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Plant Biotechnol 2018; 45(2): 110-116
Published online June 30, 2018
https://doi.org/10.5010/JPB.2018.45.2.110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이강섭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이오플러스
Correspondence to : e-mail: cattleya77@naver.com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imple, rapid, and reliable method for
Keywords Blackberry, Node culture, multiple shoots, Sucker,
나무딸기는 장미과 나무딸기 속(
블랙베리의 증식방법에는 종자번식, 경삽, 근삽 그리고 조직배양의 방법 등이 있다. 종자번식은 배의 발육과 후숙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결실종자이므로 발아율이 저조하고, 발아가 되더라도 열매의 수확시기가 늦어져 초기 수확량이 감소된다. 삽목의 경우 낮은 발근율로 인하여 얻을 수 있는 개체수가 적고, 기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하면 위에서 언급한 번식방법의 여러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Bobrowski et al. 1996; Debmath 2004; Meng et al. 2004). 나무딸기류에서 배양을 통한 식물체의 재생에 관한 보고를 보면, 가시 없는 나무딸기의 shoot tip을 재료로 다양한 배지와 식물생장조절물질을 사용하여 다경과 발근을 유도한 바있다(Skirvin et al. 1981). 나무딸기의 뿌리에서 유래한 신초의 절편체(Fernandez and Clark 1991), 잎과 옆병 절편체(Meng et al. 2004), 기내의 액아로부터 다경을 유도하거나(Debnath 2004), 기내에서 배양된 잎으로부터 신초를 재생시킨 경우가 있다(Turk et al. 1994). 이와 같이 기존연구에서 다양한 실험재료를 사용하였지만 생장이 왕성한 근맹아(根萌芽, sucker)를 절편체로 사용한 경우는 일부 블랙베리 품종에서 보고되고 있으나 극히 빈도가 저조한 실정이다(Shin et al. 2005; Shin et al. 2008).
본 연구의 실험재료로 사용한
사용된 재료는 (주)바이오플러스 부설농장에서 시험재배 되고 있는 신품종중
3월경에 채취된 근맹아 재료는 일차적으로 세척제와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30분 처리하였다. 2차 소독은 70% EtOH에 1분, sodium hypochlorite 1% 용액에 15분간 침적하여 표면 살균한 후, 멸균수로 3-4회 세척한 다음, 멸균된 filter paper 상에서 수분을 제거하였다. 약 3×3 mm의 크기로 세절한 재료는 MS (Murashige and Skoog 1962) 기본배지에 치상하였다. 배지는 0.1, 0.5, 1.0, 2.0 mg/L BAP (6-benzylaminopurine)를 첨가한 다음 pH 5.8로 조정하고 30 g/L sucrose, 4 g/L gelrite를 첨가한 후 121°C, 1.2 기압 하에서 15분간 고압 증기 멸균하였다. 멸균된 배지를 페트리디쉬 (Φ90 × 15 mm, 또는 90 × 40 mm)에 20 mL씩 분주하여 사용하였으며, 배양은 온도 24±1°C, 광도 46 µmol/cm2/sec, 광주기 16/8 시간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소독이 끝난 근맹아를 3 × 3 mm의 크기로 세절하여, 절편체는 식물생장조절물질로 BAP (6-benzylaminopurine), Kinetin (6-furfuryalaminopurine), 2iP (6-γ-γ-(dimethylallylamino)-purine)가 0, 0.1, 0.5, 1.0, 2.0 mg/L가 각각 첨가된 MS배지에 치상하였다. 치상은 페트리디쉬 당 10개씩 3반복으로 6주간 배양하였다(Fig. 1).
Frequency of multiple-shoot formation from sucker explant cultured on MS and 1/2 MS medium containing BAP after six weeks of culture *Means with the same letter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근맹아 절편체로부터 형성된 신초를 약 6주간 배양하여 충분히 성장시켜 무균상태조건하에서 유식물체 절간의 절편체를 3 × 3 mm의 크기로 세절하여 (0, 0.1, 1.0 mg/L) IBA와 싸이토키닌으로는 (0, 0.1, 0.5, 1.0, 2.0 mg/L) BAP, Kinetin, 2iP를 각각 조합, 첨가한 배지에서 6주간 배양하였다.
기내에서 유도된 다경(multiple shoot)으로부터 소식물체의 증식을 위해 절간배양(node culture)을 수행하고자, 유도된 신초를 재료로 잎을 제거하여 절간의 크기를 3 × 3 mm로 하여 배지의 조건을 0.1 mg/L BAP가 첨가된 MS (Murashige and Skoog 1962), SH (Schenk and Hildebrandt 1972), AD (Anderson 1980), B5 (Gamborg 1968), WPM (Lloyd and McCown 1981), QL (Quoirin and Lepoivre 1977)배지와 상기 배지의 농도를 1/2로 희석한 배지를 사용하여 30일, 90일간 배양하여 배양기간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식물체의 토양 순화는 신초와 뿌리가 잘 발달된 정상적인 식물체를 모래, 토양, 그리고 버미큘라이트가 혼합된 토양(1:1:1, v/v)에 직접 이식하여 온실에서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식물체는 방사선을 이용한 돌연변이 육종으로 개발한
Effects of BAP and IBA on shoot formation from node explants of
또한 MS배지에 0.5, 1.0, 2.0 mg/L BAP 처리구에서 모두 75% 이상의 다경형성률을 1/2MS배지에서는 약 60%정도 다경 형성률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블랙베리(
근맹아 절편체로부터 형성된 다신초를 충분히 성장시켜 무균상태의 유식물체로부터 절간을 6주간 배양하여 0.1, 0.5, 1.0, 2.0 mg/L BAP, Kinetin, 2iP를 각각 단독처리한 배지에서 신초형성률은 BAP처리구에서 가장 높게(97.6%) 나타났으며, 2iP, Kinetin 순으로 형성되었다. 그리고 BAP처리구의 경우 농도에 비례하여 발생된 신초의 수가 증가하였고, Kinetin처리구의 경우도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신초의 수가 소폭 증가(80%)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2iP처리구의 경우는 농도가 높아질수록 형성된 신초의 수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data 미제시). 처리한 싸이토키닌 단독처리구에 0, 0.1, 1.0 mg/L IBA를 첨가한 결과 신초형성률은 오히려 감소하였다(Fig. 2). 또한 BAP농도보다 IBA의 농도가 높은 처리구에서는 캘러스가 형성되어 신초의 형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경향은 BAP의 단독 처리구와 달리 BAP와 다른 식물생장조절물질의 혼용 처리가 신초 증식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낸다는 보고(Bobrowski et al. 1996)와는 상반되나, BAP에 IBA를 혼용 처리시 효과적이 않다는 보고와는 일치한다(Shin et al. 2005). 이것은 대부분 식물의 기내증식에 있어서 신초의 유도 및 증식은 처리된 싸이토키닌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BAP의 처리가 가장 주효 하다는 보고(Cuenca et al. 1999; Han et al. 2004)와 일치한다. 이와 같이 싸이토키닌에 대한 반응은 Turk et al. (1994)이 보고한 여러 품종의 블랙베리를 재료로 한 연구에서 BAP보다는 TDZ가 효과적이며, 다양한 품종 사이에서 다경형성률의 차이가 있음이 보고(Bobrowski et al. 1996)되고 있어, 종과 품종의 차이에 따라 반응하는 다양성으로 인한 결과라 사료되며, 차후에도 품종과 배양조건에 따른 연구는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different culture mediums and culture period on shoot height from node culture of
나무딸기류 중에서 가시 없는 블랙베리는 Broome and Zimmerman (1978)에 의하여, 블랙라스베리(black raspberry)는 Harper (1978)에 의해 최초로 기내배양이 수행된 후에, 많은 보고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배양증식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품종과 새로 나온 품종간의 낮은 증식율과 유전적 다양함으로 인하여 조직배양에 어려운 점이 있는 실정이다(Zawadzka and Orlikowska 2006; Wu et al. 2009). 따라서 상업적인 품종의 경우엔 다양한 품종에 대하여 다양한 배지와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사용 등과 같은 여러 요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기내에서 유도된 다경(multiple shoot)의 소식물체의 증식을 위해 기내에서 유도된 신초로부터 절간배양(node culture)을 수행하였다(Fig. 4). 근맹아 절편체로부터 얻어진 신초(Fig. 4A)의 잎을 제거하여 절간의 크기를 3 × 3 mm로 세절하고 배양하여 신초를 유도하고(Fig. 4B), 이를 Φ90 × 40 mm의 배양접시에서 신초와 뿌리가 잘 발달된 유식물체를 유도하였다(Fig. 4C). 생장이 좋은 유식물체를 모래, 토양, 그리고 버뮤큘라이트가 각각 혼합된 토양(1:1:1, v/v)에 이식하여 약 6주간 순화를 유도하였다(Fig. 4D). 순화된 식물체를 토양에 이식하였을 경우 약 98%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안정적으로 순화되어 성장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육종을 통한 블랙베리 묘목은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관련 농가에 원활한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Multiple shoot induction and acclimatization. A, multiple shoots obtained from sucker explant after six weeks of culture. B, shoots obtained from node explants after six weeks of culture. C, plantlets regenerated from node explants. D, plantlets acclimatized in pots containing vermiculite in the greenhouse after six weeks of planting (right)
본 연구에 사용한 식물체는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농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315025-03).
J Plant Biotechnol 2018; 45(2): 110-116
Published online June 30, 2018 https://doi.org/10.5010/JPB.2018.45.2.110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이강섭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이오플러스
Kang Seop Lee
Bioplus Co., LTD, 312, Changjogwan, 224, Wanjusandan 6-ro, Bongdong-eup, Wanju-gun 55315, Korea
Correspondence to:e-mail: cattleya77@naver.com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imple, rapid, and reliable method for
Keywords: Blackberry, Node culture, multiple shoots, Sucker,
나무딸기는 장미과 나무딸기 속(
블랙베리의 증식방법에는 종자번식, 경삽, 근삽 그리고 조직배양의 방법 등이 있다. 종자번식은 배의 발육과 후숙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결실종자이므로 발아율이 저조하고, 발아가 되더라도 열매의 수확시기가 늦어져 초기 수확량이 감소된다. 삽목의 경우 낮은 발근율로 인하여 얻을 수 있는 개체수가 적고, 기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하면 위에서 언급한 번식방법의 여러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Bobrowski et al. 1996; Debmath 2004; Meng et al. 2004). 나무딸기류에서 배양을 통한 식물체의 재생에 관한 보고를 보면, 가시 없는 나무딸기의 shoot tip을 재료로 다양한 배지와 식물생장조절물질을 사용하여 다경과 발근을 유도한 바있다(Skirvin et al. 1981). 나무딸기의 뿌리에서 유래한 신초의 절편체(Fernandez and Clark 1991), 잎과 옆병 절편체(Meng et al. 2004), 기내의 액아로부터 다경을 유도하거나(Debnath 2004), 기내에서 배양된 잎으로부터 신초를 재생시킨 경우가 있다(Turk et al. 1994). 이와 같이 기존연구에서 다양한 실험재료를 사용하였지만 생장이 왕성한 근맹아(根萌芽, sucker)를 절편체로 사용한 경우는 일부 블랙베리 품종에서 보고되고 있으나 극히 빈도가 저조한 실정이다(Shin et al. 2005; Shin et al. 2008).
본 연구의 실험재료로 사용한
사용된 재료는 (주)바이오플러스 부설농장에서 시험재배 되고 있는 신품종중
3월경에 채취된 근맹아 재료는 일차적으로 세척제와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30분 처리하였다. 2차 소독은 70% EtOH에 1분, sodium hypochlorite 1% 용액에 15분간 침적하여 표면 살균한 후, 멸균수로 3-4회 세척한 다음, 멸균된 filter paper 상에서 수분을 제거하였다. 약 3×3 mm의 크기로 세절한 재료는 MS (Murashige and Skoog 1962) 기본배지에 치상하였다. 배지는 0.1, 0.5, 1.0, 2.0 mg/L BAP (6-benzylaminopurine)를 첨가한 다음 pH 5.8로 조정하고 30 g/L sucrose, 4 g/L gelrite를 첨가한 후 121°C, 1.2 기압 하에서 15분간 고압 증기 멸균하였다. 멸균된 배지를 페트리디쉬 (Φ90 × 15 mm, 또는 90 × 40 mm)에 20 mL씩 분주하여 사용하였으며, 배양은 온도 24±1°C, 광도 46 µmol/cm2/sec, 광주기 16/8 시간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소독이 끝난 근맹아를 3 × 3 mm의 크기로 세절하여, 절편체는 식물생장조절물질로 BAP (6-benzylaminopurine), Kinetin (6-furfuryalaminopurine), 2iP (6-γ-γ-(dimethylallylamino)-purine)가 0, 0.1, 0.5, 1.0, 2.0 mg/L가 각각 첨가된 MS배지에 치상하였다. 치상은 페트리디쉬 당 10개씩 3반복으로 6주간 배양하였다(Fig. 1).
Frequency of multiple-shoot formation from sucker explant cultured on MS and 1/2 MS medium containing BAP after six weeks of culture *Means with the same letter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근맹아 절편체로부터 형성된 신초를 약 6주간 배양하여 충분히 성장시켜 무균상태조건하에서 유식물체 절간의 절편체를 3 × 3 mm의 크기로 세절하여 (0, 0.1, 1.0 mg/L) IBA와 싸이토키닌으로는 (0, 0.1, 0.5, 1.0, 2.0 mg/L) BAP, Kinetin, 2iP를 각각 조합, 첨가한 배지에서 6주간 배양하였다.
기내에서 유도된 다경(multiple shoot)으로부터 소식물체의 증식을 위해 절간배양(node culture)을 수행하고자, 유도된 신초를 재료로 잎을 제거하여 절간의 크기를 3 × 3 mm로 하여 배지의 조건을 0.1 mg/L BAP가 첨가된 MS (Murashige and Skoog 1962), SH (Schenk and Hildebrandt 1972), AD (Anderson 1980), B5 (Gamborg 1968), WPM (Lloyd and McCown 1981), QL (Quoirin and Lepoivre 1977)배지와 상기 배지의 농도를 1/2로 희석한 배지를 사용하여 30일, 90일간 배양하여 배양기간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식물체의 토양 순화는 신초와 뿌리가 잘 발달된 정상적인 식물체를 모래, 토양, 그리고 버미큘라이트가 혼합된 토양(1:1:1, v/v)에 직접 이식하여 온실에서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식물체는 방사선을 이용한 돌연변이 육종으로 개발한
Effects of BAP and IBA on shoot formation from node explants of
또한 MS배지에 0.5, 1.0, 2.0 mg/L BAP 처리구에서 모두 75% 이상의 다경형성률을 1/2MS배지에서는 약 60%정도 다경 형성률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블랙베리(
근맹아 절편체로부터 형성된 다신초를 충분히 성장시켜 무균상태의 유식물체로부터 절간을 6주간 배양하여 0.1, 0.5, 1.0, 2.0 mg/L BAP, Kinetin, 2iP를 각각 단독처리한 배지에서 신초형성률은 BAP처리구에서 가장 높게(97.6%) 나타났으며, 2iP, Kinetin 순으로 형성되었다. 그리고 BAP처리구의 경우 농도에 비례하여 발생된 신초의 수가 증가하였고, Kinetin처리구의 경우도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신초의 수가 소폭 증가(80%)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2iP처리구의 경우는 농도가 높아질수록 형성된 신초의 수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data 미제시). 처리한 싸이토키닌 단독처리구에 0, 0.1, 1.0 mg/L IBA를 첨가한 결과 신초형성률은 오히려 감소하였다(Fig. 2). 또한 BAP농도보다 IBA의 농도가 높은 처리구에서는 캘러스가 형성되어 신초의 형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경향은 BAP의 단독 처리구와 달리 BAP와 다른 식물생장조절물질의 혼용 처리가 신초 증식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낸다는 보고(Bobrowski et al. 1996)와는 상반되나, BAP에 IBA를 혼용 처리시 효과적이 않다는 보고와는 일치한다(Shin et al. 2005). 이것은 대부분 식물의 기내증식에 있어서 신초의 유도 및 증식은 처리된 싸이토키닌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BAP의 처리가 가장 주효 하다는 보고(Cuenca et al. 1999; Han et al. 2004)와 일치한다. 이와 같이 싸이토키닌에 대한 반응은 Turk et al. (1994)이 보고한 여러 품종의 블랙베리를 재료로 한 연구에서 BAP보다는 TDZ가 효과적이며, 다양한 품종 사이에서 다경형성률의 차이가 있음이 보고(Bobrowski et al. 1996)되고 있어, 종과 품종의 차이에 따라 반응하는 다양성으로 인한 결과라 사료되며, 차후에도 품종과 배양조건에 따른 연구는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different culture mediums and culture period on shoot height from node culture of
나무딸기류 중에서 가시 없는 블랙베리는 Broome and Zimmerman (1978)에 의하여, 블랙라스베리(black raspberry)는 Harper (1978)에 의해 최초로 기내배양이 수행된 후에, 많은 보고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배양증식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품종과 새로 나온 품종간의 낮은 증식율과 유전적 다양함으로 인하여 조직배양에 어려운 점이 있는 실정이다(Zawadzka and Orlikowska 2006; Wu et al. 2009). 따라서 상업적인 품종의 경우엔 다양한 품종에 대하여 다양한 배지와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사용 등과 같은 여러 요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기내에서 유도된 다경(multiple shoot)의 소식물체의 증식을 위해 기내에서 유도된 신초로부터 절간배양(node culture)을 수행하였다(Fig. 4). 근맹아 절편체로부터 얻어진 신초(Fig. 4A)의 잎을 제거하여 절간의 크기를 3 × 3 mm로 세절하고 배양하여 신초를 유도하고(Fig. 4B), 이를 Φ90 × 40 mm의 배양접시에서 신초와 뿌리가 잘 발달된 유식물체를 유도하였다(Fig. 4C). 생장이 좋은 유식물체를 모래, 토양, 그리고 버뮤큘라이트가 각각 혼합된 토양(1:1:1, v/v)에 이식하여 약 6주간 순화를 유도하였다(Fig. 4D). 순화된 식물체를 토양에 이식하였을 경우 약 98%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안정적으로 순화되어 성장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육종을 통한 블랙베리 묘목은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관련 농가에 원활한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Multiple shoot induction and acclimatization. A, multiple shoots obtained from sucker explant after six weeks of culture. B, shoots obtained from node explants after six weeks of culture. C, plantlets regenerated from node explants. D, plantlets acclimatized in pots containing vermiculite in the greenhouse after six weeks of planting (right)
본 연구에 사용한 식물체는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농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315025-03).
Frequency of multiple-shoot formation from sucker explant cultured on MS and 1/2 MS medium containing BAP after six weeks of culture *Means with the same letter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Effects of BAP and IBA on shoot formation from node explants of
Effects of different culture mediums and culture period on shoot height from node culture of
Multiple shoot induction and acclimatization. A, multiple shoots obtained from sucker explant after six weeks of culture. B, shoots obtained from node explants after six weeks of culture. C, plantlets regenerated from node explants. D, plantlets acclimatized in pots containing vermiculite in the greenhouse after six weeks of planting (right)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Frequency of multiple-shoot formation from sucker explant cultured on MS and 1/2 MS medium containing BAP after six weeks of culture *Means with the same letter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Effects of BAP and IBA on shoot formation from node explants of
Effects of different culture mediums and culture period on shoot height from node culture of
Multiple shoot induction and acclimatization. A, multiple shoots obtained from sucker explant after six weeks of culture. B, shoots obtained from node explants after six weeks of culture. C, plantlets regenerated from node explants. D, plantlets acclimatized in pots containing vermiculite in the greenhouse after six weeks of planting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