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6; 43(1): 82-90
Published online March 31, 2016
https://doi.org/10.5010/JPB.2016.43.1.82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황환수, 최용의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Correspondence to : e-mail: yechoi@kangwon.ac.kr
Most Araliaceae plant species distributed in Korea are economically important because of their high medicinal valu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barcode markers from sequence analysis of chloroplast DNA in 14 taxa of Araliaceae species grown in South Korea. Sequencing of seven chloroplast DNA regions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DNA barcode markers, as suggested by the Consortium for the Barcode of Life (CBOL). From the sequence analysis of chloroplast DNA, we identified specific sequences and nucleotides that allowed us to discriminate among each other 14 Korean Araliaceae species. The sequence in the region of
Keywords DNA barcode, phylogenetic analysis,
두릅나무과(Araliaceae) 식물은 전 세계적으로 약 80~90여개의 속에 900여종이 속해있으며 열대지방인 인도양, 태평양 그리고 동남아시아에 주로 분포하지만 인삼속(
두릅나무과 식물은 예전부터 중요한 의약자원으로 인삼(
두릅나무과는 같은 미나리목(Apiales)인 산형과(Apiaceae)와 근연관계로, 일부 분류 체계에서는 넓은 의미의 산형과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국외에서는 산형과의 식물들과 두릅나무과 식물 사이의 유연관계를 알아보거나(Plunkett et al. 1996, 1997) 두 과에 속하는 속들 간의 유연관계가 주로 조사되었다(Lowry et al. 2004; Plunkett et al. 2004; Plunkett et al. 2005). 이를 통해 기존에 산형과로 분류되던 피막이속(
DNA 바코드는 종 동정을 위해 생물다양성 협약(Convention on Biodiversity)에서 권고하는 표준 방법으로(Hebert et al. 2003), D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종간의 변이를 확인하고 동정 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최근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약재의 감별을 위한 마커개발에 이용되거나(Kim et al. 2015) 형태적으로 뚜렷한 특징이 없는 종들을 동정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Lee et al. 2015a). 국제 생물 바코드 컨소시엄(CBOL, the Consortium for the Barcode of Life)에서는 전 세계의 생물 바코드를 수집하여 Database를 구축하고 있으며 또한 생물에 따라 적절한 DNA barcoding marker를 제안하고 있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현재까지 핵 rRNA 유전자를 이용한 두릅나무과 식물의 ITS 염기서열 분석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Artyukova et al. 2005; Kim et al. 2004), 부분적으로는 엽록체 DNA를 이용한 연구도 실행되었다(Lee et al. 2004; Plunkett et al. 1997). 하지만 CBOL에서 엽록체 DNA barcoding marker로 제안한 7가지 영역 모두에 대한 두릅나무과 식물의 연구는 없었기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자생하는 두릅나무과 식물 14종 모두를 재료로 하여 식물 DNA 바코드 부위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속 및 종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는 marker nucleotide 및 DNA marker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14종의 두릅나무과(Araliaceae) 식물들은 자생지에서 직접 채집된 생체 재료를 사용하였으며 Table 1에 나타내었다. 잎은 오염이나 균을 고려해 되도록 어린잎을 채취하였다. 인삼(
Table 1 . List of 15 plant samples belonging to the Araliaceae family used in this study
No. | Sample Name | Area | Nation |
---|---|---|---|
1 | Samcheok, Gangwon | Korea | |
2 | Taebaek, Gangwon | Korea | |
3 | Seogwipo, Jeju | Korea | |
4 | Gurye, Jeollanam | Korea | |
5 | Seogwipo, Jeju | Korea | |
6 | Pyeongchang, Gangwon | Korea | |
7 | Cheongnyangni, Seoul | Korea | |
8 | Pyeongchang, Gangwon | Korea | |
9 | Geoje, Gyeongnam | Korea | |
10 | Seogwipo, Jeju | Korea | |
11 | Samcheok, Gangwon | Korea | |
12 | Gapyeong, Gyeonggi | Korea | |
13 | Inje, Gangwon | Korea | |
14 | Jilin, China | China | |
15 | Seogwipo, Jeju | Korea |
잎을 액체질소에 넣어 얼린 후 막자사발로 분쇄하여 MagExtractor? Genomic kit (Toyobo, Japan)을 이용해 전체 DNA를 추출하였다. PCR 증폭은 엽록체 marker로 제안된
Table 2 . List of primers for the seven proposed DNA barcoding markers
?Marker | Primer sequence |
---|---|
Forward: 5’-ACTCGCACACACTCCCTTTCC-3; | |
Reverse: 5’-GCTTTTATGGAAGCTTTAACAAT-3’ | |
Forward: 5’-CGATCTATTCATTCAATATTTC-3; | |
Reverse: 5’-GTTCTAGCACAAGAAAGTCG-3’ | |
Forward: 5’-GTTATGCATGAACGTAATGCTC-3; | |
Reverse: 5’-CGCGCATGGTGGATTCACAAATC-3’ | |
Forward: 5’-TTAGCCTTTGTTTGGCAAG-3; | |
Reverse: 5’-AGAGTTTGAGAGTAAGCAT-3’ | |
Forward: 5’-ATGTCACCACAAACAGAGACTAAAGC-3; | |
Reverse: 5’-CTTCTGCTACAAATAAGAATCGATCTC-3’ | |
Forward: 5’-ATGCAACGTCAAGCAGTTCC-3; | |
Reverse: 5’-GATCCCAGCATCACAATTCC-3’ | |
Forward: 5’-GTGGATACACTTCTTGATAATGG-3; | |
Reverse: 5’-CCATAAGCATATCTTGAGTTGG-3’ |
염기서열 분석은 정제된 PCR 산물을 Macrogen (Korea)에 의뢰하여 Applied Biosystems 사의 BigDye (R) Terminator v3.1 Cycle Sequencing Kits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Applied Biosystems사에서 Recommend하는 방법으로 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dNTP와 반응물을 제거한 후, ABI 3730xl DNA Analyzer에 loading하여 sequencing 결과를 확인하였다. 분석된 14종으로부터 분석된 98개 엽록체 염기서열은 NCBI에 등록하였으며 등록번호는 다음과 같다(KF412419-KF4 12516).
확인된 염기서열은 ClustalW program으로 정렬한 후 육안으로 비교하여 특이성을 갖는 염기와 삽입, 결실 등 종간의 염기서열 차이를 위치별로 정리하였다. 분자계통수는 본 실험으로 결정된 두릅나무과 식물 14종 각각의 염기서열과 두릅나무과와 유연관계가 가까운 산형과(Apiaceae)의 당근(
수집된 두릅나무과(Araliaceae) 식물 14종에서 DNA를 분리하고 엽록체 DNA에 존재하는 7개의 바코드 영역(
Table 3 . Variation in size and G+C content of the
Taxon | ||||||||||||||
---|---|---|---|---|---|---|---|---|---|---|---|---|---|---|
Length (bp) | G+C (%) | Length (bp) | G+C (%) | Length (bp) | G+C (%) | Length (bp) | G+C (%) | Length (bp) | G+C (%) | Length (bp) | G+C (%) | Length (bp) | G+C (%) | |
567 | 34.4 | 833 | 35.7 | 506 | 32.4 | 448 | 31.0 | 636 | 32.4 | 492 | 41.3 | 564 | 42.7 | |
566 | 34.5 | 833 | 35.4 | 494 | 31.2 | 435 | 32.6 | 637 | 31.2 | 491 | 41.1 | 564 | 42.7 | |
566 | 34.5 | 833 | 35.3 | 501 | 32.1 | 441 | 31.5 | 637 | 32.1 | 491 | 41.3 | 564 | 42.7 | |
565 | 34.3 | 832 | 35.3 | 498 | 32.1 | 442 | 32.6 | 637 | 32.1 | 490 | 41.4 | 564 | 42.7 | |
564 | 34.6 | 832 | 35.1 | 491 | 32.0 | 442 | 32.4 | 637 | 32.0 | 491 | 41.5 | 564 | 42.6 | |
567 | 34.4 | 833 | 35.1 | 500 | 31.8 | 442 | 32.1 | 637 | 31.8 | 491 | 41.5 | 564 | 42.7 | |
565 | 34.2 | 833 | 35.1 | 498 | 32.1 | 442 | 32.6 | 637 | 32.1 | 490 | 41.4 | 564 | 42.2 | |
565 | 34.2 | 833 | 35.4 | 498 | 31.9 | 442 | 32.6 | 637 | 31.9 | 491 | 41.8 | 564 | 42.6 | |
566 | 34.6 | 833 | 35.6 | 518 | 30.7 | 442 | 31.9 | 637 | 30.7 | 491 | 41.3 | 564 | 42.4 | |
567 | 34.7 | 831 | 35.4 | 500 | 32.2 | 443 | 32.1 | 637 | 32.2 | 490 | 41.4 | 564 | 42.4 | |
588 | 33.5 | 823 | 35.4 | 498 | 32.1 | 448 | 31.0 | 637 | 32.1 | 492 | 41.1 | 564 | 42.9 | |
566 | 34.3 | 833 | 35.3 | 499 | 31.9 | 437 | 31.6 | 638 | 31.9 | 494 | 43.5 | 564 | 42.7 | |
568 | 34.7 | 833 | 35.3 | 505 | 31.9 | 435 | 32.4 | 637 | 31.9 | 492 | 40.9 | 564 | 42.7 | |
567 | 34.2 | 833 | 35.2 | 377 | 32.1 | 424 | 32.8 | 637 | 32.1 | 490 | 41.6 | 564 | 41.8 | |
Average | 568 | 34.4 | 832 | 35.3 | 492 | 31.9 | 440 | 32.1 | 637 | 31.9 | 491 | 41.5 | 564 | 42.6 |
조사된 엽록체 DNA 영역들의 삽입/결실(indels)과 염기치환(substitutions)을 분석한 결과는
Marker nucleotides of the
Marker nucleotides of the
Marker nucleotides of the
전체 7개 엽록체 바코드 마커 영역을 합하여 sequence를 분석한 경우 가장 많은 차이를 보인 수종은 통탈목으로
분석실험에 사용된 모든 영역을 통합하여 Kimura’s two parameter method를 이용한 유전적 거리(Pairwise distance)를 알아본 결과, 외군을 포함한 분류군간의 염기변이는 0.002~0.094였으며, 외군을 제외한 내군의 염기변이는 0.002~0.033으로 나타났다(Table 4). 외군을 포함하여 당근(
Table 4 . Pairwise sequence divergence values of concatenated sequences based on Kimura’s two parameter model
Species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 | |||||||||||||||
0.016 | - | ||||||||||||||
0.016 | 0.017 | - | |||||||||||||
0.018 | 0.018 | 0.010 | - | ||||||||||||
0.017 | 0.018 | 0.008 | 0.009 | - | |||||||||||
0.017 | 0.018 | 0.008 | 0.009 | 0.003 | - | ||||||||||
0.019 | 0.019 | 0.009 | 0.004 | 0.007 | 0.007 | - | |||||||||
0.019 | 0.020 | 0.009 | 0.005 | 0.008 | 0.007 | 0.002 | - | ||||||||
0.016 | 0.017 | 0.006 | 0.010 | 0.006 | 0.006 | 0.009 | 0.009 | - | |||||||
0.017 | 0.017 | 0.007 | 0.011 | 0.007 | 0.007 | 0.008 | 0.010 | 0.005 | - | ||||||
0.015 | 0.017 | 0.007 | 0.011 | 0.008 | 0.008 | 0.010 | 0.010 | 0.006 | 0.007 | - | |||||
0.026 | 0.026 | 0.018 | 0.023 | 0.019 | 0.019 | 0.022 | 0.022 | 0.018 | 0.020 | 0.020 | - | ||||
0.019 | 0.019 | 0.017 | 0.016 | 0.018 | 0.018 | 0.020 | 0.020 | 0.017 | 0.018 | 0.018 | 0.028 | - | |||
0.027 | 0.030 | 0.023 | 0.027 | 0.024 | 0.025 | 0.025 | 0.026 | 0.024 | 0.024 | 0.024 | 0.033 | 0.030 | - | ||
0.090 | 0.094 | 0.087 | 0.089 | 0.088 | 0.087 | 0.088 | 0.088 | 0.088 | 0.089 | 0.090 | 0.088 | 0.090 | 0.094 | - |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두릅나무과 식물의 계통분석은 rDNA의 ITS염기 서열을 중심으로 분석한 Wen et al. (2001)의 연구와 ITS영역과 엽록체의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전 세계에 분포하는 두릅나무과 식물의 계통학적 연구는 수행되었으나, 이들 모두의 연구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두릅나무과 식물의 일부만이 분석에 사용되어 있어서 우리나라 두릅나무과 식물종의 심층적인 분석과는 거리가 멀다. 한편 우리나라 두릅나무과 식물종의 체계적인 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한 계통학적 분석 또는 마커의 개발에 대한 연구는 없기 때문에 본 연구의 가치가 크다고 생각된다. 국내에서는 두릅나무과 식물 중 두릅나무속, 인삼 및 오갈피속 식물 종만을 RAPD와 ITS 염기 서열을 분석한 결과가 있고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대부분의 두릅나무 식물을 재료로 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에서 두릅나무과 식물의 계통학적 분석은 Maximum likelihood analysis (ML) method로 수행되었다. 당근을 외군으로 7가지 엽록체 DNA 염기서열을 융합하여 작성한 계통수에선 통탈목이 가장 기부에 독립적인 분계조를 형성하며 다른 종들과 근연관계가 다소 먼 것으로 나타났다(Fig. 4). 인삼(
Phylogenetic tree formed from chloroplast nucleotide sequence alignment of Araliaceae species in South Korea. The distance between each plant was calculated using CLUSTAL W. Bootstrap analysis values are shown at the nodal branches
땃두릅나무와 황칠나무(
본 연구는 다부처 유전체사업(Post-Genome Multi-Ministry Genome Project)의 일환으로 산림청 산림자원 유전체 해독사업(Forest Resources Genome Project)으로 수행되었다.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6; 43(1): 82-90
Published online March 31, 2016 https://doi.org/10.5010/JPB.2016.43.1.82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황환수, 최용의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Hwan Su Hwang, and Yong Eui Choi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00-701,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e-mail: yechoi@kangwon.ac.kr
Most Araliaceae plant species distributed in Korea are economically important because of their high medicinal valu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barcode markers from sequence analysis of chloroplast DNA in 14 taxa of Araliaceae species grown in South Korea. Sequencing of seven chloroplast DNA regions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DNA barcode markers, as suggested by the Consortium for the Barcode of Life (CBOL). From the sequence analysis of chloroplast DNA, we identified specific sequences and nucleotides that allowed us to discriminate among each other 14 Korean Araliaceae species. The sequence in the region of
Keywords: DNA barcode, phylogenetic analysis,
두릅나무과(Araliaceae) 식물은 전 세계적으로 약 80~90여개의 속에 900여종이 속해있으며 열대지방인 인도양, 태평양 그리고 동남아시아에 주로 분포하지만 인삼속(
두릅나무과 식물은 예전부터 중요한 의약자원으로 인삼(
두릅나무과는 같은 미나리목(Apiales)인 산형과(Apiaceae)와 근연관계로, 일부 분류 체계에서는 넓은 의미의 산형과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국외에서는 산형과의 식물들과 두릅나무과 식물 사이의 유연관계를 알아보거나(Plunkett et al. 1996, 1997) 두 과에 속하는 속들 간의 유연관계가 주로 조사되었다(Lowry et al. 2004; Plunkett et al. 2004; Plunkett et al. 2005). 이를 통해 기존에 산형과로 분류되던 피막이속(
DNA 바코드는 종 동정을 위해 생물다양성 협약(Convention on Biodiversity)에서 권고하는 표준 방법으로(Hebert et al. 2003), D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종간의 변이를 확인하고 동정 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최근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약재의 감별을 위한 마커개발에 이용되거나(Kim et al. 2015) 형태적으로 뚜렷한 특징이 없는 종들을 동정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Lee et al. 2015a). 국제 생물 바코드 컨소시엄(CBOL, the Consortium for the Barcode of Life)에서는 전 세계의 생물 바코드를 수집하여 Database를 구축하고 있으며 또한 생물에 따라 적절한 DNA barcoding marker를 제안하고 있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현재까지 핵 rRNA 유전자를 이용한 두릅나무과 식물의 ITS 염기서열 분석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Artyukova et al. 2005; Kim et al. 2004), 부분적으로는 엽록체 DNA를 이용한 연구도 실행되었다(Lee et al. 2004; Plunkett et al. 1997). 하지만 CBOL에서 엽록체 DNA barcoding marker로 제안한 7가지 영역 모두에 대한 두릅나무과 식물의 연구는 없었기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자생하는 두릅나무과 식물 14종 모두를 재료로 하여 식물 DNA 바코드 부위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속 및 종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는 marker nucleotide 및 DNA marker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14종의 두릅나무과(Araliaceae) 식물들은 자생지에서 직접 채집된 생체 재료를 사용하였으며 Table 1에 나타내었다. 잎은 오염이나 균을 고려해 되도록 어린잎을 채취하였다. 인삼(
Table 1 . List of 15 plant samples belonging to the Araliaceae family used in this study.
No. | Sample Name | Area | Nation |
---|---|---|---|
1 | Samcheok, Gangwon | Korea | |
2 | Taebaek, Gangwon | Korea | |
3 | Seogwipo, Jeju | Korea | |
4 | Gurye, Jeollanam | Korea | |
5 | Seogwipo, Jeju | Korea | |
6 | Pyeongchang, Gangwon | Korea | |
7 | Cheongnyangni, Seoul | Korea | |
8 | Pyeongchang, Gangwon | Korea | |
9 | Geoje, Gyeongnam | Korea | |
10 | Seogwipo, Jeju | Korea | |
11 | Samcheok, Gangwon | Korea | |
12 | Gapyeong, Gyeonggi | Korea | |
13 | Inje, Gangwon | Korea | |
14 | Jilin, China | China | |
15 | Seogwipo, Jeju | Korea |
잎을 액체질소에 넣어 얼린 후 막자사발로 분쇄하여 MagExtractor? Genomic kit (Toyobo, Japan)을 이용해 전체 DNA를 추출하였다. PCR 증폭은 엽록체 marker로 제안된
Table 2 . List of primers for the seven proposed DNA barcoding markers.
?Marker | Primer sequence |
---|---|
Forward: 5’-ACTCGCACACACTCCCTTTCC-3; | |
Reverse: 5’-GCTTTTATGGAAGCTTTAACAAT-3’ | |
Forward: 5’-CGATCTATTCATTCAATATTTC-3; | |
Reverse: 5’-GTTCTAGCACAAGAAAGTCG-3’ | |
Forward: 5’-GTTATGCATGAACGTAATGCTC-3; | |
Reverse: 5’-CGCGCATGGTGGATTCACAAATC-3’ | |
Forward: 5’-TTAGCCTTTGTTTGGCAAG-3; | |
Reverse: 5’-AGAGTTTGAGAGTAAGCAT-3’ | |
Forward: 5’-ATGTCACCACAAACAGAGACTAAAGC-3; | |
Reverse: 5’-CTTCTGCTACAAATAAGAATCGATCTC-3’ | |
Forward: 5’-ATGCAACGTCAAGCAGTTCC-3; | |
Reverse: 5’-GATCCCAGCATCACAATTCC-3’ | |
Forward: 5’-GTGGATACACTTCTTGATAATGG-3; | |
Reverse: 5’-CCATAAGCATATCTTGAGTTGG-3’ |
염기서열 분석은 정제된 PCR 산물을 Macrogen (Korea)에 의뢰하여 Applied Biosystems 사의 BigDye (R) Terminator v3.1 Cycle Sequencing Kits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Applied Biosystems사에서 Recommend하는 방법으로 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dNTP와 반응물을 제거한 후, ABI 3730xl DNA Analyzer에 loading하여 sequencing 결과를 확인하였다. 분석된 14종으로부터 분석된 98개 엽록체 염기서열은 NCBI에 등록하였으며 등록번호는 다음과 같다(KF412419-KF4 12516).
확인된 염기서열은 ClustalW program으로 정렬한 후 육안으로 비교하여 특이성을 갖는 염기와 삽입, 결실 등 종간의 염기서열 차이를 위치별로 정리하였다. 분자계통수는 본 실험으로 결정된 두릅나무과 식물 14종 각각의 염기서열과 두릅나무과와 유연관계가 가까운 산형과(Apiaceae)의 당근(
수집된 두릅나무과(Araliaceae) 식물 14종에서 DNA를 분리하고 엽록체 DNA에 존재하는 7개의 바코드 영역(
Table 3 . Variation in size and G+C content of the
Taxon | ||||||||||||||
---|---|---|---|---|---|---|---|---|---|---|---|---|---|---|
Length (bp) | G+C (%) | Length (bp) | G+C (%) | Length (bp) | G+C (%) | Length (bp) | G+C (%) | Length (bp) | G+C (%) | Length (bp) | G+C (%) | Length (bp) | G+C (%) | |
567 | 34.4 | 833 | 35.7 | 506 | 32.4 | 448 | 31.0 | 636 | 32.4 | 492 | 41.3 | 564 | 42.7 | |
566 | 34.5 | 833 | 35.4 | 494 | 31.2 | 435 | 32.6 | 637 | 31.2 | 491 | 41.1 | 564 | 42.7 | |
566 | 34.5 | 833 | 35.3 | 501 | 32.1 | 441 | 31.5 | 637 | 32.1 | 491 | 41.3 | 564 | 42.7 | |
565 | 34.3 | 832 | 35.3 | 498 | 32.1 | 442 | 32.6 | 637 | 32.1 | 490 | 41.4 | 564 | 42.7 | |
564 | 34.6 | 832 | 35.1 | 491 | 32.0 | 442 | 32.4 | 637 | 32.0 | 491 | 41.5 | 564 | 42.6 | |
567 | 34.4 | 833 | 35.1 | 500 | 31.8 | 442 | 32.1 | 637 | 31.8 | 491 | 41.5 | 564 | 42.7 | |
565 | 34.2 | 833 | 35.1 | 498 | 32.1 | 442 | 32.6 | 637 | 32.1 | 490 | 41.4 | 564 | 42.2 | |
565 | 34.2 | 833 | 35.4 | 498 | 31.9 | 442 | 32.6 | 637 | 31.9 | 491 | 41.8 | 564 | 42.6 | |
566 | 34.6 | 833 | 35.6 | 518 | 30.7 | 442 | 31.9 | 637 | 30.7 | 491 | 41.3 | 564 | 42.4 | |
567 | 34.7 | 831 | 35.4 | 500 | 32.2 | 443 | 32.1 | 637 | 32.2 | 490 | 41.4 | 564 | 42.4 | |
588 | 33.5 | 823 | 35.4 | 498 | 32.1 | 448 | 31.0 | 637 | 32.1 | 492 | 41.1 | 564 | 42.9 | |
566 | 34.3 | 833 | 35.3 | 499 | 31.9 | 437 | 31.6 | 638 | 31.9 | 494 | 43.5 | 564 | 42.7 | |
568 | 34.7 | 833 | 35.3 | 505 | 31.9 | 435 | 32.4 | 637 | 31.9 | 492 | 40.9 | 564 | 42.7 | |
567 | 34.2 | 833 | 35.2 | 377 | 32.1 | 424 | 32.8 | 637 | 32.1 | 490 | 41.6 | 564 | 41.8 | |
Average | 568 | 34.4 | 832 | 35.3 | 492 | 31.9 | 440 | 32.1 | 637 | 31.9 | 491 | 41.5 | 564 | 42.6 |
조사된 엽록체 DNA 영역들의 삽입/결실(indels)과 염기치환(substitutions)을 분석한 결과는
Marker nucleotides of the
Marker nucleotides of the
Marker nucleotides of the
전체 7개 엽록체 바코드 마커 영역을 합하여 sequence를 분석한 경우 가장 많은 차이를 보인 수종은 통탈목으로
분석실험에 사용된 모든 영역을 통합하여 Kimura’s two parameter method를 이용한 유전적 거리(Pairwise distance)를 알아본 결과, 외군을 포함한 분류군간의 염기변이는 0.002~0.094였으며, 외군을 제외한 내군의 염기변이는 0.002~0.033으로 나타났다(Table 4). 외군을 포함하여 당근(
Table 4 . Pairwise sequence divergence values of concatenated sequences based on Kimura’s two parameter model.
Species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 | |||||||||||||||
0.016 | - | ||||||||||||||
0.016 | 0.017 | - | |||||||||||||
0.018 | 0.018 | 0.010 | - | ||||||||||||
0.017 | 0.018 | 0.008 | 0.009 | - | |||||||||||
0.017 | 0.018 | 0.008 | 0.009 | 0.003 | - | ||||||||||
0.019 | 0.019 | 0.009 | 0.004 | 0.007 | 0.007 | - | |||||||||
0.019 | 0.020 | 0.009 | 0.005 | 0.008 | 0.007 | 0.002 | - | ||||||||
0.016 | 0.017 | 0.006 | 0.010 | 0.006 | 0.006 | 0.009 | 0.009 | - | |||||||
0.017 | 0.017 | 0.007 | 0.011 | 0.007 | 0.007 | 0.008 | 0.010 | 0.005 | - | ||||||
0.015 | 0.017 | 0.007 | 0.011 | 0.008 | 0.008 | 0.010 | 0.010 | 0.006 | 0.007 | - | |||||
0.026 | 0.026 | 0.018 | 0.023 | 0.019 | 0.019 | 0.022 | 0.022 | 0.018 | 0.020 | 0.020 | - | ||||
0.019 | 0.019 | 0.017 | 0.016 | 0.018 | 0.018 | 0.020 | 0.020 | 0.017 | 0.018 | 0.018 | 0.028 | - | |||
0.027 | 0.030 | 0.023 | 0.027 | 0.024 | 0.025 | 0.025 | 0.026 | 0.024 | 0.024 | 0.024 | 0.033 | 0.030 | - | ||
0.090 | 0.094 | 0.087 | 0.089 | 0.088 | 0.087 | 0.088 | 0.088 | 0.088 | 0.089 | 0.090 | 0.088 | 0.090 | 0.094 | - |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두릅나무과 식물의 계통분석은 rDNA의 ITS염기 서열을 중심으로 분석한 Wen et al. (2001)의 연구와 ITS영역과 엽록체의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전 세계에 분포하는 두릅나무과 식물의 계통학적 연구는 수행되었으나, 이들 모두의 연구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두릅나무과 식물의 일부만이 분석에 사용되어 있어서 우리나라 두릅나무과 식물종의 심층적인 분석과는 거리가 멀다. 한편 우리나라 두릅나무과 식물종의 체계적인 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한 계통학적 분석 또는 마커의 개발에 대한 연구는 없기 때문에 본 연구의 가치가 크다고 생각된다. 국내에서는 두릅나무과 식물 중 두릅나무속, 인삼 및 오갈피속 식물 종만을 RAPD와 ITS 염기 서열을 분석한 결과가 있고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대부분의 두릅나무 식물을 재료로 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에서 두릅나무과 식물의 계통학적 분석은 Maximum likelihood analysis (ML) method로 수행되었다. 당근을 외군으로 7가지 엽록체 DNA 염기서열을 융합하여 작성한 계통수에선 통탈목이 가장 기부에 독립적인 분계조를 형성하며 다른 종들과 근연관계가 다소 먼 것으로 나타났다(Fig. 4). 인삼(
Phylogenetic tree formed from chloroplast nucleotide sequence alignment of Araliaceae species in South Korea. The distance between each plant was calculated using CLUSTAL W. Bootstrap analysis values are shown at the nodal branches
땃두릅나무와 황칠나무(
본 연구는 다부처 유전체사업(Post-Genome Multi-Ministry Genome Project)의 일환으로 산림청 산림자원 유전체 해독사업(Forest Resources Genome Project)으로 수행되었다.
Marker nucleotides of the
Marker nucleotides of the
Marker nucleotides of the
Phylogenetic tree formed from chloroplast nucleotide sequence alignment of Araliaceae species in South Korea. The distance between each plant was calculated using CLUSTAL W. Bootstrap analysis values are shown at the nodal branches
Table 1 . List of 15 plant samples belonging to the Araliaceae family used in this study.
No. | Sample Name | Area | Nation |
---|---|---|---|
1 | Samcheok, Gangwon | Korea | |
2 | Taebaek, Gangwon | Korea | |
3 | Seogwipo, Jeju | Korea | |
4 | Gurye, Jeollanam | Korea | |
5 | Seogwipo, Jeju | Korea | |
6 | Pyeongchang, Gangwon | Korea | |
7 | Cheongnyangni, Seoul | Korea | |
8 | Pyeongchang, Gangwon | Korea | |
9 | Geoje, Gyeongnam | Korea | |
10 | Seogwipo, Jeju | Korea | |
11 | Samcheok, Gangwon | Korea | |
12 | Gapyeong, Gyeonggi | Korea | |
13 | Inje, Gangwon | Korea | |
14 | Jilin, China | China | |
15 | Seogwipo, Jeju | Korea |
Table 2 . List of primers for the seven proposed DNA barcoding markers.
?Marker | Primer sequence |
---|---|
Forward: 5’-ACTCGCACACACTCCCTTTCC-3; | |
Reverse: 5’-GCTTTTATGGAAGCTTTAACAAT-3’ | |
Forward: 5’-CGATCTATTCATTCAATATTTC-3; | |
Reverse: 5’-GTTCTAGCACAAGAAAGTCG-3’ | |
Forward: 5’-GTTATGCATGAACGTAATGCTC-3; | |
Reverse: 5’-CGCGCATGGTGGATTCACAAATC-3’ | |
Forward: 5’-TTAGCCTTTGTTTGGCAAG-3; | |
Reverse: 5’-AGAGTTTGAGAGTAAGCAT-3’ | |
Forward: 5’-ATGTCACCACAAACAGAGACTAAAGC-3; | |
Reverse: 5’-CTTCTGCTACAAATAAGAATCGATCTC-3’ | |
Forward: 5’-ATGCAACGTCAAGCAGTTCC-3; | |
Reverse: 5’-GATCCCAGCATCACAATTCC-3’ | |
Forward: 5’-GTGGATACACTTCTTGATAATGG-3; | |
Reverse: 5’-CCATAAGCATATCTTGAGTTGG-3’ |
Table 3 . Variation in size and G+C content of the
Taxon | ||||||||||||||
---|---|---|---|---|---|---|---|---|---|---|---|---|---|---|
Length (bp) | G+C (%) | Length (bp) | G+C (%) | Length (bp) | G+C (%) | Length (bp) | G+C (%) | Length (bp) | G+C (%) | Length (bp) | G+C (%) | Length (bp) | G+C (%) | |
567 | 34.4 | 833 | 35.7 | 506 | 32.4 | 448 | 31.0 | 636 | 32.4 | 492 | 41.3 | 564 | 42.7 | |
566 | 34.5 | 833 | 35.4 | 494 | 31.2 | 435 | 32.6 | 637 | 31.2 | 491 | 41.1 | 564 | 42.7 | |
566 | 34.5 | 833 | 35.3 | 501 | 32.1 | 441 | 31.5 | 637 | 32.1 | 491 | 41.3 | 564 | 42.7 | |
565 | 34.3 | 832 | 35.3 | 498 | 32.1 | 442 | 32.6 | 637 | 32.1 | 490 | 41.4 | 564 | 42.7 | |
564 | 34.6 | 832 | 35.1 | 491 | 32.0 | 442 | 32.4 | 637 | 32.0 | 491 | 41.5 | 564 | 42.6 | |
567 | 34.4 | 833 | 35.1 | 500 | 31.8 | 442 | 32.1 | 637 | 31.8 | 491 | 41.5 | 564 | 42.7 | |
565 | 34.2 | 833 | 35.1 | 498 | 32.1 | 442 | 32.6 | 637 | 32.1 | 490 | 41.4 | 564 | 42.2 | |
565 | 34.2 | 833 | 35.4 | 498 | 31.9 | 442 | 32.6 | 637 | 31.9 | 491 | 41.8 | 564 | 42.6 | |
566 | 34.6 | 833 | 35.6 | 518 | 30.7 | 442 | 31.9 | 637 | 30.7 | 491 | 41.3 | 564 | 42.4 | |
567 | 34.7 | 831 | 35.4 | 500 | 32.2 | 443 | 32.1 | 637 | 32.2 | 490 | 41.4 | 564 | 42.4 | |
588 | 33.5 | 823 | 35.4 | 498 | 32.1 | 448 | 31.0 | 637 | 32.1 | 492 | 41.1 | 564 | 42.9 | |
566 | 34.3 | 833 | 35.3 | 499 | 31.9 | 437 | 31.6 | 638 | 31.9 | 494 | 43.5 | 564 | 42.7 | |
568 | 34.7 | 833 | 35.3 | 505 | 31.9 | 435 | 32.4 | 637 | 31.9 | 492 | 40.9 | 564 | 42.7 | |
567 | 34.2 | 833 | 35.2 | 377 | 32.1 | 424 | 32.8 | 637 | 32.1 | 490 | 41.6 | 564 | 41.8 | |
Average | 568 | 34.4 | 832 | 35.3 | 492 | 31.9 | 440 | 32.1 | 637 | 31.9 | 491 | 41.5 | 564 | 42.6 |
Table 4 . Pairwise sequence divergence values of concatenated sequences based on Kimura’s two parameter model.
Species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 | |||||||||||||||
0.016 | - | ||||||||||||||
0.016 | 0.017 | - | |||||||||||||
0.018 | 0.018 | 0.010 | - | ||||||||||||
0.017 | 0.018 | 0.008 | 0.009 | - | |||||||||||
0.017 | 0.018 | 0.008 | 0.009 | 0.003 | - | ||||||||||
0.019 | 0.019 | 0.009 | 0.004 | 0.007 | 0.007 | - | |||||||||
0.019 | 0.020 | 0.009 | 0.005 | 0.008 | 0.007 | 0.002 | - | ||||||||
0.016 | 0.017 | 0.006 | 0.010 | 0.006 | 0.006 | 0.009 | 0.009 | - | |||||||
0.017 | 0.017 | 0.007 | 0.011 | 0.007 | 0.007 | 0.008 | 0.010 | 0.005 | - | ||||||
0.015 | 0.017 | 0.007 | 0.011 | 0.008 | 0.008 | 0.010 | 0.010 | 0.006 | 0.007 | - | |||||
0.026 | 0.026 | 0.018 | 0.023 | 0.019 | 0.019 | 0.022 | 0.022 | 0.018 | 0.020 | 0.020 | - | ||||
0.019 | 0.019 | 0.017 | 0.016 | 0.018 | 0.018 | 0.020 | 0.020 | 0.017 | 0.018 | 0.018 | 0.028 | - | |||
0.027 | 0.030 | 0.023 | 0.027 | 0.024 | 0.025 | 0.025 | 0.026 | 0.024 | 0.024 | 0.024 | 0.033 | 0.030 | - | ||
0.090 | 0.094 | 0.087 | 0.089 | 0.088 | 0.087 | 0.088 | 0.088 | 0.088 | 0.089 | 0.090 | 0.088 | 0.090 | 0.094 | - |
Shin-Woo Lee, Soo-Jin Lee, Eun-Heui Han, Eui-Cheol Sin, Kye Man Cho, and Yun-Hee Kim
J Plant Biotechnol 2017; 44(1): 12-18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Marker nucleotides of the
Marker nucleotides of the
Marker nucleotides of the
Phylogenetic tree formed from chloroplast nucleotide sequence alignment of Araliaceae species in South Korea. The distance between each plant was calculated using CLUSTAL W. Bootstrap analysis values are shown at the nodal bran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