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5; 42(3): 204-214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15
https://doi.org/10.5010/JPB.2015.42.3.204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홍준기1, 서은정1, 이수영2, 송천영3, 이승범1, 김진아1, 이수인1, 이연희1,*
1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2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3한국농수산대학 화훼학과
Correspondence to : Y. H. Lee e-mail: yhl2222@korea.kr
Keywords Short internodes, Transcription factor, Transgenic plant, Retardation, Morphogenesis
왜성(dwarfism)의 특성을 유도하기 위한 생장 지연(Growth retardation)은 그 종(種)의 표준 크기에 비하여 작게 자라는 형질, 또는 그런 형질을 가진 품종을 생산하기 위해 농업 및 원예산업에서 경제적으로 중요성을 가지는 영역이다(Topp et al. 2009). 생장지연을 통해 식물 높이와 줄기 길이를 축소함으로써 새로운 미적 가치를 갖는 관상용 원예작물을 제조할 수 있고, 채소 또는 과일을 소형화함으로써 먹기에 적당한 크기를 갖는 새로운 상업적 가치의 농작물들을 제조할 수 있으며 식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공간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화훼작물은 수세기 동안 육종가와 연구자들에 의해 수많은 종류의 절화, 분화, 화단화 등이 개발되었고 상업화 되었다(Chandler and Sanchez 2012). 최근, 소비자들은 보다 작고 콤팩트 하면서도 현재의 특성을 가진 화훼작물을 선호하는데 특히 소형화된 화훼류는 생산시설에서 자리를 덜 차지하고 다루기가 쉬우며 운송비가 절약된다는 이점이 있어 선호도가 높다(Islam et al. 2013). 특히 화훼에서는 왜화제 처리가 부수적으로 많은 수의 측지를 발생시켜 결과적으로 더 많은 꽃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왜화제들이 고수량, 고품질의 식물체를 얻는데 오랫동안 이용되었다(Kazaz et al. 2010). 그러나 이들 물질들이 환경과 인체에 해롭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De Castro et al. 2004; Lütken et al. 2012; Sørensen and Danielsen 2006). 최근 유럽에서는 식물의 생장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왜성 유도의 대표적인 물질인 패클로부트라졸(paclobutrazol)과 다미노지드(daminozide)등을 사용하기 위한 새로운 지침서가 만들어 졌으며 유해성을 가지는 다른 화학 생장조절제에 대해서도 환경단체들에 의해서 재평가되고 있다(Lütken et al. 2012). 이러한 왜성 품종은 단기간에 전통 육종으로 쉽게 확보되기 어려운 상황으로 생장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이용한 GM 화훼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생장지연을 통한 왜성 식물체를 유도하기 위해 생명공학적으로 식물 생장호르몬인 지베렐린산(Gibberellic acid, GA) 생합성에 초점을 맞춰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다양한 식물에서 활성 GA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애기장대에서 분리된
본 연구에서는 배추 유래
페튜니아 Dream Red (PanAmerican Seed)종자를 70% 에탄올에서 1 분간 세척 후 1% NaClO 용액에서 10 분간 소독하고 멸균된 증류수로 5-10 회 반복 세척하였다. 소독된 종자를 발아배지(MS basal medium + 2% sucrose + 0.9% Phytagar)에 파종하여 25°C 장일조건(낮 16 시간, 밤 8 시간)인 식물 생장실에서 배양하였다.
식물 형질전환을 위해서 pCAMBIA 1390 벡터를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pCAMBIA1390 벡터에 존재하는 His-tag 부위를 SpeI과 BstEII로 처리하여 제거하였으며, 항생제 하이그로마이신 분해 유전자(HPHII) 부위를 카나마이신 분해 유전자(NPTII)로 대체하여 제작하였다.
기내에서 종자 발아 후 자라 나온 본엽을 0.5 cm 정도로 절단하여 아그로박테리움(O.D.550=0.4-0.6)을 포함하고 있는 공동배양배지(MS basal medium + 3% sucrose + 1.0 mg/L BA + 2.0 mg/L IAA + acetosyringone 100 μM)에 넣고 25°C, 암상태에서 3일 동안 공동 배양하였다. 공동배양 후 페튜니아 잎을 멸균수로 5번 이상 부드럽게 세척 후에 선발배지(MS basal medium + 3% sucrose + BA 1.0 mg/L + IAA 2.0 mg/L + carbenicillin 100mg/L + cefotaxime 250 mg/L + kanamycin 50 mg/L + 0.9% Phytagar)에 치상하였다. 약 2-3주 배양 후 절편체 끝부분에서 형성된 캘러스를 분리하여 다시 선발배지로 옮겨 2-3 주 간격으로 계대배양 하면서 shoot를 유기하였다. Shoot가 유도되면 뿌리 유도배지(MS basal medium + 2% sucrose + carbenicillin 100mg/L + cefotaxim 250 mg/L + kanamycin 50 mg/L + 0.9 % Phytagar)로 옮겨 뿌리를 유기하였다. 뿌리가 유기된 형질전환체는 순화단계를 거쳐 온실에서 재배되었고 교배를 통하여 후대 종자를 확보하였다. 페튜니아 형질전환체의 세대 진전을 위해 독립된 20 개체의 T0 종자를 카나마이신 50 mg/L이 포함된 MS 기본 배지에 90개씩 파종하여 3 (저항성) : 1 (감수성)의 분리비를 보이면서 표현형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온실로 옮겨 재배하였다. 온실로 옮겨진 후 지속적으로 왜성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페튜니아를 선택하여 T1에서 T3까지 세대를 진전 시켰다.
왜성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페튜니아를 선택하여 genomic DNA PCR과 RT-PCR을 통해
페튜니아 식물체 잎으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였다(DNeasy Plant Kit, Qiagene). 분리된 genomic DNA 500 ng을 사용하여
Table 1 Oligonucleotide primers used in RT-PCR and genomic DNA PCR
Target | Primer sequences | Expected size (bp) |
---|---|---|
5’-ATGGCTGGATTGTTCTATCTAGGAGGTAG-3’ | 1057 | |
5’-TTAAGACCTAGGAGATGCAAAGAAGGATG-3’ | ||
5’-ATGTCGGATTCCGGTGCCTTCACGGACTG-3’ | 1159 | |
5’-TTAACTGTAAAACCCAGCGCCTGCACCAC-3 | ||
5’-ATGGGGAGAGGAAAGATTGATATAA-3’ | 813 | |
5’-TAGTCACTTTGAGCCGACTTGATTC-3’ | ||
5’-ATGGAAGTTGTTGAAGTTCTTCAC-3’ | 1022 | |
5’-TTGGACATGCAATCAGAAACAATC-3’ | ||
5’-TGGCATCACACTTTTCTACAA-3’ | 515 | |
5’-CAACGGAATCTCTCAGCTCC-3’ |
도입된
또한 8주된 형질전환 페튜니아의 분열조직에서 total RNA를 분리하여 식물 생장 호르몬 GA와 auxin 관련 페튜니아
분석에 사용된 형질전환 페튜니아는 3세대를 자가 수분시켜 대부분 형질이 고정된 대표 2계통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배지에서 선발된 개체는 32공 tray를 사용하여 계통별로 10개체씩 원예용 상토에 펄라이트(perlite)를 4:1 비율로 혼합한 토양에 옮겨 심어 4주 키운 후 18cm 화분에 옮겨 심었다. 생육조사 및 개화조사는 화분 10개를 기준으로 3반복으로, 화분당 30여개의 꽃이 개화되는 시기에 조사를 실시 하였다(Song 2009a, 2009b). 생육조사는 초장, 초폭, 엽장, 엽폭, 엽색, 엽형, 줄기수, 줄기길이, 줄기수, 절간장을 조사하였다. 초폭은 식물체 상단에서 옆으로 퍼진 길이, 줄기길이는 식물체에서 가장 긴 줄기의 길이, 절간장은 5-6 마디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개화 조사는 화고, 화폭, 화색, 화형 등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화고는 개화한 꽃의 높이를 측정 하였고 화폭은 꽃의 상단에서 내려본 직영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페튜니아에 배추
The expression of
최종 선발된
Phenotypes of transgenic petunia plants transformed with
Leaf morphology of the transgenic petunia plants. (A) The leaves from each line are displayed. Comparison of leaf lengths (B) and widths (C). Values represent means of 10 plants per line.
Phenotypes of transgenic petunia plants transformed with
형질전환 페튜니아의 첫 번째 꽃이 개화했을 때에 줄기의 수는 L1:24-3-2를 제외한 S7:3-3-2, S7:160-1-1, L1:29-3-4에서 비형질전환체와 유사하게 7-8개를 형성하였다(Fig. 4C). L1:24-3-2은 12.5개의 줄기가 형성 되었는데 증가한 줄기 수의 표현형은
Flower phenotypes of transgenic petunia plants transformed with
선행 연구 결과에서 왜성의 특성이 강하게 유도된
Expression patterns of GA- and auxin-related genes in the apical regions of
배추 분열조직에서 분리된
본 연구에서
GA와 auxin은 식물의 형태발생에 중요한 호르몬으로 이들 호르몬 생합성, 전이, 반응 등에 관련된 유전자 일부는 형태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Fleet and Sun 2005; Li et al. 2007). 지금까지 보고된 경우를 보면, 형태 발생에 관여하는 GA와 auxin 관련 유전자 중에서,
본 연구 결과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5; 42(3): 204-214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15 https://doi.org/10.5010/JPB.2015.42.3.204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홍준기1, 서은정1, 이수영2, 송천영3, 이승범1, 김진아1, 이수인1, 이연희1,*
1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2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3한국농수산대학 화훼학과
Joon Ki Hong1, Eun Jung Suh1, Su Young Lee2, Cheon Young Song3, Seung Bum Lee1, Jin A Kim1, Soo In Lee1, and Yeon-Hee Lee1,*
1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370 Nongsaengmyeong-ro, Jeonju-si, Jeollabuk-do, 560-500, Korea,
2Floricultural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00 Nongsaengmyeong-ro, Wanju-gun, Jeollabuk-do, 565-852, Korea,
3Department of Floriculture,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1515, Kongjwipatjwi-ro, Wansan-gu, Jeonju-si, Jeollabuk-do, 565-500, Korea
Correspondence to: Y. H. Lee e-mail: yhl2222@korea.kr
Keywords: Short internodes, Transcription factor, Transgenic plant, Retardation, Morphogenesis
왜성(dwarfism)의 특성을 유도하기 위한 생장 지연(Growth retardation)은 그 종(種)의 표준 크기에 비하여 작게 자라는 형질, 또는 그런 형질을 가진 품종을 생산하기 위해 농업 및 원예산업에서 경제적으로 중요성을 가지는 영역이다(Topp et al. 2009). 생장지연을 통해 식물 높이와 줄기 길이를 축소함으로써 새로운 미적 가치를 갖는 관상용 원예작물을 제조할 수 있고, 채소 또는 과일을 소형화함으로써 먹기에 적당한 크기를 갖는 새로운 상업적 가치의 농작물들을 제조할 수 있으며 식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공간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화훼작물은 수세기 동안 육종가와 연구자들에 의해 수많은 종류의 절화, 분화, 화단화 등이 개발되었고 상업화 되었다(Chandler and Sanchez 2012). 최근, 소비자들은 보다 작고 콤팩트 하면서도 현재의 특성을 가진 화훼작물을 선호하는데 특히 소형화된 화훼류는 생산시설에서 자리를 덜 차지하고 다루기가 쉬우며 운송비가 절약된다는 이점이 있어 선호도가 높다(Islam et al. 2013). 특히 화훼에서는 왜화제 처리가 부수적으로 많은 수의 측지를 발생시켜 결과적으로 더 많은 꽃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왜화제들이 고수량, 고품질의 식물체를 얻는데 오랫동안 이용되었다(Kazaz et al. 2010). 그러나 이들 물질들이 환경과 인체에 해롭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De Castro et al. 2004; Lütken et al. 2012; Sørensen and Danielsen 2006). 최근 유럽에서는 식물의 생장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왜성 유도의 대표적인 물질인 패클로부트라졸(paclobutrazol)과 다미노지드(daminozide)등을 사용하기 위한 새로운 지침서가 만들어 졌으며 유해성을 가지는 다른 화학 생장조절제에 대해서도 환경단체들에 의해서 재평가되고 있다(Lütken et al. 2012). 이러한 왜성 품종은 단기간에 전통 육종으로 쉽게 확보되기 어려운 상황으로 생장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이용한 GM 화훼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생장지연을 통한 왜성 식물체를 유도하기 위해 생명공학적으로 식물 생장호르몬인 지베렐린산(Gibberellic acid, GA) 생합성에 초점을 맞춰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다양한 식물에서 활성 GA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애기장대에서 분리된
본 연구에서는 배추 유래
페튜니아 Dream Red (PanAmerican Seed)종자를 70% 에탄올에서 1 분간 세척 후 1% NaClO 용액에서 10 분간 소독하고 멸균된 증류수로 5-10 회 반복 세척하였다. 소독된 종자를 발아배지(MS basal medium + 2% sucrose + 0.9% Phytagar)에 파종하여 25°C 장일조건(낮 16 시간, 밤 8 시간)인 식물 생장실에서 배양하였다.
식물 형질전환을 위해서 pCAMBIA 1390 벡터를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pCAMBIA1390 벡터에 존재하는 His-tag 부위를 SpeI과 BstEII로 처리하여 제거하였으며, 항생제 하이그로마이신 분해 유전자(HPHII) 부위를 카나마이신 분해 유전자(NPTII)로 대체하여 제작하였다.
기내에서 종자 발아 후 자라 나온 본엽을 0.5 cm 정도로 절단하여 아그로박테리움(O.D.550=0.4-0.6)을 포함하고 있는 공동배양배지(MS basal medium + 3% sucrose + 1.0 mg/L BA + 2.0 mg/L IAA + acetosyringone 100 μM)에 넣고 25°C, 암상태에서 3일 동안 공동 배양하였다. 공동배양 후 페튜니아 잎을 멸균수로 5번 이상 부드럽게 세척 후에 선발배지(MS basal medium + 3% sucrose + BA 1.0 mg/L + IAA 2.0 mg/L + carbenicillin 100mg/L + cefotaxime 250 mg/L + kanamycin 50 mg/L + 0.9% Phytagar)에 치상하였다. 약 2-3주 배양 후 절편체 끝부분에서 형성된 캘러스를 분리하여 다시 선발배지로 옮겨 2-3 주 간격으로 계대배양 하면서 shoot를 유기하였다. Shoot가 유도되면 뿌리 유도배지(MS basal medium + 2% sucrose + carbenicillin 100mg/L + cefotaxim 250 mg/L + kanamycin 50 mg/L + 0.9 % Phytagar)로 옮겨 뿌리를 유기하였다. 뿌리가 유기된 형질전환체는 순화단계를 거쳐 온실에서 재배되었고 교배를 통하여 후대 종자를 확보하였다. 페튜니아 형질전환체의 세대 진전을 위해 독립된 20 개체의 T0 종자를 카나마이신 50 mg/L이 포함된 MS 기본 배지에 90개씩 파종하여 3 (저항성) : 1 (감수성)의 분리비를 보이면서 표현형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온실로 옮겨 재배하였다. 온실로 옮겨진 후 지속적으로 왜성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페튜니아를 선택하여 T1에서 T3까지 세대를 진전 시켰다.
왜성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페튜니아를 선택하여 genomic DNA PCR과 RT-PCR을 통해
페튜니아 식물체 잎으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였다(DNeasy Plant Kit, Qiagene). 분리된 genomic DNA 500 ng을 사용하여
Table 1 . Oligonucleotide primers used in RT-PCR and genomic DNA PCR.
Target | Primer sequences | Expected size (bp) |
---|---|---|
5’-ATGGCTGGATTGTTCTATCTAGGAGGTAG-3’ | 1057 | |
5’-TTAAGACCTAGGAGATGCAAAGAAGGATG-3’ | ||
5’-ATGTCGGATTCCGGTGCCTTCACGGACTG-3’ | 1159 | |
5’-TTAACTGTAAAACCCAGCGCCTGCACCAC-3 | ||
5’-ATGGGGAGAGGAAAGATTGATATAA-3’ | 813 | |
5’-TAGTCACTTTGAGCCGACTTGATTC-3’ | ||
5’-ATGGAAGTTGTTGAAGTTCTTCAC-3’ | 1022 | |
5’-TTGGACATGCAATCAGAAACAATC-3’ | ||
5’-TGGCATCACACTTTTCTACAA-3’ | 515 | |
5’-CAACGGAATCTCTCAGCTCC-3’ |
도입된
또한 8주된 형질전환 페튜니아의 분열조직에서 total RNA를 분리하여 식물 생장 호르몬 GA와 auxin 관련 페튜니아
분석에 사용된 형질전환 페튜니아는 3세대를 자가 수분시켜 대부분 형질이 고정된 대표 2계통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배지에서 선발된 개체는 32공 tray를 사용하여 계통별로 10개체씩 원예용 상토에 펄라이트(perlite)를 4:1 비율로 혼합한 토양에 옮겨 심어 4주 키운 후 18cm 화분에 옮겨 심었다. 생육조사 및 개화조사는 화분 10개를 기준으로 3반복으로, 화분당 30여개의 꽃이 개화되는 시기에 조사를 실시 하였다(Song 2009a, 2009b). 생육조사는 초장, 초폭, 엽장, 엽폭, 엽색, 엽형, 줄기수, 줄기길이, 줄기수, 절간장을 조사하였다. 초폭은 식물체 상단에서 옆으로 퍼진 길이, 줄기길이는 식물체에서 가장 긴 줄기의 길이, 절간장은 5-6 마디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개화 조사는 화고, 화폭, 화색, 화형 등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화고는 개화한 꽃의 높이를 측정 하였고 화폭은 꽃의 상단에서 내려본 직영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페튜니아에 배추
The expression of
최종 선발된
Phenotypes of transgenic petunia plants transformed with
Leaf morphology of the transgenic petunia plants. (A) The leaves from each line are displayed. Comparison of leaf lengths (B) and widths (C). Values represent means of 10 plants per line.
Phenotypes of transgenic petunia plants transformed with
형질전환 페튜니아의 첫 번째 꽃이 개화했을 때에 줄기의 수는 L1:24-3-2를 제외한 S7:3-3-2, S7:160-1-1, L1:29-3-4에서 비형질전환체와 유사하게 7-8개를 형성하였다(Fig. 4C). L1:24-3-2은 12.5개의 줄기가 형성 되었는데 증가한 줄기 수의 표현형은
Flower phenotypes of transgenic petunia plants transformed with
선행 연구 결과에서 왜성의 특성이 강하게 유도된
Expression patterns of GA- and auxin-related genes in the apical regions of
배추 분열조직에서 분리된
본 연구에서
GA와 auxin은 식물의 형태발생에 중요한 호르몬으로 이들 호르몬 생합성, 전이, 반응 등에 관련된 유전자 일부는 형태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Fleet and Sun 2005; Li et al. 2007). 지금까지 보고된 경우를 보면, 형태 발생에 관여하는 GA와 auxin 관련 유전자 중에서,
본 연구 결과
The expression of
Phenotypes of transgenic petunia plants transformed with
Leaf morphology of the transgenic petunia plants. (A) The leaves from each line are displayed. Comparison of leaf lengths (B) and widths (C). Values represent means of 10 plants per line.
Phenotypes of transgenic petunia plants transformed with
Flower phenotypes of transgenic petunia plants transformed with
Expression patterns of GA- and auxin-related genes in the apical regions of
Table 1 . Oligonucleotide primers used in RT-PCR and genomic DNA PCR.
Target | Primer sequences | Expected size (bp) |
---|---|---|
5’-ATGGCTGGATTGTTCTATCTAGGAGGTAG-3’ | 1057 | |
5’-TTAAGACCTAGGAGATGCAAAGAAGGATG-3’ | ||
5’-ATGTCGGATTCCGGTGCCTTCACGGACTG-3’ | 1159 | |
5’-TTAACTGTAAAACCCAGCGCCTGCACCAC-3 | ||
5’-ATGGGGAGAGGAAAGATTGATATAA-3’ | 813 | |
5’-TAGTCACTTTGAGCCGACTTGATTC-3’ | ||
5’-ATGGAAGTTGTTGAAGTTCTTCAC-3’ | 1022 | |
5’-TTGGACATGCAATCAGAAACAATC-3’ | ||
5’-TGGCATCACACTTTTCTACAA-3’ | 515 | |
5’-CAACGGAATCTCTCAGCTCC-3’ |
Joon Ki Hong, Seon-Woo Oh, Jeong Hoe Kim, Seung Bum Lee, Eun Jung Suh, and Yeon-Hee Lee
J Plant Biotechnol 2017; 44(3): 271-286D. Ramakrishna, G. Chaitanya, V. Suvarchala, and T. Shasthree
J Plant Biotechnol 2018; 45(1): 55-62Se Hee Kim, Seo Jun Park, Kang Hee Cho, Han Chan Lee, Jung Woo Lee, and In Myung Choi
J Plant Biotechnol 2017; 44(4): 372-378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The expression of
Phenotypes of transgenic petunia plants transformed with
Leaf morphology of the transgenic petunia plants. (A) The leaves from each line are displayed. Comparison of leaf lengths (B) and widths (C). Values represent means of 10 plants per line.
Phenotypes of transgenic petunia plants transformed with
Flower phenotypes of transgenic petunia plants transformed with
Expression patterns of GA- and auxin-related genes in the apical regions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