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Plant Biotechnol 2018; 45(2): 117-124
Published online June 30, 2018
https://doi.org/10.5010/JPB.2018.45.2.117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구영민
경남한방약초연구소,
국립경상대학교 생물교육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교 생명과학대학 농학・한약자원학부
Correspondence to : e-mail: dudals1109@naver.com
e-mail: shinwlee@gntech.ac.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imports of
Keywords Keywords
병풀(
국내에서도 Kim 등(2002)의 국내자생 병풀에 대한 재배시기별 triterpene glycosides 함량 비교 연구 등과 함께 일부 효능에 관한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은 극히 미진한 수준에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 ㈜동국제약의 주력상품중의 하나인 ‘마데카솔’ 연고의 주성분인 “병풀 추출물(센텔라아시아티카정량추출물)”이 사용되는 등의 수요에 따라 해마다 외국에서 수입물량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경남한방약초연구소에서는 국내의 제약업계 또는 한약도매상 등과의 계약재배를 통하여 수요와 공급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고 수입대체 효과가 뛰어나며 다양한 종류의 안정적인 약용작물의 시스템 구축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제주지역에서 자생하는 병풀을 경남 합천에서 재배하고 있는 농가에서 채취하여 병풀추출물의 항균성 및 항염증과 함께 피부의 미백효능과 주름개선효능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병풀 시료는 2017년 여름에 경남 합천군 소재 농가에서 수확한 잎을 세척 후 40°C에서 열풍 건조한 후 믹서기에 곱게 갈아서 칭량한 후 10배의 추출용액을 넣고 30분간 초음파추출한 후에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그 상층액을 0.45 μm 주사기필터로 여과 후 농축시켜 분석에 사용하였다. 항염증효과 및 미백효과시험 등을 위한 세포실험에 사용한 시약은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USA),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Gibco, USA), penicillin, streptomycin (Gibco, USA), PBS (Gibco, USA)와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Sigma Aldrich, USA)를 사용했고 세포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한 MTT[3-(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분석용 시약은 Promega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흡광도 측정을 위한 다채널분광광도계는 SpectraMax M5 (Molecular Devices, USA) 그리고 생리활성 확인을 위한 세포배양은 CO2 incubator (NU-4750G, NUAIRE)를 이용하였다.
항균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한 균주는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분양받아 연구소에 보관중인
Table 1 List of microorganisms for antimicrobial activity test and culture condition
Microorganisms | Temperature (°C) | Media | ATCC no. |
---|---|---|---|
37 | YMB | 11778 | |
37 | YMB | 10231 | |
37 | YMB | 27553 | |
37 | TSB | 6919 | |
37 | YMB | 25923 | |
37 | TSB | 12228 | |
37 | TSB | 19615 | |
37 | YMB | 17802 |
항염증 효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 후 전 처리한 병풀 시료일정량을 칭량 한 후 10배의 메탄올(100%), 에탄올(20%) 그리고 물을 이용하여 초음파 추출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0.45 μm 주사기필터로 여과한 다음 농축하여 사용하였다. 오미자와 병풀 및 오미자의 혼합물은 메탄올(100%)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주어진 추출물시료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하기 위한 마우스대식세포(Raw 264.7, KCLB 40071)의 배양 조건은 penicillin과 streptomycin을 각각 100 unit/ml 그리고 10% FBS가 함유된 DMEM배지에서 5%의 CO2하에 37°C로 하였으며 2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였다. Raw 264.7세포의 농도를 2×105 cells/ml의로 조정하여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추출물을 농도별(312.5, 625, 1250, 2500 ppm)로 처리하여 24시간을 배양시킨 후에 MTT 시약을 첨가하여 배양기(37°C, 5% CO2)에서 4시간 반응시킨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항염증 효능분석은 (Jo et al, 2014)의 분석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Nitric oxide (NO)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량에 대한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Nitrite 농도를 Griess 반응법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NO 생성 지표로 사용하였으며, 배양세포의 상등액 100 µl와 sodium nitrite 표준액 (0-10 µM)을 동일한 용량의 Griess 용액 0.1% (w/v) N-(1-naphythyl) ethylene diamine dihydrochloride와 5% HCl용액으로 1% (w/v) sulfanilamide을 제조한 용액과 1:1로 혼합한 후 20분간 실온에 방치 후 Multimicroplate reader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미백효능분석을 위한 시료의 추출용매 및 추출 방법은 항염증효능 분석과 동일하게 하였으며 세포생존율 분석은 흑색종세포(B16F10, KCLB 80008)세포를 사용하였으며 동 세포의 배양조건도 항염증효능분석에서 사용한 Raw 264.7세포의 배양조건과 동일하였다.
미백효능분석은 멜라닌 색소 생합성율의 비교분석법으로 기존에 보고된(Choi et al. 2016)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B16F10 세포주를 배양하여 well당 4×104 cells의 농도로 분주하고 24시간을 배양 후 추출물을 각 농도별(125, 250, 500, 1000 ppm)로 처리한 다음 1시간 배양한 다음 α-MSH (100 nM)를 처리하였다. 이후 48시간을 배양하여 well plate를 PBS로 세척한 후 각 well에 1 N NaOH 용액 400 µl을 첨가하고 60°C에서 1시간 동안 용해한 후 Microplate Reader로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시료는 α-MSH 처리과정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주름개선효능 분석은 ㈜바이오스펙트럼 연구소에 의뢰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한 세포인 Human dermal fibroblast (NHDF, PCS-201-012)의 세포독성은 EZ-Cytox 용액을 사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EZ-Cytox의 기질인 WST (water soluble tetrazolium salt)가 는 살아있는 세포의 dehydrogenase와 반응 하여 오렌지색의 수용성 formazan을 생성하는 기작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 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NHDF를 4×104 cells/well로 배양한 다음 병풀의 메탄올추출물을 농도별(62.5, 125, 250, 500, 1000 ppm)로 48시간 처리한 후 EZ-Cytox 용액을 각 well 에 첨가하여 37°C, 5% CO2 배양기에서 1시간 30분 동안 반응시킨 뒤 450 nm에서 ELISA reader로 배양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주름개선효능은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네이즈의 활성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콜라게네이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는 분석법으로, 콜라게네이즈중 하나인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을 활성화시키는 물질로는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NHDF 세포(4×104 cells/well)를 37°C, 5% CO2조건에서 배양한 후 병풀 추출물을 농도별(100, 200, 400 ppm)로 처리하여 24시간 반응 시킨 후 PMA를 10 nM 농도로 처리하고 다시 24시간 배양한 다음 100 µl 세포배지에 100 µl의 assay diluent RD1-52를 넣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 시킨 다음 washing buffer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Pro-MMP-1 conjugate solution을 200 µl 넣고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다시 세척하였다. 마지막으로 substrate soluble solution (TMB)을 200 µl 넣고 빛을 차단하여 상온에서 20분 반응시킨 뒤 50 µl stop solution을 넣은 후 450/57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병풀의 항균활성은 Table 1에 공시된 7종의 세균과 1종(
Antimicrobial activity of
이러한 연구결과는 Arumugam et al (2011)의 연구보고와는 일치하는 반면에 Idris와 Nadzir (2017)의 연구결과와는 다소 상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100%, 70%, 30%의 에탄올, 메탄올 그리고 물로 각각 추출한 추출물에 대하여 Aspergillus Niger와 Bacillus Subtilis에 대한 항균력을 디스크 확산법으로 조사한 결과 100%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두 균주에 대하여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고 하였다. 또한 Lalitha et al. (2013)은 단순히 물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여 7종의 곰팡이와 4종의 세균에 대하여 합성 농약과 항생제에 비교될 만한 수준의 항균력을 나타내었다고 하였다. 한편, 조직배양 식물체를 사용한 바이오 리엑트에 서 대량으로 생산한 캘러스 또는 재 분화 식물조직에 대한 항균 효과에 관한 연구결과도 보고되었다(Arumugam et al. 2011; Bibi et al. 2011).
Raw 264.7는 세균의 감염에 의하여 숙주의 비 특이적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로서 LPS와 같은 자극물질에 노출되면 산화질소(NO)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Jo et al. 2014), 동 세포를 이용하여 주어진 추출물의 처리에 의하여 산화질소의 생성 정도를 측정하여 그 억제효과에 의한 상대적인 항염증효능을 조사하였다. 항염증효능의 분석을 수행하기 전에 먼저 본 연구에 사용한 병풀 또는 오미자 추출물에 대한 Raw264.7 세포에 대한 독성을 먼저 조사하기 위하여 농도별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메탄올, 에탄올 그리고 물 등의 용매별 추출물에 대하여 1250 ppm이하로는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Fig. 2A).
Raw 264.7세포를 이용하여 용매별로 추출한 병풀, 오미자 그리고 병풀과 오미자 혼합물의 처리에 따른 산화질소 생성정도를 조사한 결과 에탄올과 물로서 추출한 시료에서는 뚜렷한 감소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1250 ppm에서는 15.1 uM, 625 ppm에서 13.1 uM로 산화질소의 생성정도가 50% 이상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여 뚜렷한 항염증효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Fig. 2B).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미백효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악성 흑색종 세포주인 B16F10를 재료 및 방법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배양하여 α-MSH 호르몬 (100 nM)을 처리하여 멜라닌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고 tyrosinase를 비롯한 멜라닌 합성 관련 효소들의 발현이 촉진되어 멜라닌의 색소가 생성되는 과정에 병풀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상대적인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물로서 추출한 병풀 추출물이 대조구에 비하여 약 20%에 근접한 멜라닌 색소농도의 감소율을 나타내어 가장 뚜렷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메탄올 추출물은 약 5%, 에탄올추출물은 약 10%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Fig. 3B). 한편 MTT assay를 통해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병풀과 오미자의 혼합추출물을 1000 ppm까지 처리하였을 경우에 세포의 생존율이 약 85%로 조사되어 약간의 세포독성을 나타낸 것으로 보였으나(Fig. 3A), 그 이하의 농도 즉 125, 250, 500 ppm에서는 모든 농도와 추출물에서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병풀 또는 오미자 단독 추출물의 경우에는 1000 ppm 농도를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거의 독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skin whitening effect of
주름개선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PMA만 처리한 대조군과 병풀 추출물을 농도별(100, 200, 400 ppm)로 처리하여 조사한 결과 PMA만 처리한 대조군은 MMP-1의 함량이 약 29.0 ng/ml로 증가하였으며, 병풀추출물을 100과 200 ppm 으로 전처리 후 PMA를 처리한 경우 MMP-1의 함량은 약 29.9, 29.6 29.0 ng/ml로 거의 동일한 수준이었으나 400 ppm을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0.01 ng/ml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Fig. 4A). 한편 병풀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Human dermal fibroblast (NHDF)세포를 사용하여 EZ-CyTox시약처리에 의한 NHDF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250 ppm 농도에서는 92.3%의 세포가 생존하여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500 ppm농도를 처리한 경우에는 세포 생존율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3.3%의 세포만 생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병풀 추출물의 세포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농도의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라는 사실을 암시하여 주는 것으로 이에 대한 보다 세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Fig. 4B).
The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of
병풀(
J Plant Biotechnol 2018; 45(2): 117-124
Published online June 30, 2018 https://doi.org/10.5010/JPB.2018.45.2.117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구영민
경남한방약초연구소,
국립경상대학교 생물교육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교 생명과학대학 농학・한약자원학부
Young-Min Goo
Gyeongnam Oriental Medicinal Herb Institute, Sancheong, 52215, Korea,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IAL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52828, Korea,
Department of Agronomy & Medicinal Plant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JinJu, 52725, Korea
Correspondence to:e-mail: dudals1109@naver.com
e-mail: shinwlee@gntech.ac.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imports of
Keywords: Keywords
병풀(
국내에서도 Kim 등(2002)의 국내자생 병풀에 대한 재배시기별 triterpene glycosides 함량 비교 연구 등과 함께 일부 효능에 관한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은 극히 미진한 수준에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 ㈜동국제약의 주력상품중의 하나인 ‘마데카솔’ 연고의 주성분인 “병풀 추출물(센텔라아시아티카정량추출물)”이 사용되는 등의 수요에 따라 해마다 외국에서 수입물량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경남한방약초연구소에서는 국내의 제약업계 또는 한약도매상 등과의 계약재배를 통하여 수요와 공급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고 수입대체 효과가 뛰어나며 다양한 종류의 안정적인 약용작물의 시스템 구축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제주지역에서 자생하는 병풀을 경남 합천에서 재배하고 있는 농가에서 채취하여 병풀추출물의 항균성 및 항염증과 함께 피부의 미백효능과 주름개선효능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병풀 시료는 2017년 여름에 경남 합천군 소재 농가에서 수확한 잎을 세척 후 40°C에서 열풍 건조한 후 믹서기에 곱게 갈아서 칭량한 후 10배의 추출용액을 넣고 30분간 초음파추출한 후에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그 상층액을 0.45 μm 주사기필터로 여과 후 농축시켜 분석에 사용하였다. 항염증효과 및 미백효과시험 등을 위한 세포실험에 사용한 시약은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USA),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Gibco, USA), penicillin, streptomycin (Gibco, USA), PBS (Gibco, USA)와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Sigma Aldrich, USA)를 사용했고 세포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한 MTT[3-(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분석용 시약은 Promega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흡광도 측정을 위한 다채널분광광도계는 SpectraMax M5 (Molecular Devices, USA) 그리고 생리활성 확인을 위한 세포배양은 CO2 incubator (NU-4750G, NUAIRE)를 이용하였다.
항균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한 균주는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분양받아 연구소에 보관중인
Table 1 . List of microorganisms for antimicrobial activity test and culture condition.
Microorganisms | Temperature (°C) | Media | ATCC no. |
---|---|---|---|
37 | YMB | 11778 | |
37 | YMB | 10231 | |
37 | YMB | 27553 | |
37 | TSB | 6919 | |
37 | YMB | 25923 | |
37 | TSB | 12228 | |
37 | TSB | 19615 | |
37 | YMB | 17802 |
항염증 효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 후 전 처리한 병풀 시료일정량을 칭량 한 후 10배의 메탄올(100%), 에탄올(20%) 그리고 물을 이용하여 초음파 추출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0.45 μm 주사기필터로 여과한 다음 농축하여 사용하였다. 오미자와 병풀 및 오미자의 혼합물은 메탄올(100%)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주어진 추출물시료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하기 위한 마우스대식세포(Raw 264.7, KCLB 40071)의 배양 조건은 penicillin과 streptomycin을 각각 100 unit/ml 그리고 10% FBS가 함유된 DMEM배지에서 5%의 CO2하에 37°C로 하였으며 2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였다. Raw 264.7세포의 농도를 2×105 cells/ml의로 조정하여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추출물을 농도별(312.5, 625, 1250, 2500 ppm)로 처리하여 24시간을 배양시킨 후에 MTT 시약을 첨가하여 배양기(37°C, 5% CO2)에서 4시간 반응시킨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항염증 효능분석은 (Jo et al, 2014)의 분석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Nitric oxide (NO)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량에 대한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Nitrite 농도를 Griess 반응법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NO 생성 지표로 사용하였으며, 배양세포의 상등액 100 µl와 sodium nitrite 표준액 (0-10 µM)을 동일한 용량의 Griess 용액 0.1% (w/v) N-(1-naphythyl) ethylene diamine dihydrochloride와 5% HCl용액으로 1% (w/v) sulfanilamide을 제조한 용액과 1:1로 혼합한 후 20분간 실온에 방치 후 Multimicroplate reader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미백효능분석을 위한 시료의 추출용매 및 추출 방법은 항염증효능 분석과 동일하게 하였으며 세포생존율 분석은 흑색종세포(B16F10, KCLB 80008)세포를 사용하였으며 동 세포의 배양조건도 항염증효능분석에서 사용한 Raw 264.7세포의 배양조건과 동일하였다.
미백효능분석은 멜라닌 색소 생합성율의 비교분석법으로 기존에 보고된(Choi et al. 2016)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B16F10 세포주를 배양하여 well당 4×104 cells의 농도로 분주하고 24시간을 배양 후 추출물을 각 농도별(125, 250, 500, 1000 ppm)로 처리한 다음 1시간 배양한 다음 α-MSH (100 nM)를 처리하였다. 이후 48시간을 배양하여 well plate를 PBS로 세척한 후 각 well에 1 N NaOH 용액 400 µl을 첨가하고 60°C에서 1시간 동안 용해한 후 Microplate Reader로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시료는 α-MSH 처리과정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주름개선효능 분석은 ㈜바이오스펙트럼 연구소에 의뢰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한 세포인 Human dermal fibroblast (NHDF, PCS-201-012)의 세포독성은 EZ-Cytox 용액을 사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EZ-Cytox의 기질인 WST (water soluble tetrazolium salt)가 는 살아있는 세포의 dehydrogenase와 반응 하여 오렌지색의 수용성 formazan을 생성하는 기작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 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NHDF를 4×104 cells/well로 배양한 다음 병풀의 메탄올추출물을 농도별(62.5, 125, 250, 500, 1000 ppm)로 48시간 처리한 후 EZ-Cytox 용액을 각 well 에 첨가하여 37°C, 5% CO2 배양기에서 1시간 30분 동안 반응시킨 뒤 450 nm에서 ELISA reader로 배양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주름개선효능은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네이즈의 활성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콜라게네이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는 분석법으로, 콜라게네이즈중 하나인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을 활성화시키는 물질로는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NHDF 세포(4×104 cells/well)를 37°C, 5% CO2조건에서 배양한 후 병풀 추출물을 농도별(100, 200, 400 ppm)로 처리하여 24시간 반응 시킨 후 PMA를 10 nM 농도로 처리하고 다시 24시간 배양한 다음 100 µl 세포배지에 100 µl의 assay diluent RD1-52를 넣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 시킨 다음 washing buffer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Pro-MMP-1 conjugate solution을 200 µl 넣고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다시 세척하였다. 마지막으로 substrate soluble solution (TMB)을 200 µl 넣고 빛을 차단하여 상온에서 20분 반응시킨 뒤 50 µl stop solution을 넣은 후 450/57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병풀의 항균활성은 Table 1에 공시된 7종의 세균과 1종(
Antimicrobial activity of
이러한 연구결과는 Arumugam et al (2011)의 연구보고와는 일치하는 반면에 Idris와 Nadzir (2017)의 연구결과와는 다소 상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100%, 70%, 30%의 에탄올, 메탄올 그리고 물로 각각 추출한 추출물에 대하여 Aspergillus Niger와 Bacillus Subtilis에 대한 항균력을 디스크 확산법으로 조사한 결과 100%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두 균주에 대하여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고 하였다. 또한 Lalitha et al. (2013)은 단순히 물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여 7종의 곰팡이와 4종의 세균에 대하여 합성 농약과 항생제에 비교될 만한 수준의 항균력을 나타내었다고 하였다. 한편, 조직배양 식물체를 사용한 바이오 리엑트에 서 대량으로 생산한 캘러스 또는 재 분화 식물조직에 대한 항균 효과에 관한 연구결과도 보고되었다(Arumugam et al. 2011; Bibi et al. 2011).
Raw 264.7는 세균의 감염에 의하여 숙주의 비 특이적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로서 LPS와 같은 자극물질에 노출되면 산화질소(NO)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Jo et al. 2014), 동 세포를 이용하여 주어진 추출물의 처리에 의하여 산화질소의 생성 정도를 측정하여 그 억제효과에 의한 상대적인 항염증효능을 조사하였다. 항염증효능의 분석을 수행하기 전에 먼저 본 연구에 사용한 병풀 또는 오미자 추출물에 대한 Raw264.7 세포에 대한 독성을 먼저 조사하기 위하여 농도별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메탄올, 에탄올 그리고 물 등의 용매별 추출물에 대하여 1250 ppm이하로는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Fig. 2A).
Raw 264.7세포를 이용하여 용매별로 추출한 병풀, 오미자 그리고 병풀과 오미자 혼합물의 처리에 따른 산화질소 생성정도를 조사한 결과 에탄올과 물로서 추출한 시료에서는 뚜렷한 감소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1250 ppm에서는 15.1 uM, 625 ppm에서 13.1 uM로 산화질소의 생성정도가 50% 이상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여 뚜렷한 항염증효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Fig. 2B).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미백효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악성 흑색종 세포주인 B16F10를 재료 및 방법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배양하여 α-MSH 호르몬 (100 nM)을 처리하여 멜라닌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고 tyrosinase를 비롯한 멜라닌 합성 관련 효소들의 발현이 촉진되어 멜라닌의 색소가 생성되는 과정에 병풀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상대적인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물로서 추출한 병풀 추출물이 대조구에 비하여 약 20%에 근접한 멜라닌 색소농도의 감소율을 나타내어 가장 뚜렷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메탄올 추출물은 약 5%, 에탄올추출물은 약 10%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Fig. 3B). 한편 MTT assay를 통해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병풀과 오미자의 혼합추출물을 1000 ppm까지 처리하였을 경우에 세포의 생존율이 약 85%로 조사되어 약간의 세포독성을 나타낸 것으로 보였으나(Fig. 3A), 그 이하의 농도 즉 125, 250, 500 ppm에서는 모든 농도와 추출물에서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병풀 또는 오미자 단독 추출물의 경우에는 1000 ppm 농도를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거의 독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skin whitening effect of
주름개선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PMA만 처리한 대조군과 병풀 추출물을 농도별(100, 200, 400 ppm)로 처리하여 조사한 결과 PMA만 처리한 대조군은 MMP-1의 함량이 약 29.0 ng/ml로 증가하였으며, 병풀추출물을 100과 200 ppm 으로 전처리 후 PMA를 처리한 경우 MMP-1의 함량은 약 29.9, 29.6 29.0 ng/ml로 거의 동일한 수준이었으나 400 ppm을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0.01 ng/ml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Fig. 4A). 한편 병풀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Human dermal fibroblast (NHDF)세포를 사용하여 EZ-CyTox시약처리에 의한 NHDF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250 ppm 농도에서는 92.3%의 세포가 생존하여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500 ppm농도를 처리한 경우에는 세포 생존율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3.3%의 세포만 생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병풀 추출물의 세포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농도의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라는 사실을 암시하여 주는 것으로 이에 대한 보다 세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Fig. 4B).
The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of
병풀(
본 연구는 재단법인 경남한방약초연구소 자체과제로 수행하였습니다.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skin whitening effect of
The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of
Table 1 . List of microorganisms for antimicrobial activity test and culture condition.
Microorganisms | Temperature (°C) | Media | ATCC no. |
---|---|---|---|
37 | YMB | 11778 | |
37 | YMB | 10231 | |
37 | YMB | 27553 | |
37 | TSB | 6919 | |
37 | YMB | 25923 | |
37 | TSB | 12228 | |
37 | TSB | 19615 | |
37 | YMB | 17802 |
Hyo Seong Ji ・Gayeon Kim ・Min-A Ahn ・Jong-Wook Chung ・Tae Kyung Hyun
J Plant Biotechnol 2022; 49(1): 99-105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skin whitening effect of
The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