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5; 42(3): 180-185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15
https://doi.org/10.5010/JPB.2015.42.3.180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민성란1,†, 고석민2,†, 유재일1, 박지현1, 이소영1, 이인하3, 김현숙3, 김태일3, 최필선4, 정원중1, 김석원5, 김종현6, 유장렬7,*
1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시스템공학연구센터,
2제주대 아열대원예산업연구소,
3충청남도농업기술원 논산딸기시험장,
4남부대 한방제약개발학과,
5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
6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생명과학연구부,
7대구경북과학기술원 뉴바이올로지 전공
Correspondence to : J. R. Liu e-mail: liu@dgist.ac.kr
Leaf discs from ‘Yeobong’ and ‘Maehyang’ strawberry plants were used as explants for transformation. The
Keywords
재배되고 있는 딸기는 8배체(2n=8x=56)로 장미과에 속하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과채류 작물이다. 2006년까지만 해도 ‘육보’, ‘장희’ 등 일본 도입 품종이 전체 딸기 재배면적의 약 86%를 차지하였으나 그 뒤 국내 육성 품종인 ‘매향’, ‘설향’ 등이 개발?·?보급되어 2013년에는 국내품종 점유율이 80% 정도 차지하고 있다(Agricultural Outlook Center 2013).
딸기는 유전적으로 복잡하고 배수성이 높아 전통 육종방법으로 형질을 개량하기가 용이하지 않다(Faedi et al. 2002; Marta et al. 2004). 1990년대부터 딸기 형질전환 연구가 시도되었는데 초기에는 주로 GUS와 같은 reporter 유전자 및 선발 마커 유전자를 2배체 또는 8배체 딸기로 도입하였고(Barcelo et al. 1998; El Mansouri et al. 1996; James et al. 1990; Nehra et al. 1990 a, b) 그 후 곰팡이, 바이러스 등 병 저항성(Graham et al. 1995; Vellicce et al. 2006), 내염성(Wang et al. 2004), 제초제 저항성(du Plessis et al. 1997; Morgan et al. 2002), 반결빙 단백질(Houde et al. 2004; Khammuang et al. 2005), taste-modifying 단백질 miraculin (Sugaya et al. 2008), 과실 무름방지(Jimenez-Bermudez et al. 2002) 및 딸기 AGPase small subunit cDNA antisense 발현(Park et al. 2006)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유전자를 도입하여 새로운 딸기 품종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딸기에서 안정적이고 재현성 있는 형질전환 방법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품종별 최적 호르몬 조합, 배양 방법 및 배양 절편 등이 포함된 고빈도 식물체 재분화 체계가 먼저 확립되어야 한다(Barcelo et al. 1998; Nehra and Stushnoff 1989). 본 연구팀에서는 안정적인 형질전환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딸기 ‘여봉’ 품종에 대한 고빈도 식물체 재분화 시스템(Cho et al. 2005)을 확립한 바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유전자가 발현하는 감미단백질 모넬린(monellin)은 서아프리카 식물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국 도입 품종 및 국내 육성 딸기 품종을 대상으로 CaMV 35S 프로모터 조절 하에 감미단백질 모넬린 유전자가 재조합된 벡터가 들어있는
외국 도입 국내 재배 품종인 ‘여봉’(
형질전환에 사용된 배지는 공동배양 배지, 캘러스 유도 배지, 식물체 재분화 배지 및 발근 배지로 구분하였으며 그 세부적 조성은 다음과 같다. 공동배양 배지는 Murashige & Skoog (MS, 1962) 무기염에 B5 (Gamborg et al. 1968) 비타민, 2.2 mg/L thidiazuron (TDZ), 0.3 mg/L indole-3-butyric acid (IBA) 및 200 μM acetosyringone (AS)이 첨가되었고, 잎 절편체로부터 캘러스 유도 및 선발을 위해 공동배양 배지에 300 mg/L carbenicillin (Cb) + 50 mg/L kanamycin (Km),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는 MS 무기염 + B5 비타민 + 3.0 mg/L 6-benzylaminopurin (BA) + 0.5 mg/L IBA + 300 mg/L Cb + 50 mg/L Km, 식물체로부터 뿌리유도를 위해서는 1/2MS + B5 비타민 + 300 mg/L Cb + 50 mg/L Km를 사용하였다. 모든 고체배지에 3% sucrose, 0.6% Phyto Agar (Duchefa Biochemie, Haarlem, The Netherlands)가 첨가되었고 pH 5.6으로 조정하여 121°C, 1.2기압에서 15분간 고압 멸균 후 90 × 15 mm 플라스틱 페트리접시에 25 mL씩 분주하여 사용하였다.
Plant transformation vector (pGA482-pS1D). Pnos and Tnos, nopalin synthase promoter and terminator sequences, respectively; NPTII, neomycin phosphotransferase; P35S, CaMV 35S promoter; H,
선발과정을 거친 순화된 식물체의 잎에서 DNeasy Plant Mini Kit (Qiagen, Germany)을 사용하여 프로토콜에 따라 genomic DNA를 분리하여 PCR 분석을 수행하였다. PCR에 사용된 primer는 모넬린 특이적 primer (Forward: GGGAATGGGAAATTATCGAT, Reverse: CTATTATGGTGGTGGAACTGG)와
기내 배양 중인 딸기 ‘여봉’ 및 ‘매향’ 잎 절편체에 모넬린 유전자 도입 pGA482-pS1D 벡터(Fig. 1)가 함유된
Development of transgenic ‘Maehyang’ strawberry plants after
Flowering of transgenic strawberry plants. (A and B) Wild type and transgenic plants of ‘Yeobong’. (C and D) Wild type and transgenic plants of ‘Maehyang’
선발과정을 거쳐 순화된 딸기 식물체의 잎으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여 모넬린 특이 염기서열 primer와 선발마커로 사용된
PCR analysis of ‘Maehyang’ strawberry plants. (A) Monellin specific primer. (B) NPTII specific primer. PC, Positive control; 1-4, Putative transgenic plants; NC, Non-transgenic control plant
Southern blot analysis of transgenic strawberry plants. WT, Non-transgenic control plant; 1-3~5-1 and 1~3, transgenic ‘Yeobong’ and ‘Maehyang’ transgenic plants, respectively
Northern blot analysis of transgenic strawberry plants. WT, Non-transgenic control plant; 1-3~5-1 and 1~3, ‘Yeobong’ and ‘Maehyang’ transgenic plants, respectively. Low panel was EtBr-stained RNA gel
본 연구팀은 모넬린 유전자 이외에도 면역단백질 락토페린과 트레할로스 합성 TPSP 유전자가 도입된 매향 딸기 형질전환체를 확보하고 있다. 딸기 형질전환 식물체를 기내(1/2MS + B5 비타민 + 25 mg/L Km)에서 3개월에 한번씩 장기간(약 5년간) 계대배양을 통해 유지한 후, PCR로 도입유전자의 유지여부를 확인하였던 바 모넬린이 들어있는 형질전환체에서는 유전자가 대부분 escape 되는 현상을 보였으나, TPSP 및 락토페린이 들어 있는 형질전환체의 경우는 같은 조건에서도 유전자의 escape이 거의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데이터 미제시). 이러한 원인은 8배체의 복잡한 유전성을 가지는 딸기 게놈에 모넬린 유전자가 불안정한 site에 도입되었다가 선발 항생제의 농도가 다소 낮은 배지에서의 장기간 계대배양으로 인한 유전자의 소실로 추정되며, 추후 TPSP 및 락토페린이 도입된 딸기 형질전환체에서도 그와 같은 경향이 있는지 추적 관찰 및 원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딸기 형질전환 체계는 향후 다양한 유용유전자를 국내 육성 딸기 품종에 안정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으로써 우수 신품종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5; 42(3): 180-185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15 https://doi.org/10.5010/JPB.2015.42.3.180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민성란1,†, 고석민2,†, 유재일1, 박지현1, 이소영1, 이인하3, 김현숙3, 김태일3, 최필선4, 정원중1, 김석원5, 김종현6, 유장렬7,*
1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시스템공학연구센터,
2제주대 아열대원예산업연구소,
3충청남도농업기술원 논산딸기시험장,
4남부대 한방제약개발학과,
5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
6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생명과학연구부,
7대구경북과학기술원 뉴바이올로지 전공
Sung Ran Min1,†, Suk Min Ko2,†, Jae Il Lyu1, Ji Hyun Park1, So Young Yi1, In-Ha Lee3, Hyun Sook Kim3, Tae Il Kim3, Pil Son Choi4, Won-Joong Jeong1, Suk Weon Kim5, Jonghyun Kim6, and Jang R. Liu7,*
1Plant Systems Engineering Research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KRIBB), Daejeon 305-806, Korea,
2Subtropical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690-756, Korea,
3Nonsan Strawberry Experiment Station, Chungcheo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Nonsan 320-862, Korea,
4Department of Oriental Pharmaceutical Development, Nambu University, Kwangju 506-706, Korea,
5Microbiological Resources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KRIBB), Daejeon 305-806, Korea,
6Division of Life Science,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Daejeon 305-806, Korea,
7Dept. of New Biology,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Daegu 711-873, Korea
Correspondence to:J. R. Liu e-mail: liu@dgist.ac.kr
Leaf discs from ‘Yeobong’ and ‘Maehyang’ strawberry plants were used as explants for transformation. The
Keywords:
재배되고 있는 딸기는 8배체(2n=8x=56)로 장미과에 속하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과채류 작물이다. 2006년까지만 해도 ‘육보’, ‘장희’ 등 일본 도입 품종이 전체 딸기 재배면적의 약 86%를 차지하였으나 그 뒤 국내 육성 품종인 ‘매향’, ‘설향’ 등이 개발?·?보급되어 2013년에는 국내품종 점유율이 80% 정도 차지하고 있다(Agricultural Outlook Center 2013).
딸기는 유전적으로 복잡하고 배수성이 높아 전통 육종방법으로 형질을 개량하기가 용이하지 않다(Faedi et al. 2002; Marta et al. 2004). 1990년대부터 딸기 형질전환 연구가 시도되었는데 초기에는 주로 GUS와 같은 reporter 유전자 및 선발 마커 유전자를 2배체 또는 8배체 딸기로 도입하였고(Barcelo et al. 1998; El Mansouri et al. 1996; James et al. 1990; Nehra et al. 1990 a, b) 그 후 곰팡이, 바이러스 등 병 저항성(Graham et al. 1995; Vellicce et al. 2006), 내염성(Wang et al. 2004), 제초제 저항성(du Plessis et al. 1997; Morgan et al. 2002), 반결빙 단백질(Houde et al. 2004; Khammuang et al. 2005), taste-modifying 단백질 miraculin (Sugaya et al. 2008), 과실 무름방지(Jimenez-Bermudez et al. 2002) 및 딸기 AGPase small subunit cDNA antisense 발현(Park et al. 2006)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유전자를 도입하여 새로운 딸기 품종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딸기에서 안정적이고 재현성 있는 형질전환 방법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품종별 최적 호르몬 조합, 배양 방법 및 배양 절편 등이 포함된 고빈도 식물체 재분화 체계가 먼저 확립되어야 한다(Barcelo et al. 1998; Nehra and Stushnoff 1989). 본 연구팀에서는 안정적인 형질전환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딸기 ‘여봉’ 품종에 대한 고빈도 식물체 재분화 시스템(Cho et al. 2005)을 확립한 바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유전자가 발현하는 감미단백질 모넬린(monellin)은 서아프리카 식물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국 도입 품종 및 국내 육성 딸기 품종을 대상으로 CaMV 35S 프로모터 조절 하에 감미단백질 모넬린 유전자가 재조합된 벡터가 들어있는
외국 도입 국내 재배 품종인 ‘여봉’(
형질전환에 사용된 배지는 공동배양 배지, 캘러스 유도 배지, 식물체 재분화 배지 및 발근 배지로 구분하였으며 그 세부적 조성은 다음과 같다. 공동배양 배지는 Murashige & Skoog (MS, 1962) 무기염에 B5 (Gamborg et al. 1968) 비타민, 2.2 mg/L thidiazuron (TDZ), 0.3 mg/L indole-3-butyric acid (IBA) 및 200 μM acetosyringone (AS)이 첨가되었고, 잎 절편체로부터 캘러스 유도 및 선발을 위해 공동배양 배지에 300 mg/L carbenicillin (Cb) + 50 mg/L kanamycin (Km),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는 MS 무기염 + B5 비타민 + 3.0 mg/L 6-benzylaminopurin (BA) + 0.5 mg/L IBA + 300 mg/L Cb + 50 mg/L Km, 식물체로부터 뿌리유도를 위해서는 1/2MS + B5 비타민 + 300 mg/L Cb + 50 mg/L Km를 사용하였다. 모든 고체배지에 3% sucrose, 0.6% Phyto Agar (Duchefa Biochemie, Haarlem, The Netherlands)가 첨가되었고 pH 5.6으로 조정하여 121°C, 1.2기압에서 15분간 고압 멸균 후 90 × 15 mm 플라스틱 페트리접시에 25 mL씩 분주하여 사용하였다.
Plant transformation vector (pGA482-pS1D). Pnos and Tnos, nopalin synthase promoter and terminator sequences, respectively; NPTII, neomycin phosphotransferase; P35S, CaMV 35S promoter; H,
선발과정을 거친 순화된 식물체의 잎에서 DNeasy Plant Mini Kit (Qiagen, Germany)을 사용하여 프로토콜에 따라 genomic DNA를 분리하여 PCR 분석을 수행하였다. PCR에 사용된 primer는 모넬린 특이적 primer (Forward: GGGAATGGGAAATTATCGAT, Reverse: CTATTATGGTGGTGGAACTGG)와
기내 배양 중인 딸기 ‘여봉’ 및 ‘매향’ 잎 절편체에 모넬린 유전자 도입 pGA482-pS1D 벡터(Fig. 1)가 함유된
Development of transgenic ‘Maehyang’ strawberry plants after
Flowering of transgenic strawberry plants. (A and B) Wild type and transgenic plants of ‘Yeobong’. (C and D) Wild type and transgenic plants of ‘Maehyang’
선발과정을 거쳐 순화된 딸기 식물체의 잎으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여 모넬린 특이 염기서열 primer와 선발마커로 사용된
PCR analysis of ‘Maehyang’ strawberry plants. (A) Monellin specific primer. (B) NPTII specific primer. PC, Positive control; 1-4, Putative transgenic plants; NC, Non-transgenic control plant
Southern blot analysis of transgenic strawberry plants. WT, Non-transgenic control plant; 1-3~5-1 and 1~3, transgenic ‘Yeobong’ and ‘Maehyang’ transgenic plants, respectively
Northern blot analysis of transgenic strawberry plants. WT, Non-transgenic control plant; 1-3~5-1 and 1~3, ‘Yeobong’ and ‘Maehyang’ transgenic plants, respectively. Low panel was EtBr-stained RNA gel
본 연구팀은 모넬린 유전자 이외에도 면역단백질 락토페린과 트레할로스 합성 TPSP 유전자가 도입된 매향 딸기 형질전환체를 확보하고 있다. 딸기 형질전환 식물체를 기내(1/2MS + B5 비타민 + 25 mg/L Km)에서 3개월에 한번씩 장기간(약 5년간) 계대배양을 통해 유지한 후, PCR로 도입유전자의 유지여부를 확인하였던 바 모넬린이 들어있는 형질전환체에서는 유전자가 대부분 escape 되는 현상을 보였으나, TPSP 및 락토페린이 들어 있는 형질전환체의 경우는 같은 조건에서도 유전자의 escape이 거의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데이터 미제시). 이러한 원인은 8배체의 복잡한 유전성을 가지는 딸기 게놈에 모넬린 유전자가 불안정한 site에 도입되었다가 선발 항생제의 농도가 다소 낮은 배지에서의 장기간 계대배양으로 인한 유전자의 소실로 추정되며, 추후 TPSP 및 락토페린이 도입된 딸기 형질전환체에서도 그와 같은 경향이 있는지 추적 관찰 및 원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딸기 형질전환 체계는 향후 다양한 유용유전자를 국내 육성 딸기 품종에 안정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으로써 우수 신품종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Plant transformation vector (pGA482-pS1D). Pnos and Tnos, nopalin synthase promoter and terminator sequences, respectively; NPTII, neomycin phosphotransferase; P35S, CaMV 35S promoter; H,
Development of transgenic ‘Maehyang’ strawberry plants after
Flowering of transgenic strawberry plants. (A and B) Wild type and transgenic plants of ‘Yeobong’. (C and D) Wild type and transgenic plants of ‘Maehyang’
PCR analysis of ‘Maehyang’ strawberry plants. (A) Monellin specific primer. (B) NPTII specific primer. PC, Positive control; 1-4, Putative transgenic plants; NC, Non-transgenic control plant
Southern blot analysis of transgenic strawberry plants. WT, Non-transgenic control plant; 1-3~5-1 and 1~3, transgenic ‘Yeobong’ and ‘Maehyang’ transgenic plants, respectively
Northern blot analysis of transgenic strawberry plants. WT, Non-transgenic control plant; 1-3~5-1 and 1~3, ‘Yeobong’ and ‘Maehyang’ transgenic plants, respectively. Low panel was EtBr-stained RNA gel
Shahina Akter, Md. Amdadul Huq, Yu-Jin Jung, Yong-Gu Cho, and Kwon-Kyoo Kang
J Plant Biotechnol 2016; 43(4): 397-404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Plant transformation vector (pGA482-pS1D). Pnos and Tnos, nopalin synthase promoter and terminator sequences, respectively; NPTII, neomycin phosphotransferase; P35S, CaMV 35S promoter; H,
Development of transgenic ‘Maehyang’ strawberry plants after
Flowering of transgenic strawberry plants. (A and B) Wild type and transgenic plants of ‘Yeobong’. (C and D) Wild type and transgenic plants of ‘Maehyang’
|@|~(^,^)~|@|PCR analysis of ‘Maehyang’ strawberry plants. (A) Monellin specific primer. (B) NPTII specific primer. PC, Positive control; 1-4, Putative transgenic plants; NC, Non-transgenic control plant
|@|~(^,^)~|@|Southern blot analysis of transgenic strawberry plants. WT, Non-transgenic control plant; 1-3~5-1 and 1~3, transgenic ‘Yeobong’ and ‘Maehyang’ transgenic plants, respectively
|@|~(^,^)~|@|Northern blot analysis of transgenic strawberry plants. WT, Non-transgenic control plant; 1-3~5-1 and 1~3, ‘Yeobong’ and ‘Maehyang’ transgenic plants, respectively. Low panel was EtBr-stained RNA g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