 예측되는 8개의 티로신 aminotransferase 유전자들이 존재하며(Arabidopsis Genome Initiat 2000), 이 중 두 개의 효소들은 생화학적 특성분석이 되어왔다(Lopukhina et al. 2001; Jones et al. 2003; Prabhu and Hudson 2010). 최근에 페튜니아의 arogenate 경로의
미생물과 식물은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으로의 탄소흐름을 전사와 전사 후 수준에서 조절한다(Bentley 1990). 식물은 단백질 생합성뿐 아니라 식물의 주요 세포벽 구성성분, 방어물질 및 기능성 천연물질 생성을 위해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을 조절한다. 기능성 천연물질은 특정한 발달 단계 및 환경적 조건에 따라 그 수준이 급격하게 변동한다. 따라서 식물의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 조절은 하위의 기능성 천연물질 대사경로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 효소들을 암호화하는 많은 유전자들은 발달 단계, 상처, 오존, 병원균 감염, elicitors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적 자극에 의해 그 발현이 조절된다(Entus et al. 2002; Devoto et al. 2005; Yan et al. 2007). 방향족 아미노산의 합성과 분해를 조절하는 전사인자의 규명은 공통의 스트레스 조건 및 공통 발현분석(co-expression analysis)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예로
또한 방향족 아미노산 유래의 천연물질들의 생합성을 조절하는 많은 전사인자들이 규명되어왔으며 그 중 몇 가지는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트립토판 유래 이차 대사산물인 인돌글루코시놀레이트(indol glucosinolates)의 생합성 조절에는
페닐알라닌 유래의 이차 대사물질의 생합성과 관련한 많은 전사인자들이 밝혀져 왔다. 세포벽 형성과 관련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NAC SECONDARY WALL THICKENING PROMOTING FACTOR1 (NST)의 경우, NST1과 NST3가 손상된 이중돌연변이체에서 페닐알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이 감소되었다(Mitsuda et al. 2007). 또한 담배(
방향족 아미노산의 생산은 전사조절 이외에도 복잡한 전사 후 조절을 받음으로써 shikimate 경로와 방향족 아미노산 생성경로로의 탄소 흐름이 조절된다(Fig. 3).
Post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shikimate and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sis pathways in plant. Enzyme abbreviations are written as in Figure 2. Solid blue arrows and solid red lines represent the positive and negative regulation, respectively. Dashed gray lines represent suggested, but not clearly proven
shikimate 경로로의 첫 대사 흐름의 유입을 결정하는 DAHPS 효소활성은 미생물의 경우에는 방향족 아미노산이 해당 효소의 다른자리 입체성 조절부위에 결합함으로써 피드백 억제(feedback inhibition)를 나타내는 반면에, 식물의 경우 DAHPS 효소활성 조절 방식이 아직 명확하지 않다(Herrmann and Weaver 1999; Knaggs 2001). 단, 예외적으로 옥수수 싹과 완두콩잎에서의 DAHPS 효소활성은 트립토판과 티로신에 의해서 피드백 억제를 받는 반면, 당근과 감자에서는 트립토판에 의해서 활성화됨이 밝혀져 왔다(Graziana and Boudet 1980; Reinink and Borstlap 1982; Suzich et al. 1985; Pinto et al. 1986). 시금치와 녹두에서는 페닐알라닌 합성경로의 중간대사물질인 arogenate가
식물체의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 경로에서는 AS, CM, ADT, ADH 효소활성이 피드백 억제에 의해 조절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Jung et al. 1986; Siehl and Conn 1988; Romero et al. 1995a;1995b; Rippert and Matringe 2002; Yamada et al. 2008). 특히 트립토판과 페닐알라닌/티로신 경로로의 탄소흐름 분할은 분지효소인 AS와 CM 활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조절된다. 두 가지 효소 모두 기질인 chorismate에 대해 경쟁한다. AS와 CM은 각각의 대사경로의 최종산물인 트립토판, 페닐알라닌/티로신에 의해서 피드백 억제를 받는다. 또한 트립토판에 의해 CM이 활성화되어 트립토판 생합성에서 페닐알라닌/티로신 생합성으로의 방향전환이 일어난다. 마찬가지로, 페닐알라닌/티로신 생합성의 분지점에 위치하는 효소들인 ADT/ADH와 PDT/PDH는 각각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에 의해 피드백 억제를 받는다. 때로는 티로신 생합성에서 페닐알라닌 생합성으로의 방향전환을 위해 티로신이 ADT를 활성화시키기도 한다.
다양한 이차 대사산물의 전구체이자 주요 기능성 물질의 공급회로인 shikimate와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 경로에 대한 식물체내의 생합성 및 조절 기작 연구는 식물체내의 기능성 물질 생산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이고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Shikimate 및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 경로를 통해 생산되는 일차 대사물질은 기능성 이차 대사물질 생성을 위한 전구물질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아미노산의 생성 흐름과 조절 기작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필요하다.
현재까지 shikimate와 방향족 아미노산 대사경로의 유전자들을 대사공학적으로 적용해 하위 대사산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해온 사례는 Table 2와 같다. Shikimate 경로의 첫 번째 효소인
Table 2 Metabolic engineering for enhancing of aromatic amino acid-derived metabolites in plant
Target plant or tissue | Target gene | Origin of gene | Function of gene | Promoter | Strategy | Results | References |
---|---|---|---|---|---|---|---|
Phe feedback-insensitive DHAPS enzyme activity | CaMV35S | overexpression | Increased shikimate intermediate metabolites, phenylalanine, tryptophan and broad classes of secondary metabolite, such as phenylpropanoids, glucosinolates, auxin and other hormone conjugates | Tzin et al. (2012) | |||
Tomato | Phe feedback-insensitive DHAPS enzyme activity | E8 fruit specific | overexpression | Increased shikimic acid, aromatic amino acids and improved tomato quality (flavor and aroma) | Tzin et al. (2013) | ||
Petunia | Phe feedback-insensitive DHAPS enzyme activity | CaMV35S | overexpression | Increased Phe and acccumulated the level of fragrant benzenoid-phenylpropanoid volatiles in petal | Oliva et al. (2015) | ||
Legume ( | 5-methyl-tryptophan (5MT)-resistant tobacco cell line | Trp feedback-insensitive ASα enzyme activity | CaMV35S | overexpression | Increased free Trp in leaves, stems and roots and exhibited 5-MT resistance activity | Cho et al. (2000) | |
Tobacco ( | 5MT-resistant tobacco cell line | Trp feedback-insensitive ASα enzyme activity | Plastid 16S rRNA operon | overexpression | Normal phenotype and fertility Increased free Trp in leaves and total Trp levels in seeds and exhibited 5-MT resistance activity | Zhang et al. (2001) | |
Rice ( | Trp feedback-insensitive ASα enzyme activity | CaMV35S | overexpression | Increased free Trp in seedling, and Phe and Tyr in leaves and roots Enhanced indol-3-ylmethyl glucosinolate Reduced phenylpropanoids and flavonoids | Ishihara et al. (2006) | ||
Potato ( | Rice | Trp feedback-insensitive ASα enzyme activity | CaMV35S | overexpression | Increased free Trp and IAA contents in the upper part of the shoot | Matsuda et al. (2005) | |
Rice | Rice | Trp feedback-insensitive ASα enzyme activity | maize ubiquitin 1 gene (Ubi1) | overexpression | Increased free Trp in calli and leaves of seedling and exhibited 5-MT resistance activity | Tozawa et al. (2001) | |
Ubi1 | overexpression | Increased free Trp, IAA and indole-alkaloid glucoside | Morino et al. (2005) | ||||
CM/PDT bifunctional enzyme activity | CaMV35S | overexpression | Accumulated Phe and Phe-, Tyr-derived metabolites Reduced Trp-derived metabolites | Tzin et al. (2009) | |||
Tobacco | Yeast ( | Tyr feedback-insensitive PDH enzyme activity | duplicated of | Co-expression | Increased tocotrienol and resistance toward the herbicidal HPPD inhibitor diketonitril | Rippert et al. (2004) | |
p-hydroxy phenyl pyruvate dioxygenase enzyme activity | Catalyzed enzyme for final step in homogentisate synthesis |
한편 방향족 아미노산 대사경로의 주요 분지점 효소가 각각의 방향족 아미노산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트립토판 생합성을 위한 첫 번째 분지점의 효소인 ASα의 피드백 둔감형 효소를 담배, 콩, 벼 등에 과발현시킨 결과 자유 트립토판 수준이 10배-400배 이상 증가하였다(Cho et al. 2000; Tozawa et al. 2001; Zhang et al. 2001; Matsuda et al. 2005). 이러한 결과는 피드백 둔감형 ASα의 과다발현이 트립토판 축적을 강화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트립토판의 축적 정도는 생물학적 시스템에 따라 달라진다. 애기장대의 트립토판 과다생산 형질전환체들에서는 페닐알라닌과 티로신 함량도 높게 나타났다(Ishihara et al. 2006). 이러한 결과는 고농도의 트립토판이 CM을 활성화시켜 페닐알라닌, 티로신 유래 이차 대사물질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피드백 둔감형 ASα를 과발현시킨 벼 캘러스와 감자에서 살펴보면, 트립토판 유래의 이차 대사산물인 indole-3-acetic acid가 각각 57배와 39배 증가하였다(Matsuda et al. 2005; Morino et al. 2005). 반면 애기장대의 경우에는 트립토판의 함량이 200배 이상 증가하지만, 병원균 접종시 인돌글루코시놀레이트의 함량이 오직 2배 증가하였다(Ishihara et al. 2006). 이러한 결과는 트립토판 함량이 인돌글루코시놀레이트 생성의 주요 제한 요인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트립토판 유래의 이차 대사산물을 증진시키려면, 트립토판 생합성 경로 유전자와 더불어서 목적 이차 대사산물과 관련한 대사경로 유전자를 동반 과발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페닐알라닌/티로신 합성을 위한 첫 번째 단계인 chorismate로부터 prephenate를 경유하여 phenylpyruvate를 합성하는 박테리아의 이중기능성 효소인 CM/PDT를 페닐알라닌에 의한 피드백 억제현상을 차단하기 위해 CM/PDT의 다른자리 입체성 조절부위를 제거하여 애기장대에서 과발현시켰을 경우, 형질전환체에서 대조구 식물체에 비해 100배 가량 페닐알라닌 함량이 증가되었다(Tzin et al. 2009). 이것은 도입된 박테리아 효소에 의해 만들어진 phenylpyruvate를 페닐알라닌으로 변환시키는 내재적 aminotransferase 활성을 애기장대가 지니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형질전환체에서는 페닐알라닌유래 또는 티로신유래의 대사산물들인 페닐프로파노이드 및 비타민 E 등이 증가되었으며 반면, 트립토판유래의 이차 대사산물들은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피드백 둔감형 CM/PDT에 의해서 chorismate가 페닐알라닌 생합성에 다량으로 사용되면서 트립토판 생합성을 위한 기질공급이 제한되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식물체내의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의 생합성은 arogenate 수준에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페닐프로파노이드계 물질 생성을 위해 페닐알라닌 생합성 쪽으로 탄소흐름이 치우치는 양상을 나타내고, 적은 양의 탄소가 티로신 생합성 쪽으로 유입되어 비타민 E의 전구체인 4-hydroxyphenylpyruvate로 변환된다(Rippert et al. 2004). 비타민 E의 생산을 목적으로 4-hydroxyphenylpyruvate로의 대사흐름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효모유래의 티로신 비민감성
결론적으로, 방향족 아미노산유래의 기능성 이차 물질 생산을 위한 대사공학을 위해서는 피드백 비민감성 효소들을 발현시킴으로써 전사 후 억제조절을 배제시켜 방향족 아미노산 생산을 증가시키는 전략과 더불어서 유용 이차 대사물질의 보다 효과적인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해당 물질의 생합성 유전자의 과다발현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5; 42(3): 135-153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15 https://doi.org/10.5010/JPB.2015.42.3.135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임선형1,*, 박상규1, 하선화2, 최민지1, 김다혜1, 이종렬1, 김영미1
1국립농업과학원, 농촌진흥청, 전주, 560-500, 대한민국,
2생명공학원, 경희대학교, 용인, 446-701, 대한민국
Sun-Hyung Lim1,*, Sang Kyu Park1, Sun-Hwa Ha2, Min Ji Choi1, Da-Hye Kim1, Jong-Yeol Lee1, and Young-Mi Kim1
1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560-500, Korea,
2Graduate School of Biotechnology, Kyung Hee University, Yongin, 446-701, Korea
Correspondence to:S.-H. Lim e-mail: limsh2@korea.kr
The aromatic amino acids, which are composed of ?-phenylalanine, ?-tyrosine and ?-tryptophan, are general components of protein synthesis as well as precursors for a wide range of secondary metabolites. These aromatic amino acids-derived compounds play important roles as ingredients of diverse phenolics including pigments and cell walls, and hormones like auxin and salicylic acid in plants. Moreover, they also serve as the natural products of alkaloids and glucosinolates, which have a high potential to promote human health and nutrition. The biosynthetic pathways of aromatic amino acids share a chorismate, the common intermediate, which is originated from shikimate pathway. Then, tryptophan is synthesized via anthranilate and the other phenylalanine and tyrosine are synthesized via prephenate, as intermediates. This review reports recent studies about all the enzymatic steps involved in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tic pathways and their gene regulation on transcriptional/post-transcriptional levels. Furthermore, results of metabolic engineering are introduced as efforts to improve the production of the aromatic amino acids-derived secondary metabolites in plants.
Keywords: Aromatic amino acid, Metabolic engineering
방향족 아미노산인 트립토판(?-Tryptophan),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티로신(?-tyrosine)은 모든 생명체의 단백질 생합성에 필수성분이다. 방향족 아미노산의 합성은 shikimate 경로와 chorismate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대사경로들은 몇몇 원생생물, 박테리아, 곰팡이, 식물에서 존재하나 동물에는 존재하지 않는다(Galili and Hoefgen 2002). 인간과 단위가축(monogastric)에 방향족 아미노산은 필수 영양물질일 뿐 아니라, 트립토판과 티로신은 각각 신경전달물질인 세라토닌과 카테콜라민의 전구체로서 중요성을 지닌다. 뿐만 아니라 방향족 아미노산과 그 유도체들은 약리적, 생리적 활성효과를 지니므로, 다양한 의약품, 화장품, 식품, 염료, 농약 및 기타 특수소재 등에 직, 간접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Leonard et al. 2009).
방향족 아미노산은 식물의 성장과 발달, 생식, 방어, 환경적 반응 등에서 결정적 역할을 하는 매우 다양한 식물 이차 대사물질들의 전구체이다(Fig. 1). 트립토판은 식물 호르몬인 옥신(auxin)과 다양한 이차 대사물질, 알칼로이드(alkaloids),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s), 인돌 글루코시놀레이트(indole glucosinolates)의 전구체이다. 또한 티로신은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isoquinoline alkaloids), 베타라인(betalains) 색소, 퀴논(quinones)의 전구체이다. 페닐알라닌은 다양한 페놀릭 화합물의 전구물질로 사용되는데, 대표적으로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중합 탄닌(condensed tannins), 리그닌 화합물(lignans, lignins), 휘발성 페닐프로파노이드/벤제노이드(phenylpropanoid/benzenoid volatiles) 화합물의 전구체이다. 또한 방향족 아미노산의 전구물질인 chorismate는 비타민 K1과 B9 및 식물 방어물질로 알려진 살리실산(salicylic acid)의 전구물질로 이용된다(Maeda and Dudareva 2012).
Schematic diagram of the shikimate and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tic pathway in plant. Secondary metabolites derived from chorismate, tryptophan (Trp), both phenylalanine (Phe) and tyrosine (Tyr) was shown in a light purple box, a light green box and a light orange box, respectively. ADCS, aminodeoxychorismate synthase; AS, anthranilate synthase; CM, chorismate mutase; ICS, isochorismate synthase
본 리뷰에서는 인류 건강증진, 의약, 농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식물의 방향족 아미노산 생산과 현재까지 규명된 관련 효소들의 분자적 특성, 전사 및 전사 후 조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식물체 내의 방향족 아미노산 생산을 높이기 위해 시도된 그 동안의 대사공학적 접근에 대해 되짚어 보며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Shikimate 경로는 1차 대사와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을 연결하는 경로로서, 해당과정을 통해 생산된 phosphoenolpyruvate (PEP)와 5탄당 인산화 과정을 통해 생산된 erythrose 4-phosphate (E4P)를 이용하여 7단계의 효소반응을 통해 chorismate를 합성한다(Fig. 2). Shikimate 경로 관련 효소들은 생화학적 특성이 규명되어왔고, 각각의 해당 유전자들이 미생물과 식물에서 밝혀져 왔다. 대표적인 애기장대, 토마토, 벼에서의 shikimate 경로 관련 효소의 유전자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식물에서의 shikimate 경로 관련 효소들에 대한 다양한 실험적 결과와 세포 내 위치 예측 분석을 수행한 결과 대다수의 효소는 색소체(plastid)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Emanuelsson et al. 1999).
Shikimate and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tic pathway. Through seven enzymatic reactions of the shikimate pathway, chorismate was produced. Trp is produced from chorismate via six enzymatic reactions of the Trp pathway (light green box), whereas Phe and Tyr are produced via three reactions in the arogenate or phenylpyruvate/4-hydroxyphenylpyruvate routes (light orange box). Other abbreviations: CdRP, 1-(o-carboxyphenylamino)-1-deoxy-ribulose 5-phosphate; DAHP, 3-deoxy-D-
Table 1 . Enzyme and genes involved in shikimate and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tic pathway in
Enzyme | Abbreviation | |||
---|---|---|---|---|
Shikimate Pathway | ||||
3-Deoxy-D- | DAHPS | At1g22410 | Sl04g074480 | Os03g27230 |
At4g33510 | Sl11g009080 | Os07g42960 | ||
At4g39980 | Sl01g105390 | Os08g37790 | ||
Sl01g105420 | Os10g41480 | |||
3-Dehydroquinate synthase | DHQS | At5g66120 | Sl02g083590 | Os09g36800 |
Sl03g058860 | ||||
3-Dehydroquianate dehydratase/shikimate dehydrogenase | DHD/SDH | At3g06350 | Sl01g067750 | Os01g27750 |
Sl06g084460 | Os01g27780 | |||
Sl09g011730 | Os12g34870 | |||
Sl10g038080 | ||||
Shikimate kinase | SK | At2g21940 | Sl02g094420 | Os01g01302 |
At2g35500 | Sl04g051860 | Os02g51410 | ||
At3g26900 | Sl07g044970 | Os04g54800 | ||
At4g39540 | Sl08g076410 | Os06g12150 | ||
Os10g42700 | ||||
5- | EPSPS | At1g48860 | Sl01g091190 | Os06g04280 |
At2g45300 | Sl05g050980 | |||
Sl09g005460 | ||||
Chorismate synthase | CS | At1g48850 | Sl04g009620 | Os03g14990 |
Sl04g049350 | ||||
Aminodeoxychorismate synthase | ADCS | At2g28880 | Sl04g049360 | Os06g48620 |
Isochorismate synthase | ICS | At1g73805 | Sl06g071030 | Os09g19734 |
At1g74710 | ||||
Tryptophan Pathway | ||||
Anthranilate synthase | AS | At1g24807 | Sl06g005980 | Os03g15780 |
At1g24909 | Sl06g006100 | Os03g50880 | ||
At1g25083 | Sl12g010180 | Os03g61120 | ||
At1g25155 | Os04g38950 | |||
At1g25220 | Os06g48620 | |||
At2g28880 | ||||
At2g29690 | ||||
At3g55870 | ||||
At5g05730 | ||||
At5g57890 | ||||
Phosphoribosylanthranilate transferase | PAT | At5g17990 | Sl04g025540 | Os01g40480 |
At1g70570 | Sl06g071550 | Os02g44490 | ||
Sl12g035190 | Os02g57090 | |||
Os03g03450 | ||||
Os03g44890 | ||||
Os04g39680 | ||||
Os04g58720 | ||||
Os04g59520 | ||||
Os05g30750 | ||||
Os05g35480 | ||||
Os06g41090 | ||||
Os07g07070 | ||||
Os07g30020 | ||||
Phosphoribosylanthranilate isomerase | PAI | At1g07780 | Sl02g076760 | Os02g16630 |
At1g29410 | Sl06g051410 | |||
At5g05590 | ||||
Indole-3-glycerol phosphate synthase | IGPS | At2g04400 | Sl03g111850 | Os04g39270 |
At5g48220 | Os08g23150 | |||
Os09g08130 | ||||
Tryptophan synthase alpha subunit | TS | At3g54640 | Sl01g098550 | Os03g58260 |
At4g02610 | Os03g58290 | |||
Os03g58300 | ||||
Os03g58320 | ||||
Os07g08430 | ||||
Tryptophan synthase beta subunit | TS | At4g27070 | Sl05g046350 | Os06g42560 |
At5g28237 | Sl10g018380 | Os08g04180 | ||
At5g38530 | Sl07g064280 | |||
At5g54810 | Sl10g005320 | |||
Sl10g006400 | ||||
Sl10g018390 | ||||
Sl12g096190 | ||||
Phenylalaine/Tyrosine Pathway | ||||
Chorismate mutase | CM | At1g69370 | Sl02g088460 | Os01g55870 |
At3g29200 | Sl11g017240 | Os02g08410 | ||
At5g10870 | Os08g34290 | |||
Os12g38900 | ||||
Prephenate aminotransferase | PPA-AT | At1g77670 | Sl03g120450 | Os01g65090 |
At1g80360 | Sl04g054710 | |||
At2g22250 | Sl11g013170 | |||
Arogenate dehydratase /prephenate dehydratase | ADT /PDT | At1g08250 | Sl02g080620 | Os03g17730 |
At1g11790 | Sl06g050630 | Os04g33390 | ||
At2g27820 | Sl06g074530 | Os07g32774 | ||
At3g07630 | Sl07g007590 | Os07g49390 | ||
At3g44720 | Sl09g011870 | Os09g39230 | ||
At5g22630 | Sl11g066890 | Os10g37980 | ||
Sl11g072520 | ||||
Arogenate dehydrogenase/prephenate dehydrogenase | ADH/PDH | At1g15710 | Sl06g050630 | Os06g35050 |
At5g34930 | Sl06g060930 | Os06g49505 | ||
Sl07g007590 | Os06g49520 | |||
Sl09g011870 | ||||
Phenylpyruvate/4-hydroxyphenylpyruvate aminotransferases | PPY-AT/HPP-AT | At2g20610 | Sl07g053710 | Os02g20360 |
At2g24850 | Sl07g053720 | Os06g23684 | ||
At4g23590 | Sl10g007110 | Os11g42510 | ||
At4g23600 | Sl10g008200 | |||
At4g28410 | ||||
At4g28420 | ||||
At5g36160 | ||||
At5g53970 |
adata available from TAIR (http://www.arabidopsis.org/)
bdata available from TIGR (http://rice.plantbiology.msu.edu/)
cdata available from PLAZA 3.0 (http://plaza.psb.ugent.be/)
Shikimate 경로의 첫 번째 단계 효소인 3-deoxy-d-
식물에서 보고되는 type II DAHPS는 비록 대장균과 효모와는 상동성이 매우 적으나, 이들 미생물의 DAHPS 돌연변이체를 이용한 상보성 검정(complementation test)을 수행하여 몇몇 식물 종에서 동형(isotype) DAHPS들이 분리되었다(Dyer et al. 1990; Keith et al. 1991). 애기장대의 경우에는 3개의 유전자가 DAHPS를 암호화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나 몇몇 식물 종에서는 2개 또는 많게는 8개까지의 유전자가 암호화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애기장대의
Shikimate 경로의 두 번째 효소인 3-dehydroquinate synthase (DHQS)는 Co2+와 같은 2가 양이온과 NAD+를 보조인자 (co-factor)로 사용하여 DAHP를 3-dehydroquinate로 변환시킨다. 곰팡이의 경우에는 AroM 복합체로 알려진 5중 기능성 효소가 DAHP를 5-
3-Dehydroquinate dehydratase (DHD)와 shikimate:NADP+ oxidoreductase로도 불리는 shikimate dehydrogenase (SDH)는 shikimate 경로의 세 번째와 네 번째 효소반응을 촉매하여 shikimate를 생산한다. DHD는 3-dehydroquinate의 탈수화(dehydration)를 통해 3-dehydroshikimate를 생산하고, SDH는 NADPH를 보조인자로 사용하여 3-dehydroshikimate를 shikimate로 역 환원시킨다. 이들 효소의 구성은 생물계에 따라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낸다. 곰팡이에서 이들 효소는 AroM 복합체의 일부로 구성되고, 대장균의 AroD, AroE는 각각 단일기능성 효소이며, 식물의 경우에는 DHD-SDH 형태로 융합된 이중기능성 효소이다(Duncan et al. 1987; Anton and Coggins 1988; Bischoff et al. 2001). 식물에서 SDH 효소활성도는 DHD 효소활성보다 10배 이상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생산된 3-dehydroshikimate를 효과적으로 shikimate로 변환시킨다(Fiedler and Schultz 1985). 이러한 이중기능성 효소들은 페놀릭 이차 대사경로의 물질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판단된다.
애기장대를 포함한 여러 식물 종에서
Shikimate kinase (SK)는 ATP를 보조인자로 사용해서 shikimate를 인산화시켜 shikimate 3-phosphate를 생성시킨다. 대장균의 경우에는 2개의
5-
지금까지 애기장대, 사과, 포도 및 옥수수 등의 게놈 내에서 각각 2개의
Chorismate synthase (CS)는 EPSP의 3-phosphate와 C6-
방향족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은 chorismate를 기질로 하여 여섯 단계의 효소반응을 통해 생성된다. 트립토판 대사경로에 관여하는 모든 생합성 효소들은 색소체에 위치하거나 또는 위치하는 것으로 예측 된다(Zhao and Last 1995; Kriechbaumer et al. 2008). 미생물에서 종종 발견되는 트립토판 생합성 대사경로의 다중기능성 효소들과 달리 식물 효소들은 모두 단일기능성 효소들로 밝혀졌다(Radwanski and Last 1995a).
트립토판 생합성의 첫 번째 단계인 anthranilate 생성을 촉매하는 효소는 anthranilate synthase (AS)이다. AS는 두 개의 알파 서브유닛(ASα)과 두 개의 베타 서브유닛(ASβ)으로 구성되며 α2/β2 사량체(tetramer)를 형성한다(Romero et al. 1995a). ASα는 chorismate에 결합하여 아미노화(amination) 반응과 pyruvate 제거반응을 촉매하는 활성을 지니고, ASβ는 glutamine을 가수분해하여 ASα에 암모니아(ammonia)를 제공하는 활성을 지닌다. 대부분의 고등식물은 두 개의
애기장대의 ASβ 서브유닛의 유전자가 손상된
트립토판 생합성의 두 번째 효소인 phosphoribosylanthranilate transferase (PAT)는 phosphoribosylpyrophosphate의 phosphoribosyl 그룹을 anthranilate로 전달하여 5-phosphoribosylanthranilate를 생성시킨다.
Phosphoribosylanthranilate isomerase (PAI)는 5-phosphoribosylanthranilate에서 1-(
Indole-3-glycerol phosphate synthase (IGPS)는 CdRP의 indole-3-glycerol phosphate (IGP)로의 변환 반응을 촉매한다. IGPS는 indole ring을 만드는 유일한 효소로서, 트립토판과 옥신 생합성에서 중요한 반응 단계의 효소이다. 애기장대에서는 2개의
트립토판 생합성 경로의 마지막 두 단계 반응은 tryptophan synthase 알파 서브유닛(TSα)과 베타 서브유닛(TSβ)에 의해 일어난다. TSα에 의해 IGP는 인돌(indole)과 glyceraldehyde 3-phosphate (G3P)로 분리되고, TSβ는 인돌과 serine을 결합시킴으로써 트립토판을 생성한다(Barends et al. 2008). 애기장대의 기능적으로 검증된 TSα1 외에도 65%의 아미노산 상동성을 나타내는 TSα homolog (At4g02610)는 특성 분석되어 indole synthase로 명명 되었다. 애기장대의 기능적
방향족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은 shikimate 경로의 최종산물인 chorismate로부터 합성된다. Chorismate는 chorismate mutase (CM)에 의해 prephenate로 변환되고, 이를 기질로 하여 2가지 대사경로로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이 생성된다. 하나는 arogenate 경로로서, prephenate를 ?-arogenate로 변환한 후, arogenate dehydratase (ADT) 또는 arogenate dehydrogenase (ADH)에 의해 각각 탈수화(dehydration)/탈카르복실화(decarboxylation)을 거쳐 페닐알라닌을 생성하거나, 탈수소화(dehydrogenation)/탈카르복실화를 거쳐 티로신을 생성한다. 또 다른 경로는 phenylpyruvate와 4-hydroxyphenylpyruvate 경로로서, 각각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을 생성한다. Phenylpyruvate 경로에서는 prephenate가 prephenate dehydratase (PDT)에 의해 탈수화/탈카르복실화 되어 phenylpyruvate로 변환된 후, transamination 되어 페닐알라닌이 생성된다. 4-hydroxyphenylpyruvate 경로에서는 prephenate가 prephenate dehydrogenase (PDH)에 의해 탈수소화/탈카르복실화되어 4-hydroxyphenylpyruvate로 변환된 후, transamination 되어 티로신이 생성된다.
대부분의 미생물들은 페닐알라닌과 티로신 합성을 위해서 주로 phenylpyruvate 경로를 이용한다(Zamir et al. 1985). 식물의 페닐알라닌 합성의 경우에는 미생물과는 달리 arogenate 경로가 주요 경로임이 밝혀졌으며, 티로신 합성의 주요경로는 앞으로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Maeda et al. 2010). 식물에서의 방향족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의 생합성 경로가 정확하게 밝혀진다면 식물의 탄소흐름의 분할과 그 조절에 대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horismate mutase (CM)는 페닐알라닌과 티로신 생합성의 첫 번째 반응인 chorismate의 prephenate로의 전환을 촉매한다. CM은 방향족 아미노산을 생산하는 여러 생물체에서 기능적, 구조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자연계에서 CM은 일반적인 단일기능성 효소 이외에도
애기장대에서는 3개의
한편 색소체 적중서열을 지니지 않은 CM2의 경우, 담배의 CM2는 세포질에 위치하나 아직 CM 효소활성도는 검증되지 않았으며 애기장대 AtCM2는 CM 효소활성도는 검증되었으나 아직 그 생리적 중요성은 파악되지 않고 있다(d’Amato et al. 1984; Eberhard et al. 1996; Rippert et al. 2009). 또한 토마토의 오직 하나뿐인 CM 효소는 세포질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들 세포질의 CM들은 방향족 아미노산에 의한 다른자리 입체성 조절을 받지 않는다(Eberhard et al. 1996).
최근 식물 종양을 유발하는 병원성 곰팡이인
페닐알라닌과 티로신 생합성에서 arogenate 경로의 시작 단계 효소인 prephenate aminotransferase (PPA-AT)는 transamination 반응을 통해 prephenate로부터 arogenate를 생성한다. PPA-AT 효소활성은 그 동안 수행되어온 광범위한 생화학적 특성분석에 의해 많은 식물종 뿐 아니라 몇몇 박테리아에서도 검출되어왔다(Stenmark et al. 1974; Bonner and Jensen 1985; Maeda et al. 2011). 애기장대와 페튜니아, 토마토에서의
Prephenate dehydratase (PDT)는 페닐알라닌 생합성경로에서 phenylpyruvate 경로의 첫 번째 단계인 탈카르복실화와 탈가수화반응으로 prephenate의 phenylpyruvate로의 전환을 촉매한다. 반면 ADT는 arogenate 경로의 마지막 단계인 arogenate의 페닐알라닌으로의 전환을 촉매한다. PDT와 ADT 단백질들은 촉매도메인(catalytic domain)과 페닐알라닌에 의한 다른자리 입체성 조절에 관여하는 C말단의 ACT (aspartokinase, chorismate mutase, TyrA) 조절도메인(regulatory domain)으로 구성된다. 곰팡이와 대부분의 박테리아들은 단일기능성의 PDT 또는 ADT 효소들을 지니는 반면, 대장균 같은 몇몇 진정세균들은 N말단에 CM과 융합된 이중기능성 CM-PDT (PheA) 효소를 지닌다(Kleeb et al. 2006).
식물 ADT 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박테리아 PDT들과의 상동성 검색을 통해, 애기장대에서는 6개, 벼에서는 6개, 페튜니아에서는 3개가 확인되었다. 이들 효소는 세포 내 위치조사에 의해 색소체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되었고, 기질로 prephenate가 아닌 arogenate를 선호하는 기질특이성을 나타냈다(Cho et al. 2007; Yamada et al. 2008; Maeda et al. 2010). 벼의 5-methyl-Trp 저항성 돌연변이인
ADT 효소활성도는 다양한 식물 조직과 종에서 검출되어온 반면 PDT 활성은 백화된 애기장대의 어린 식물체에서만 나타났다. 그러나 애기장대의 6개 ADT 중 3개(ADT1, ADT2, ADT6)의 효소는 ADT 활성 뿐만 아니라 prephenate를 기질로 하여 phenylpyruvate를 생성하는 PDT 활성도 역시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Cho et al. 2007). 또한 최근에 페튜니아의 꽃잎에 shikimate를 처리하여 shikimate 경로로의 탄소 흐름을 증가시킬 경우 phenylpyruvate가 검출되며, 또한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를 취합해 보면 식물은 주로 arogenate 경로를 통해서 페닐알라닌을 합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결과는 PPA-AT 효소활성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Arogenate 뿐만 아니라 prephenate 역시 기질로 사용할 수 있는 ADT 효소들은 prephenate 기질에 대해 PPA-AT 효소와 경쟁한다. 두 효소들 모두 prephenate에 대해 비슷한
ADH와 PDH는 arogenate와 prephenate의 산화적 탈카르복실화를 촉매하여 각각 티로신과 4-hydroxyphenylpyruvate를 생성한다. ADH와 PDH들은 사량체로써 활성을 나타내며 각각의 단량체들은 N말단 핵산결합부위와 C말단 기질결합부위를 지닌다(Legrand et al. 2006). 페닐알라닌 결합조절부위를 지닌 PDT, ADT들과는 달리 PDH와 ADH들은 독립적인 티로신 결합부위가 없고, 생성된 티로신에 의해 경쟁적으로 arogenate 기질에 대한 효소활성 저해를 받는다(Connelly and Conn 1986; Rippert and Matringe 2002; Legrand et al. 2006).
담배, 옥수수, 수수, 애기장대에서 arogenate를 티로신으로 변환시키는 ADH 활성이 검출되어 왔다. 반면 PDH 활성은 오직 콩류에서만 검출되어왔다(Rubin and Jensen 1979). 식물의
ADH 효소의 식물체에서의 생체내 기능은 아직 명확하지 않으나, transposon 삽입을 통한 옥수수
Phenylpyruvate aminotransferase (PPY-AT)는 phenylpyruvate의 transamination을 촉매하여 페닐알라닌을 생성한다.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4-hydroxyphenylpyruvate aminotransferase (HPP-AT)는 4-hydroxyphenylpyruvate을 티로신으로 변환시킨다. 애기장대에는 예측되는 8개의 티로신 aminotransferase 유전자들이 존재하며(Arabidopsis Genome Initiat 2000), 이 중 두 개의 효소들은 생화학적 특성분석이 되어왔다(Lopukhina et al. 2001; Jones et al. 2003; Prabhu and Hudson 2010). 최근에 페튜니아의 arogenate 경로의
미생물과 식물은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으로의 탄소흐름을 전사와 전사 후 수준에서 조절한다(Bentley 1990). 식물은 단백질 생합성뿐 아니라 식물의 주요 세포벽 구성성분, 방어물질 및 기능성 천연물질 생성을 위해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을 조절한다. 기능성 천연물질은 특정한 발달 단계 및 환경적 조건에 따라 그 수준이 급격하게 변동한다. 따라서 식물의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 조절은 하위의 기능성 천연물질 대사경로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 효소들을 암호화하는 많은 유전자들은 발달 단계, 상처, 오존, 병원균 감염, elicitors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적 자극에 의해 그 발현이 조절된다(Entus et al. 2002; Devoto et al. 2005; Yan et al. 2007). 방향족 아미노산의 합성과 분해를 조절하는 전사인자의 규명은 공통의 스트레스 조건 및 공통 발현분석(co-expression analysis)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예로
또한 방향족 아미노산 유래의 천연물질들의 생합성을 조절하는 많은 전사인자들이 규명되어왔으며 그 중 몇 가지는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트립토판 유래 이차 대사산물인 인돌글루코시놀레이트(indol glucosinolates)의 생합성 조절에는
페닐알라닌 유래의 이차 대사물질의 생합성과 관련한 많은 전사인자들이 밝혀져 왔다. 세포벽 형성과 관련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NAC SECONDARY WALL THICKENING PROMOTING FACTOR1 (NST)의 경우, NST1과 NST3가 손상된 이중돌연변이체에서 페닐알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이 감소되었다(Mitsuda et al. 2007). 또한 담배(
방향족 아미노산의 생산은 전사조절 이외에도 복잡한 전사 후 조절을 받음으로써 shikimate 경로와 방향족 아미노산 생성경로로의 탄소 흐름이 조절된다(Fig. 3).
Post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shikimate and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sis pathways in plant. Enzyme abbreviations are written as in Figure 2. Solid blue arrows and solid red lines represent the positive and negative regulation, respectively. Dashed gray lines represent suggested, but not clearly proven
shikimate 경로로의 첫 대사 흐름의 유입을 결정하는 DAHPS 효소활성은 미생물의 경우에는 방향족 아미노산이 해당 효소의 다른자리 입체성 조절부위에 결합함으로써 피드백 억제(feedback inhibition)를 나타내는 반면에, 식물의 경우 DAHPS 효소활성 조절 방식이 아직 명확하지 않다(Herrmann and Weaver 1999; Knaggs 2001). 단, 예외적으로 옥수수 싹과 완두콩잎에서의 DAHPS 효소활성은 트립토판과 티로신에 의해서 피드백 억제를 받는 반면, 당근과 감자에서는 트립토판에 의해서 활성화됨이 밝혀져 왔다(Graziana and Boudet 1980; Reinink and Borstlap 1982; Suzich et al. 1985; Pinto et al. 1986). 시금치와 녹두에서는 페닐알라닌 합성경로의 중간대사물질인 arogenate가
식물체의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 경로에서는 AS, CM, ADT, ADH 효소활성이 피드백 억제에 의해 조절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Jung et al. 1986; Siehl and Conn 1988; Romero et al. 1995a;1995b; Rippert and Matringe 2002; Yamada et al. 2008). 특히 트립토판과 페닐알라닌/티로신 경로로의 탄소흐름 분할은 분지효소인 AS와 CM 활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조절된다. 두 가지 효소 모두 기질인 chorismate에 대해 경쟁한다. AS와 CM은 각각의 대사경로의 최종산물인 트립토판, 페닐알라닌/티로신에 의해서 피드백 억제를 받는다. 또한 트립토판에 의해 CM이 활성화되어 트립토판 생합성에서 페닐알라닌/티로신 생합성으로의 방향전환이 일어난다. 마찬가지로, 페닐알라닌/티로신 생합성의 분지점에 위치하는 효소들인 ADT/ADH와 PDT/PDH는 각각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에 의해 피드백 억제를 받는다. 때로는 티로신 생합성에서 페닐알라닌 생합성으로의 방향전환을 위해 티로신이 ADT를 활성화시키기도 한다.
다양한 이차 대사산물의 전구체이자 주요 기능성 물질의 공급회로인 shikimate와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 경로에 대한 식물체내의 생합성 및 조절 기작 연구는 식물체내의 기능성 물질 생산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이고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Shikimate 및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 경로를 통해 생산되는 일차 대사물질은 기능성 이차 대사물질 생성을 위한 전구물질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아미노산의 생성 흐름과 조절 기작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필요하다.
현재까지 shikimate와 방향족 아미노산 대사경로의 유전자들을 대사공학적으로 적용해 하위 대사산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해온 사례는 Table 2와 같다. Shikimate 경로의 첫 번째 효소인
Table 2 . Metabolic engineering for enhancing of aromatic amino acid-derived metabolites in plant.
Target plant or tissue | Target gene | Origin of gene | Function of gene | Promoter | Strategy | Results | References |
---|---|---|---|---|---|---|---|
Phe feedback-insensitive DHAPS enzyme activity | CaMV35S | overexpression | Increased shikimate intermediate metabolites, phenylalanine, tryptophan and broad classes of secondary metabolite, such as phenylpropanoids, glucosinolates, auxin and other hormone conjugates | Tzin et al. (2012) | |||
Tomato | Phe feedback-insensitive DHAPS enzyme activity | E8 fruit specific | overexpression | Increased shikimic acid, aromatic amino acids and improved tomato quality (flavor and aroma) | Tzin et al. (2013) | ||
Petunia | Phe feedback-insensitive DHAPS enzyme activity | CaMV35S | overexpression | Increased Phe and acccumulated the level of fragrant benzenoid-phenylpropanoid volatiles in petal | Oliva et al. (2015) | ||
Legume ( | 5-methyl-tryptophan (5MT)-resistant tobacco cell line | Trp feedback-insensitive ASα enzyme activity | CaMV35S | overexpression | Increased free Trp in leaves, stems and roots and exhibited 5-MT resistance activity | Cho et al. (2000) | |
Tobacco ( | 5MT-resistant tobacco cell line | Trp feedback-insensitive ASα enzyme activity | Plastid 16S rRNA operon | overexpression | Normal phenotype and fertility Increased free Trp in leaves and total Trp levels in seeds and exhibited 5-MT resistance activity | Zhang et al. (2001) | |
Rice ( | Trp feedback-insensitive ASα enzyme activity | CaMV35S | overexpression | Increased free Trp in seedling, and Phe and Tyr in leaves and roots Enhanced indol-3-ylmethyl glucosinolate Reduced phenylpropanoids and flavonoids | Ishihara et al. (2006) | ||
Potato ( | Rice | Trp feedback-insensitive ASα enzyme activity | CaMV35S | overexpression | Increased free Trp and IAA contents in the upper part of the shoot | Matsuda et al. (2005) | |
Rice | Rice | Trp feedback-insensitive ASα enzyme activity | maize ubiquitin 1 gene (Ubi1) | overexpression | Increased free Trp in calli and leaves of seedling and exhibited 5-MT resistance activity | Tozawa et al. (2001) | |
Ubi1 | overexpression | Increased free Trp, IAA and indole-alkaloid glucoside | Morino et al. (2005) | ||||
CM/PDT bifunctional enzyme activity | CaMV35S | overexpression | Accumulated Phe and Phe-, Tyr-derived metabolites Reduced Trp-derived metabolites | Tzin et al. (2009) | |||
Tobacco | Yeast ( | Tyr feedback-insensitive PDH enzyme activity | duplicated of | Co-expression | Increased tocotrienol and resistance toward the herbicidal HPPD inhibitor diketonitril | Rippert et al. (2004) | |
p-hydroxy phenyl pyruvate dioxygenase enzyme activity | Catalyzed enzyme for final step in homogentisate synthesis |
한편 방향족 아미노산 대사경로의 주요 분지점 효소가 각각의 방향족 아미노산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트립토판 생합성을 위한 첫 번째 분지점의 효소인 ASα의 피드백 둔감형 효소를 담배, 콩, 벼 등에 과발현시킨 결과 자유 트립토판 수준이 10배-400배 이상 증가하였다(Cho et al. 2000; Tozawa et al. 2001; Zhang et al. 2001; Matsuda et al. 2005). 이러한 결과는 피드백 둔감형 ASα의 과다발현이 트립토판 축적을 강화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트립토판의 축적 정도는 생물학적 시스템에 따라 달라진다. 애기장대의 트립토판 과다생산 형질전환체들에서는 페닐알라닌과 티로신 함량도 높게 나타났다(Ishihara et al. 2006). 이러한 결과는 고농도의 트립토판이 CM을 활성화시켜 페닐알라닌, 티로신 유래 이차 대사물질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피드백 둔감형 ASα를 과발현시킨 벼 캘러스와 감자에서 살펴보면, 트립토판 유래의 이차 대사산물인 indole-3-acetic acid가 각각 57배와 39배 증가하였다(Matsuda et al. 2005; Morino et al. 2005). 반면 애기장대의 경우에는 트립토판의 함량이 200배 이상 증가하지만, 병원균 접종시 인돌글루코시놀레이트의 함량이 오직 2배 증가하였다(Ishihara et al. 2006). 이러한 결과는 트립토판 함량이 인돌글루코시놀레이트 생성의 주요 제한 요인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트립토판 유래의 이차 대사산물을 증진시키려면, 트립토판 생합성 경로 유전자와 더불어서 목적 이차 대사산물과 관련한 대사경로 유전자를 동반 과발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페닐알라닌/티로신 합성을 위한 첫 번째 단계인 chorismate로부터 prephenate를 경유하여 phenylpyruvate를 합성하는 박테리아의 이중기능성 효소인 CM/PDT를 페닐알라닌에 의한 피드백 억제현상을 차단하기 위해 CM/PDT의 다른자리 입체성 조절부위를 제거하여 애기장대에서 과발현시켰을 경우, 형질전환체에서 대조구 식물체에 비해 100배 가량 페닐알라닌 함량이 증가되었다(Tzin et al. 2009). 이것은 도입된 박테리아 효소에 의해 만들어진 phenylpyruvate를 페닐알라닌으로 변환시키는 내재적 aminotransferase 활성을 애기장대가 지니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형질전환체에서는 페닐알라닌유래 또는 티로신유래의 대사산물들인 페닐프로파노이드 및 비타민 E 등이 증가되었으며 반면, 트립토판유래의 이차 대사산물들은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피드백 둔감형 CM/PDT에 의해서 chorismate가 페닐알라닌 생합성에 다량으로 사용되면서 트립토판 생합성을 위한 기질공급이 제한되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식물체내의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의 생합성은 arogenate 수준에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페닐프로파노이드계 물질 생성을 위해 페닐알라닌 생합성 쪽으로 탄소흐름이 치우치는 양상을 나타내고, 적은 양의 탄소가 티로신 생합성 쪽으로 유입되어 비타민 E의 전구체인 4-hydroxyphenylpyruvate로 변환된다(Rippert et al. 2004). 비타민 E의 생산을 목적으로 4-hydroxyphenylpyruvate로의 대사흐름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효모유래의 티로신 비민감성
결론적으로, 방향족 아미노산유래의 기능성 이차 물질 생산을 위한 대사공학을 위해서는 피드백 비민감성 효소들을 발현시킴으로써 전사 후 억제조절을 배제시켜 방향족 아미노산 생산을 증가시키는 전략과 더불어서 유용 이차 대사물질의 보다 효과적인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해당 물질의 생합성 유전자의 과다발현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Schematic diagram of the shikimate and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tic pathway in plant. Secondary metabolites derived from chorismate, tryptophan (Trp), both phenylalanine (Phe) and tyrosine (Tyr) was shown in a light purple box, a light green box and a light orange box, respectively. ADCS, aminodeoxychorismate synthase; AS, anthranilate synthase; CM, chorismate mutase; ICS, isochorismate synthase
Shikimate and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tic pathway. Through seven enzymatic reactions of the shikimate pathway, chorismate was produced. Trp is produced from chorismate via six enzymatic reactions of the Trp pathway (light green box), whereas Phe and Tyr are produced via three reactions in the arogenate or phenylpyruvate/4-hydroxyphenylpyruvate routes (light orange box). Other abbreviations: CdRP, 1-(o-carboxyphenylamino)-1-deoxy-ribulose 5-phosphate; DAHP, 3-deoxy-D-
Post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shikimate and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sis pathways in plant. Enzyme abbreviations are written as in Figure 2. Solid blue arrows and solid red lines represent the positive and negative regulation, respectively. Dashed gray lines represent suggested, but not clearly proven
Table 1 . Enzyme and genes involved in shikimate and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tic pathway in
Enzyme | Abbreviation | |||
---|---|---|---|---|
Shikimate Pathway | ||||
3-Deoxy-D- | DAHPS | At1g22410 | Sl04g074480 | Os03g27230 |
At4g33510 | Sl11g009080 | Os07g42960 | ||
At4g39980 | Sl01g105390 | Os08g37790 | ||
Sl01g105420 | Os10g41480 | |||
3-Dehydroquinate synthase | DHQS | At5g66120 | Sl02g083590 | Os09g36800 |
Sl03g058860 | ||||
3-Dehydroquianate dehydratase/shikimate dehydrogenase | DHD/SDH | At3g06350 | Sl01g067750 | Os01g27750 |
Sl06g084460 | Os01g27780 | |||
Sl09g011730 | Os12g34870 | |||
Sl10g038080 | ||||
Shikimate kinase | SK | At2g21940 | Sl02g094420 | Os01g01302 |
At2g35500 | Sl04g051860 | Os02g51410 | ||
At3g26900 | Sl07g044970 | Os04g54800 | ||
At4g39540 | Sl08g076410 | Os06g12150 | ||
Os10g42700 | ||||
5- | EPSPS | At1g48860 | Sl01g091190 | Os06g04280 |
At2g45300 | Sl05g050980 | |||
Sl09g005460 | ||||
Chorismate synthase | CS | At1g48850 | Sl04g009620 | Os03g14990 |
Sl04g049350 | ||||
Aminodeoxychorismate synthase | ADCS | At2g28880 | Sl04g049360 | Os06g48620 |
Isochorismate synthase | ICS | At1g73805 | Sl06g071030 | Os09g19734 |
At1g74710 | ||||
Tryptophan Pathway | ||||
Anthranilate synthase | AS | At1g24807 | Sl06g005980 | Os03g15780 |
At1g24909 | Sl06g006100 | Os03g50880 | ||
At1g25083 | Sl12g010180 | Os03g61120 | ||
At1g25155 | Os04g38950 | |||
At1g25220 | Os06g48620 | |||
At2g28880 | ||||
At2g29690 | ||||
At3g55870 | ||||
At5g05730 | ||||
At5g57890 | ||||
Phosphoribosylanthranilate transferase | PAT | At5g17990 | Sl04g025540 | Os01g40480 |
At1g70570 | Sl06g071550 | Os02g44490 | ||
Sl12g035190 | Os02g57090 | |||
Os03g03450 | ||||
Os03g44890 | ||||
Os04g39680 | ||||
Os04g58720 | ||||
Os04g59520 | ||||
Os05g30750 | ||||
Os05g35480 | ||||
Os06g41090 | ||||
Os07g07070 | ||||
Os07g30020 | ||||
Phosphoribosylanthranilate isomerase | PAI | At1g07780 | Sl02g076760 | Os02g16630 |
At1g29410 | Sl06g051410 | |||
At5g05590 | ||||
Indole-3-glycerol phosphate synthase | IGPS | At2g04400 | Sl03g111850 | Os04g39270 |
At5g48220 | Os08g23150 | |||
Os09g08130 | ||||
Tryptophan synthase alpha subunit | TS | At3g54640 | Sl01g098550 | Os03g58260 |
At4g02610 | Os03g58290 | |||
Os03g58300 | ||||
Os03g58320 | ||||
Os07g08430 | ||||
Tryptophan synthase beta subunit | TS | At4g27070 | Sl05g046350 | Os06g42560 |
At5g28237 | Sl10g018380 | Os08g04180 | ||
At5g38530 | Sl07g064280 | |||
At5g54810 | Sl10g005320 | |||
Sl10g006400 | ||||
Sl10g018390 | ||||
Sl12g096190 | ||||
Phenylalaine/Tyrosine Pathway | ||||
Chorismate mutase | CM | At1g69370 | Sl02g088460 | Os01g55870 |
At3g29200 | Sl11g017240 | Os02g08410 | ||
At5g10870 | Os08g34290 | |||
Os12g38900 | ||||
Prephenate aminotransferase | PPA-AT | At1g77670 | Sl03g120450 | Os01g65090 |
At1g80360 | Sl04g054710 | |||
At2g22250 | Sl11g013170 | |||
Arogenate dehydratase /prephenate dehydratase | ADT /PDT | At1g08250 | Sl02g080620 | Os03g17730 |
At1g11790 | Sl06g050630 | Os04g33390 | ||
At2g27820 | Sl06g074530 | Os07g32774 | ||
At3g07630 | Sl07g007590 | Os07g49390 | ||
At3g44720 | Sl09g011870 | Os09g39230 | ||
At5g22630 | Sl11g066890 | Os10g37980 | ||
Sl11g072520 | ||||
Arogenate dehydrogenase/prephenate dehydrogenase | ADH/PDH | At1g15710 | Sl06g050630 | Os06g35050 |
At5g34930 | Sl06g060930 | Os06g49505 | ||
Sl07g007590 | Os06g49520 | |||
Sl09g011870 | ||||
Phenylpyruvate/4-hydroxyphenylpyruvate aminotransferases | PPY-AT/HPP-AT | At2g20610 | Sl07g053710 | Os02g20360 |
At2g24850 | Sl07g053720 | Os06g23684 | ||
At4g23590 | Sl10g007110 | Os11g42510 | ||
At4g23600 | Sl10g008200 | |||
At4g28410 | ||||
At4g28420 | ||||
At5g36160 | ||||
At5g53970 |
adata available from TAIR (http://www.arabidopsis.org/)
bdata available from TIGR (http://rice.plantbiology.msu.edu/)
cdata available from PLAZA 3.0 (http://plaza.psb.ugent.be/)
Table 2 . Metabolic engineering for enhancing of aromatic amino acid-derived metabolites in plant.
Target plant or tissue | Target gene | Origin of gene | Function of gene | Promoter | Strategy | Results | References |
---|---|---|---|---|---|---|---|
Phe feedback-insensitive DHAPS enzyme activity | CaMV35S | overexpression | Increased shikimate intermediate metabolites, phenylalanine, tryptophan and broad classes of secondary metabolite, such as phenylpropanoids, glucosinolates, auxin and other hormone conjugates | Tzin et al. (2012) | |||
Tomato | Phe feedback-insensitive DHAPS enzyme activity | E8 fruit specific | overexpression | Increased shikimic acid, aromatic amino acids and improved tomato quality (flavor and aroma) | Tzin et al. (2013) | ||
Petunia | Phe feedback-insensitive DHAPS enzyme activity | CaMV35S | overexpression | Increased Phe and acccumulated the level of fragrant benzenoid-phenylpropanoid volatiles in petal | Oliva et al. (2015) | ||
Legume ( | 5-methyl-tryptophan (5MT)-resistant tobacco cell line | Trp feedback-insensitive ASα enzyme activity | CaMV35S | overexpression | Increased free Trp in leaves, stems and roots and exhibited 5-MT resistance activity | Cho et al. (2000) | |
Tobacco ( | 5MT-resistant tobacco cell line | Trp feedback-insensitive ASα enzyme activity | Plastid 16S rRNA operon | overexpression | Normal phenotype and fertility Increased free Trp in leaves and total Trp levels in seeds and exhibited 5-MT resistance activity | Zhang et al. (2001) | |
Rice ( | Trp feedback-insensitive ASα enzyme activity | CaMV35S | overexpression | Increased free Trp in seedling, and Phe and Tyr in leaves and roots Enhanced indol-3-ylmethyl glucosinolate Reduced phenylpropanoids and flavonoids | Ishihara et al. (2006) | ||
Potato ( | Rice | Trp feedback-insensitive ASα enzyme activity | CaMV35S | overexpression | Increased free Trp and IAA contents in the upper part of the shoot | Matsuda et al. (2005) | |
Rice | Rice | Trp feedback-insensitive ASα enzyme activity | maize ubiquitin 1 gene (Ubi1) | overexpression | Increased free Trp in calli and leaves of seedling and exhibited 5-MT resistance activity | Tozawa et al. (2001) | |
Ubi1 | overexpression | Increased free Trp, IAA and indole-alkaloid glucoside | Morino et al. (2005) | ||||
CM/PDT bifunctional enzyme activity | CaMV35S | overexpression | Accumulated Phe and Phe-, Tyr-derived metabolites Reduced Trp-derived metabolites | Tzin et al. (2009) | |||
Tobacco | Yeast ( | Tyr feedback-insensitive PDH enzyme activity | duplicated of | Co-expression | Increased tocotrienol and resistance toward the herbicidal HPPD inhibitor diketonitril | Rippert et al. (2004) | |
p-hydroxy phenyl pyruvate dioxygenase enzyme activity | Catalyzed enzyme for final step in homogentisate synthesis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Schematic diagram of the shikimate and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tic pathway in plant. Secondary metabolites derived from chorismate, tryptophan (Trp), both phenylalanine (Phe) and tyrosine (Tyr) was shown in a light purple box, a light green box and a light orange box, respectively. ADCS, aminodeoxychorismate synthase; AS, anthranilate synthase; CM, chorismate mutase; ICS, isochorismate synthase
|@|~(^,^)~|@|Shikimate and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tic pathway. Through seven enzymatic reactions of the shikimate pathway, chorismate was produced. Trp is produced from chorismate via six enzymatic reactions of the Trp pathway (light green box), whereas Phe and Tyr are produced via three reactions in the arogenate or phenylpyruvate/4-hydroxyphenylpyruvate routes (light orange box). Other abbreviations: CdRP, 1-(o-carboxyphenylamino)-1-deoxy-ribulose 5-phosphate; DAHP, 3-deoxy-D-
Post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shikimate and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sis pathways in plant. Enzyme abbreviations are written as in Figure 2. Solid blue arrows and solid red lines represent the positive and negative regulation, respectively. Dashed gray lines represent suggested, but not clearly prov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