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Plant Biotechnol (2023) 50:200-206
Published online November 7, 2023
https://doi.org/10.5010/JPB.2023.50.025.200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강소담・임상휘・김주성
제주대학교 식물자원환경전공
Correspondence to : e-mail: aha2011@jejunu.ac.kr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pape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lthough softwoods are widely distributed in Korea and used in various industries, studies are limited and comparative research on softwoods has been overlook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four species of softwoods found in Korea was quantified. Needles and cones of Pinus densiflora, Chamaecyparis obtusa, Cryptomeria japonica, and Abies koreana were collected, and material was extracted using 70% methanol. We quantified the following physiological traits: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DPPH, TEAC, FRAP), and inhibitory activity of the enzymes α-glucosidase, elastase, and tyrosinas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high in Chamaecyparis obtusa and Cryptomeria japonica,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was highest in the leaves of Chamaecyparis obtusa.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 in the leaves and cones of Pinus densiflora and the cones of Abies koreana,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est in the leaves of Pinus densiflora. In Korea, softwoods are planted extensively on roadsides and as windbreaks, and they are highly competitive in supplying raw materials since they are pruned every yea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ftwoods are considered suitable for use in healthcare products, diabetes products, wrinkles, and whitening cosmetics.
Keywords Antioxidant activity, Elastase, Total phenol, Tyrosinase, α-Glucosidase
침엽수는 겉씨식물 중 구과식물에 속하는 나무로 바늘 모양의 잎을 가지고 있으며, 잎의 모양이 뾰족하기 때문에 가뭄에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Du et al. 2020). 독특한 향을 가지고 있어서 고급 목재로 이용되며, 성장이 빠르고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방풍림이나 건축 소재로의 활용성이 높다(Farjon 2018; Yang et al. 2019). 대표적인 침엽수로는 구상나무와 삼나무, 편백나무 및 소나무 등이 있으며, 다양한 테르페노이드 성분(isoprene, camphene, limonene 등)을 함유하고 있다(Kopaczyk et al. 2020).
구상나무(
삼나무(
편백나무(
소나무(
현재 우리나라의 산림면적은 전체 국토의 63.6%인 6,318,007 ha로, 이 중 침엽수가 약 37%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ang et al. 2019). 이처럼 침엽수는 우리나라 전 국토에 걸쳐서 넓게 분포하고 있고 식품, 목재, 화장품 등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개별 원료에 대해서만 집중되어 있고 침엽수 간의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구상나무와 삼나무, 편백나무 및 소나무의 잎과 구과를 70% 메탄올로 추출한 후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α-glucosidase, elastase, tyrosinase 저해활성 등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침엽수 간의 효능을 비교 분석할 수 있었으며, 실험결과를 정리하여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편백나무와 소나무, 삼나무는 제주대학교 캠퍼스 내에서 채취하였고 구상나무는 한라생태숲에서 채취하였다. 각 나무의 잎과 구과는 열풍건조기(PFC-P0-91, Nihon-freezer, Namyangju, Korea)를 사용하여 건조 후 분쇄하여 실험 시료로 사용하였다.
침엽수 시료를 각각 25 g씩 취하고 300 mL의 70% 메탄올을 가해 초음파세척기(POWERSONIC520, Hwashin Tech, Korea)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추출하였고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buchner funnel과 진공펌프를 가지달린 플라스크에 연결해 압력을 가하여 filter paper로 여과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이 용액을 회전식 감압농축기(Hei-VAP Precision, Heidolph, Schwabach, Germany)를 이용해 농축하였다. 농축액은 동결건조 후 농도별로 만들어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모든 과정은 3번 반복하였다.
총 페놀 함량의 측정은 Folin-Denis의 방법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Singleton et al. 1999). 침엽수 추출물 20 µL에 700 µL의 증류수를 혼합하고 folin ciocalteu를 100 µL씩 가한 후 암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이후 100 µL씩 20% sodium carbonate를 가하여 1시간 동안 정치한 뒤 750 nm에서 microplate reader (i-Mark 168-1135, Bio-Rad, USA)를 사용해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표준물질인 gallic acid를 기준으로 하여 표준검량곡선을 작성하여 gallic acid equivalent (GAE)로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Im과 Kim (2022b)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침엽수 추출물 100 µL에 300 µL의 에탄올과 20 µL의 10% aluminum nitrate, 20 µL 1M potassium acetate를 혼합하고 증류수 560 µL를 혼합액에 가해 1시간 정치하였다. 그 후 415 nm에서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해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표준물질인 quercetin을 이용해 표준검량곡선을 작성해 quercetin equivalent (QE)로 나타내었다.
침엽수 추출물의 1,1-dipheny1-2-picrylhydrazyl (DPPH) radical 소거능은 Im과 Kim (2022b)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암조건에서 메탄올에 용해시켜 농도가 0.15 mM인 DPPH 160 µL를 침엽수 추출물 40 µL과 혼합하여 3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490 nm의 파장에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RC50 값은 DPPH 농도를 50% 감소시키는 시료양을 기준으로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계산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추출물의 양성대조군으로 butylated hydroxytoluene (BHT)을 사용하여 DPPH radical 소거능을 비교하였다.
TEAC는 Im과 Kim (2022b)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2.45 mM potassium persulfate를 혼합하여 암소에서 24시간 동안 반응하여 ABTS radical을 생성시키고 실험에 사용하기 직전에 750 nm 파장에서 0.70 ± 0.02가 되도록 ABTS radical 용액에 증류수를 넣어 희석하였다. 그 다음 ABTS radical 혼합용액 200 µL와 각 추출물 10 µL를 혼합하여 5분간 반응하고 750 nm에서 microplate reader 사용해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Trolox를 표준물질로 이용해 표준검량곡선을 작성해 건조 시료 1 g당 trolox 농도(mM TE/g)로 나타내었다.
침엽수 추출물의 FRAP 측정은 Im과 Kim (2022b)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직전에 10:1:1 비율로 300 mM의 sodium acetate buffer (pH 3.6)와 20 mM의 FeCl3 그리고 10 mM의 2,4,6-tripyridyls-triazine (TPTZ)를 혼합하였고 그 후 37°C에서 15분간 반응시키고 595 nm에서 microplate reader를 통해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표준검량곡선은 FeSO4를 이용해 표준검량곡선을 작성하고 시료 1 g당 FeSO4의 환원력(mM FE/g)으로 나타내었다.
침엽수 추출물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Ko 등(2017)의 방법을 사용하여 α-D-glucopyranoside (
침엽수 추출물의 elastase 저해활성은 Ko 등(2018)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0 µL의 추출물에 50 mM Tris HCl buffer (pH 8.0) 120 µL를 가하고 elastase 10 µL와 1 mM N-succinyl-(Ala)3-p-nitroanilide 50 µL를 혼합하여 37°C의 incubator에서 20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415 nm에서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해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흡광도를 통해 추출물의 저해율을 구해 EIC50으로 나타내었으며 이는 elastase의 활성을 50% 저해하는데 필요한 샘플의 양을 나타낸 것이다.
침엽수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은 Ko 등(2017)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증류수, 5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6.5), 1 mM L-tyrosine을 9:10:10 비율로 섞은 혼합액 170 µL와 추출물 10 µL를 혼합한 후 1 KU/mL tyrosinase from mushroom 20 µL를 가하여 37°C incubator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490 nm에서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tyrosinase의 활성을 50% 저해하는데 필요한 샘플의 양인 TIC50으로 나타내었다.
침엽수에서의 총 페놀 함량은 97.59-222.72 mg GAE/g 범위에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4.19-65.77 mg QE/g 범위에서 측정되었다(Table 1). 침엽수 잎의 총 페놀 함량은 편백나무 잎에서 222.72 mg GAE/g으로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구상나무 잎에서 149.12 mg GAE/g으로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삼나무 잎과 소나무 잎에서는 각각 125.44 mg GAE/g, 115.64 mg GAE/g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구과에서는 잎과 마찬가지로 편백나무 구과에서 가장 높은 값인 162.91 mg GAE/g을 확인할 수 있었고, 삼나무 구과(140.37 mg GAE/g)에서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침엽수 잎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삼나무 잎에서 62.37 mg QE/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여주고 있고 그 다음으로는 편백나무 잎(55.17 mg QE/g), 구상나무 잎(46.29 mg QE/g), 소나무 잎(28.61 mg QE/g) 순서로 측정되었다. 구과의 경우 삼나무 구과에서 65.77 mg QE/g으로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고 편백나무 구과에서 24.19 mg QE/g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실험에서의 삼나무 잎과 구과는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총 페놀 함량과는 다르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여주고 있다(Im and Kim 2022a). 이는 다른 실험군에 비해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더 많이 추출된 것으로 생각되며, Kim 등(2017b)의 연구에서도 삼나무 메탄올 추출물에는 플라보노이드 구조를 가진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편백나무 구과는 총 페놀 함량에서 매우 높았지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실험에서는 가장 낮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편백나무 구과에 함유된 페놀 화합물은 다른 실험군 보다 비플라보노이드 계열 성분이 많이 들어있는 것으로 보이며 추후 연구에서 HPLC를 이용한 성분 함량 비교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1 .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mean ± SD) of the needles and cones of four species of softwood
Groups | Total phenol (mg GAE/g)z | Total flavonoid (mg QE/g)x | |
---|---|---|---|
Needles | 115.64 ± 11.66e | 28.61 ± 2.16e | |
222.72 ± 6.88a | 55.17 ± 1.24b | ||
149.12 ± 9.13bc | 46.29 ± 2.33c | ||
125.44 ± 5.74de | 62.37 ± 2.23a | ||
Cones | 98.24 ± 6.71f | 39.18 ±3.71d | |
162.91 ± 6.35b | 24.19 ± 1.28e | ||
97.59 ± 6.56f | 50.11 ± 3.70bc | ||
140.37 ± 8.96cd | 65.77 ± 2.81a |
Letters (a-f) in the same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ecies at
zTotal phenol content analyzed as milligrams of gallic acid equivalent (GAE) per gram of extract.
xTotal flavonoid content analyzed as milligrams of quercetin equivalent (QE) per gram of extract.
DPPH, TEAC, FRAP, ORAC 실험을 진행하여 침엽수 잎과 구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Table 2에 나타내었다. DPPH 실험은 침엽수 잎과 구과의 DPPH radical을 50% 저해하는데 필요한 농도인 RC50 값으로 표기하였다. 잎에서는 편백나무 잎에서 56.32 µg/mL로 가장 높은 활성이 확인되었고, 소나무 잎에서 저해활성이 가장 낮은 87.11 µg/mL으로 나타났다. 구과에서는 편백나무 구과에서 63.98 µg/mL로 가장 높은 활성이 확인되었고, 구상나무 구과에서 저해활성이 가장 낮은 109.85 µg/mL으로 나타났다. 모든 추출물에서 양성대조군인 BHT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고, 그 중 편백나무가 가장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TEAC 실험은 편백나무가 잎에서는 373.94 mM TE/g, 구과에서는 354.84 mM TE/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FRAP 실험은 앞선 실험과 마찬가지로 편백나무 잎과 구과에서 각각 1325.35 mM FeSO4/g, 1068.82 mM FeSO4/g으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삼나무 잎과 구과에서는 874.14 mM FeSO4/g, 947.13 mM FeSO4/g으로 편백나무 다음으로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실험 결과는 편백나무와 삼나무에서 라디칼 저해활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총 페놀 함량과도 일치한다. 대체로 총 페놀 함량의 경향성은 항산화 실험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본 실험에서도 항산화 활성에 페놀성 화합물이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Im and Kim 2022a). 또한 편백나무 구과의 경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가장 낮게 측정되었지만 항산화 활성은 매우 높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항산화 활성에 영향을 주는 비플라노보이드 계열 성분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Table 2 . Antioxidant activity (mean ± SD) of the needles and cones of four species of softwood
Groups | DPPH (RC50: µg/mL)z | TEAC (mM TE/g)x | FRAP (mM FeSO4/g)y | |
---|---|---|---|---|
Needles | 87.11 ± 4.97b | 208.50 ± 7.30cd | 806.10 ± 17.30e | |
56.32 ± 5.76c | 373.94 ± 11.94a | 1325.35 ± 30.12a | ||
85.25 ± 4.91b | 239.11 ± 13.10c | 596.63 ± 18.57f | ||
80.68 ± 5.18b | 242.31 ± 12.41c | 874.14 ± 15.31d | ||
Cones | 106.24 ± 7.12a | 172.93 ± 26.65d | 523.03 ± 16.54g | |
63.98 ± 1.13c | 354.84 ± 26.79a | 1068.82 ± 24.29b | ||
109.85 ± 4.28a | 184.02 ± 23.17d | 456.39 ± 19.51h | ||
87.55 ± 3.81b | 282.02 ± 6.22b | 947.13 ± 40.10c | ||
Positive control | Butylated hydroxytoluene | 281.43 ± 1.94a |
Letters (a-h) in the same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ecies at
zAmount required for a 50% reduction in DPPH free radicals.
xTEAC analyzed as millimoles of trolox equivalent (TE) per gram of extract.
yFRAP analyzed as millimoles of ferrous sulfate equivalent (FeSO4) per gram of extract.
α-Glucosidase는 다당류의 탄수화물을 단당류로 분해하는 소화와 흡수에 필수적인 효소로써 소장점막의 미세융모막에 존재하며 경구혈당강하제로 사용되고 있다(Kim et al. 2011a). 침엽수의 잎과 구과 추출물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Table 3과 같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62.70-872.28 µg/mL의 범위로 소나무 잎과 편백나무 구과, 삼나무 구과를 제외한 모든 추출물에서 혈당강하제로 사용되는 acarbose (679.09 µg/mL)의 저해활성보다 높거나 비슷한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Table 3 . Inhibitory activity (mean ± SD) of the enzymes, α-glucosidase, elastase, and tyrosinase, in the needles and cones of four species of softwood
Groups | GIC50z (µg/mL) | EIC50x (µg/mL) | TIC50y (µg/mL) | |
---|---|---|---|---|
Needles | 745.33 ± 18.73de | 48.86 ± 17.56ab | 0.66 ± 0.03ab | |
62.70 ± 4.27a | 261.71 ± 19.89d | 2.13 ± 0.18de | ||
481.70 ± 23.45c | 1070.04 ± 41.43e | 2.47 ± 0.65e | ||
288.85 ± 12.43b | 260.36 ± 6.17d | 1.55 ± 0.15cd | ||
Cones | 676.63 ± 29.40d | 85.10 ± 10.73bc | 1.32 ± 0.35c | |
804.15 ± 35.42de | 235.69 ± 17.39d | 1.03 ± 0.06bc | ||
253.84 ± 6.09b | 90.40 ± 20.99bc | 1.55 ± 0.15cd | ||
872.28 ± 29.50e | 103.47 ± 1.33c | 1.08 ± 0.34bc | ||
Positive control | Acarbose | 679.09 ± 23.70f | - | - |
Ursolic acid | - | 31.79 ± 0.65a | - | |
Arbutin | - | - | 0.12 ± 0.02a |
Letters (a-f) in the same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ecies at
zGIC50: Concentration required to exert an inhibitory capacity of 50% of α-glucosidase.
xEIC50: Concentration required to exert an inhibitory capacity of 50% of elastase.
yTIC50: Concentration required to exert an inhibitory capacity of 50% of tyrosinase.
특히 편백나무 잎(62.70 µg/mL)에서 가장 높은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는 구상나무 구과(253.84 µg/mL)와 삼나무 잎(288.85 µg/mL)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Lee 등(2012)의 연구에서 편백나무 잎의 성분으로 taxifolin이 분리되었으며, taxifolin은 α-glucosidase에 대해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에 이러한 이유로 편백나무 잎의 활성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사료된다(Kwon et al. 2017; Liu et al. 2017). 본 실험에서 편백나무와 삼나무 모두 매우 높은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확인되었으므로 항당뇨 제품의 원료로서의 활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
침엽수 잎과 구과의 elastase 저해활성은 Table 3과 같다. Elastase 저해활성은 48.86-1,070.04 µg/mL의 범위로 나타났다. 잎 부위에서는 소나무 잎(48.86 µg/mL)이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ursolic acid (31.79 µg/mL)와 비슷한 저해활성을 보여주고 있다. 소나무 잎에는 elastase 효소를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α-pinene, limonene 성분이 다량 들어있으며, 본 실험에서도 이러한 성분이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Kim and Shin 2005; Kim et al. 2010). 소나무 잎 다음으로는 편백나무 잎과 삼나무 잎에서 각각 261.71 µg/mL, 260.36 µg/mL으로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구상나무 잎에서는 1,070.04 µg/mL으로 저해활성이 가장 낮게 확인되었다. 구과 부위에서는 소나무 구과와 구상나무 구과에서 각각 85.10 µg/mL, 90.40 µg/mL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통해 주름 개선 화장품의 원료로 이용될 수 있는 소나무 잎과 구과, 구상나무 구과에 대한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침엽수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Table 3과 같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0.66-2.47 µg/mL의 범위로 나타났다. 잎의 경우 소나무 잎의 활성이 0.66 µg/mL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는 삼나무 잎(1.55 µg/mL), 편백나무 잎(2.13 µg/mL), 구상나무 잎(2.47 µg/mL) 순서로 나타났다. 구과에서는 각 샘플 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편백나무 구과와 삼나무 구과가 각각 1.03 µg/mL, 1.08 µg/mL으로 높게 나타났고, 소나무 구과(1.32 µg/mL), 구상나무 구과(1.55 µg/mL) 순서로 확인되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소나무 잎이 가장 높았지만 소나무 구과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점을 감안했을 때 소나무 구과보다 소나무 잎에 많이 들어있는 성분이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소나무 잎에 다량 들어있다고 알려진 α-pinene 성분은 tyrosinase를 저해하는데 강력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 최근 연구에서 밝혀졌고, 소나무 구과에 비해 소나무 잎이 2배 가량 높게 함유하고 있으며 본 실험에서도 저해활성이 약 2배 가량 차이가 나고 있다(Chao et al. 2017; Hwang et al. 1995). 이러한 점을 감안했을 때 소나무 잎의 tyrosinase 저해활성에는 α-pinene 성분이 깊게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침엽수는 국내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산업계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한정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침엽수 간의 비교 분석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분포하는 침엽수 4종을 선정한 후 생리활성을 측정하여 침엽수 간의 효능을 비교하였다. 실험에 앞서 소나무, 편백나무, 삼나무, 구상나무의 잎과 구과를 채취하였고 70% 메탄올로 추출하였다. 실험은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DPPH, TEAC, FRAP), α-glucosidase, elastase, tyrosinase 효소 저해 활성을 진행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에서는 편백나무와 삼나무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에서는 편백나무 잎의 활성이 가장 높아 항당뇨 제품으로의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Elastase 저해활성에서는 소나무 잎과 구과, 구상나무 구과에서 높게 나타나 주름개선 화장품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미백실험인 tyrosinase 저해활성에서는 소나무 잎에서 활성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우리나라는 침엽수를 가로수와 방풍림 조성 등의 목적으로 대량 식재하고 있고, 매년 가지치기 작업을 해주기 때문에 원료 수급에 있어서 경쟁력이 높은 편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제품, 당뇨 제품, 주름 및 미백 화장품 등으로 개발하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J Plant Biotechnol 2023; 50(1): 200-206
Published online November 7, 2023 https://doi.org/10.5010/JPB.2023.50.025.200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강소담・임상휘・김주성
제주대학교 식물자원환경전공
Sodam Kang・Sang Hwi Im・Ju-Sung Kim
(Major in Plant Resource and Environment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63243, Korea)
Correspondence to:e-mail: aha2011@jejunu.ac.kr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pape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lthough softwoods are widely distributed in Korea and used in various industries, studies are limited and comparative research on softwoods has been overlook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four species of softwoods found in Korea was quantified. Needles and cones of Pinus densiflora, Chamaecyparis obtusa, Cryptomeria japonica, and Abies koreana were collected, and material was extracted using 70% methanol. We quantified the following physiological traits: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DPPH, TEAC, FRAP), and inhibitory activity of the enzymes α-glucosidase, elastase, and tyrosinas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high in Chamaecyparis obtusa and Cryptomeria japonica,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was highest in the leaves of Chamaecyparis obtusa.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 in the leaves and cones of Pinus densiflora and the cones of Abies koreana,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est in the leaves of Pinus densiflora. In Korea, softwoods are planted extensively on roadsides and as windbreaks, and they are highly competitive in supplying raw materials since they are pruned every yea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ftwoods are considered suitable for use in healthcare products, diabetes products, wrinkles, and whitening cosmetics.
Keywords: Antioxidant activity, Elastase, Total phenol, Tyrosinase, &alpha,-Glucosidase
침엽수는 겉씨식물 중 구과식물에 속하는 나무로 바늘 모양의 잎을 가지고 있으며, 잎의 모양이 뾰족하기 때문에 가뭄에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Du et al. 2020). 독특한 향을 가지고 있어서 고급 목재로 이용되며, 성장이 빠르고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방풍림이나 건축 소재로의 활용성이 높다(Farjon 2018; Yang et al. 2019). 대표적인 침엽수로는 구상나무와 삼나무, 편백나무 및 소나무 등이 있으며, 다양한 테르페노이드 성분(isoprene, camphene, limonene 등)을 함유하고 있다(Kopaczyk et al. 2020).
구상나무(
삼나무(
편백나무(
소나무(
현재 우리나라의 산림면적은 전체 국토의 63.6%인 6,318,007 ha로, 이 중 침엽수가 약 37%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ang et al. 2019). 이처럼 침엽수는 우리나라 전 국토에 걸쳐서 넓게 분포하고 있고 식품, 목재, 화장품 등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개별 원료에 대해서만 집중되어 있고 침엽수 간의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구상나무와 삼나무, 편백나무 및 소나무의 잎과 구과를 70% 메탄올로 추출한 후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α-glucosidase, elastase, tyrosinase 저해활성 등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침엽수 간의 효능을 비교 분석할 수 있었으며, 실험결과를 정리하여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편백나무와 소나무, 삼나무는 제주대학교 캠퍼스 내에서 채취하였고 구상나무는 한라생태숲에서 채취하였다. 각 나무의 잎과 구과는 열풍건조기(PFC-P0-91, Nihon-freezer, Namyangju, Korea)를 사용하여 건조 후 분쇄하여 실험 시료로 사용하였다.
침엽수 시료를 각각 25 g씩 취하고 300 mL의 70% 메탄올을 가해 초음파세척기(POWERSONIC520, Hwashin Tech, Korea)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추출하였고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buchner funnel과 진공펌프를 가지달린 플라스크에 연결해 압력을 가하여 filter paper로 여과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이 용액을 회전식 감압농축기(Hei-VAP Precision, Heidolph, Schwabach, Germany)를 이용해 농축하였다. 농축액은 동결건조 후 농도별로 만들어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모든 과정은 3번 반복하였다.
총 페놀 함량의 측정은 Folin-Denis의 방법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Singleton et al. 1999). 침엽수 추출물 20 µL에 700 µL의 증류수를 혼합하고 folin ciocalteu를 100 µL씩 가한 후 암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이후 100 µL씩 20% sodium carbonate를 가하여 1시간 동안 정치한 뒤 750 nm에서 microplate reader (i-Mark 168-1135, Bio-Rad, USA)를 사용해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표준물질인 gallic acid를 기준으로 하여 표준검량곡선을 작성하여 gallic acid equivalent (GAE)로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Im과 Kim (2022b)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침엽수 추출물 100 µL에 300 µL의 에탄올과 20 µL의 10% aluminum nitrate, 20 µL 1M potassium acetate를 혼합하고 증류수 560 µL를 혼합액에 가해 1시간 정치하였다. 그 후 415 nm에서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해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표준물질인 quercetin을 이용해 표준검량곡선을 작성해 quercetin equivalent (QE)로 나타내었다.
침엽수 추출물의 1,1-dipheny1-2-picrylhydrazyl (DPPH) radical 소거능은 Im과 Kim (2022b)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암조건에서 메탄올에 용해시켜 농도가 0.15 mM인 DPPH 160 µL를 침엽수 추출물 40 µL과 혼합하여 3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490 nm의 파장에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RC50 값은 DPPH 농도를 50% 감소시키는 시료양을 기준으로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계산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추출물의 양성대조군으로 butylated hydroxytoluene (BHT)을 사용하여 DPPH radical 소거능을 비교하였다.
TEAC는 Im과 Kim (2022b)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2.45 mM potassium persulfate를 혼합하여 암소에서 24시간 동안 반응하여 ABTS radical을 생성시키고 실험에 사용하기 직전에 750 nm 파장에서 0.70 ± 0.02가 되도록 ABTS radical 용액에 증류수를 넣어 희석하였다. 그 다음 ABTS radical 혼합용액 200 µL와 각 추출물 10 µL를 혼합하여 5분간 반응하고 750 nm에서 microplate reader 사용해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Trolox를 표준물질로 이용해 표준검량곡선을 작성해 건조 시료 1 g당 trolox 농도(mM TE/g)로 나타내었다.
침엽수 추출물의 FRAP 측정은 Im과 Kim (2022b)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직전에 10:1:1 비율로 300 mM의 sodium acetate buffer (pH 3.6)와 20 mM의 FeCl3 그리고 10 mM의 2,4,6-tripyridyls-triazine (TPTZ)를 혼합하였고 그 후 37°C에서 15분간 반응시키고 595 nm에서 microplate reader를 통해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표준검량곡선은 FeSO4를 이용해 표준검량곡선을 작성하고 시료 1 g당 FeSO4의 환원력(mM FE/g)으로 나타내었다.
침엽수 추출물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Ko 등(2017)의 방법을 사용하여 α-D-glucopyranoside (
침엽수 추출물의 elastase 저해활성은 Ko 등(2018)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0 µL의 추출물에 50 mM Tris HCl buffer (pH 8.0) 120 µL를 가하고 elastase 10 µL와 1 mM N-succinyl-(Ala)3-p-nitroanilide 50 µL를 혼합하여 37°C의 incubator에서 20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415 nm에서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해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흡광도를 통해 추출물의 저해율을 구해 EIC50으로 나타내었으며 이는 elastase의 활성을 50% 저해하는데 필요한 샘플의 양을 나타낸 것이다.
침엽수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은 Ko 등(2017)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증류수, 5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6.5), 1 mM L-tyrosine을 9:10:10 비율로 섞은 혼합액 170 µL와 추출물 10 µL를 혼합한 후 1 KU/mL tyrosinase from mushroom 20 µL를 가하여 37°C incubator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490 nm에서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tyrosinase의 활성을 50% 저해하는데 필요한 샘플의 양인 TIC50으로 나타내었다.
침엽수에서의 총 페놀 함량은 97.59-222.72 mg GAE/g 범위에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4.19-65.77 mg QE/g 범위에서 측정되었다(Table 1). 침엽수 잎의 총 페놀 함량은 편백나무 잎에서 222.72 mg GAE/g으로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구상나무 잎에서 149.12 mg GAE/g으로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삼나무 잎과 소나무 잎에서는 각각 125.44 mg GAE/g, 115.64 mg GAE/g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구과에서는 잎과 마찬가지로 편백나무 구과에서 가장 높은 값인 162.91 mg GAE/g을 확인할 수 있었고, 삼나무 구과(140.37 mg GAE/g)에서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침엽수 잎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삼나무 잎에서 62.37 mg QE/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여주고 있고 그 다음으로는 편백나무 잎(55.17 mg QE/g), 구상나무 잎(46.29 mg QE/g), 소나무 잎(28.61 mg QE/g) 순서로 측정되었다. 구과의 경우 삼나무 구과에서 65.77 mg QE/g으로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고 편백나무 구과에서 24.19 mg QE/g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실험에서의 삼나무 잎과 구과는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총 페놀 함량과는 다르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여주고 있다(Im and Kim 2022a). 이는 다른 실험군에 비해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더 많이 추출된 것으로 생각되며, Kim 등(2017b)의 연구에서도 삼나무 메탄올 추출물에는 플라보노이드 구조를 가진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편백나무 구과는 총 페놀 함량에서 매우 높았지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실험에서는 가장 낮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편백나무 구과에 함유된 페놀 화합물은 다른 실험군 보다 비플라보노이드 계열 성분이 많이 들어있는 것으로 보이며 추후 연구에서 HPLC를 이용한 성분 함량 비교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1 .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mean ± SD) of the needles and cones of four species of softwood.
Groups | Total phenol (mg GAE/g)z | Total flavonoid (mg QE/g)x | |
---|---|---|---|
Needles | 115.64 ± 11.66e | 28.61 ± 2.16e | |
222.72 ± 6.88a | 55.17 ± 1.24b | ||
149.12 ± 9.13bc | 46.29 ± 2.33c | ||
125.44 ± 5.74de | 62.37 ± 2.23a | ||
Cones | 98.24 ± 6.71f | 39.18 ±3.71d | |
162.91 ± 6.35b | 24.19 ± 1.28e | ||
97.59 ± 6.56f | 50.11 ± 3.70bc | ||
140.37 ± 8.96cd | 65.77 ± 2.81a |
Letters (a-f) in the same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ecies at
zTotal phenol content analyzed as milligrams of gallic acid equivalent (GAE) per gram of extract..
xTotal flavonoid content analyzed as milligrams of quercetin equivalent (QE) per gram of extract..
DPPH, TEAC, FRAP, ORAC 실험을 진행하여 침엽수 잎과 구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Table 2에 나타내었다. DPPH 실험은 침엽수 잎과 구과의 DPPH radical을 50% 저해하는데 필요한 농도인 RC50 값으로 표기하였다. 잎에서는 편백나무 잎에서 56.32 µg/mL로 가장 높은 활성이 확인되었고, 소나무 잎에서 저해활성이 가장 낮은 87.11 µg/mL으로 나타났다. 구과에서는 편백나무 구과에서 63.98 µg/mL로 가장 높은 활성이 확인되었고, 구상나무 구과에서 저해활성이 가장 낮은 109.85 µg/mL으로 나타났다. 모든 추출물에서 양성대조군인 BHT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고, 그 중 편백나무가 가장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TEAC 실험은 편백나무가 잎에서는 373.94 mM TE/g, 구과에서는 354.84 mM TE/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FRAP 실험은 앞선 실험과 마찬가지로 편백나무 잎과 구과에서 각각 1325.35 mM FeSO4/g, 1068.82 mM FeSO4/g으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삼나무 잎과 구과에서는 874.14 mM FeSO4/g, 947.13 mM FeSO4/g으로 편백나무 다음으로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실험 결과는 편백나무와 삼나무에서 라디칼 저해활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총 페놀 함량과도 일치한다. 대체로 총 페놀 함량의 경향성은 항산화 실험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본 실험에서도 항산화 활성에 페놀성 화합물이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Im and Kim 2022a). 또한 편백나무 구과의 경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가장 낮게 측정되었지만 항산화 활성은 매우 높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항산화 활성에 영향을 주는 비플라노보이드 계열 성분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Table 2 . Antioxidant activity (mean ± SD) of the needles and cones of four species of softwood.
Groups | DPPH (RC50: µg/mL)z | TEAC (mM TE/g)x | FRAP (mM FeSO4/g)y | |
---|---|---|---|---|
Needles | 87.11 ± 4.97b | 208.50 ± 7.30cd | 806.10 ± 17.30e | |
56.32 ± 5.76c | 373.94 ± 11.94a | 1325.35 ± 30.12a | ||
85.25 ± 4.91b | 239.11 ± 13.10c | 596.63 ± 18.57f | ||
80.68 ± 5.18b | 242.31 ± 12.41c | 874.14 ± 15.31d | ||
Cones | 106.24 ± 7.12a | 172.93 ± 26.65d | 523.03 ± 16.54g | |
63.98 ± 1.13c | 354.84 ± 26.79a | 1068.82 ± 24.29b | ||
109.85 ± 4.28a | 184.02 ± 23.17d | 456.39 ± 19.51h | ||
87.55 ± 3.81b | 282.02 ± 6.22b | 947.13 ± 40.10c | ||
Positive control | Butylated hydroxytoluene | 281.43 ± 1.94a |
Letters (a-h) in the same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ecies at
zAmount required for a 50% reduction in DPPH free radicals..
xTEAC analyzed as millimoles of trolox equivalent (TE) per gram of extract..
yFRAP analyzed as millimoles of ferrous sulfate equivalent (FeSO4) per gram of extract..
α-Glucosidase는 다당류의 탄수화물을 단당류로 분해하는 소화와 흡수에 필수적인 효소로써 소장점막의 미세융모막에 존재하며 경구혈당강하제로 사용되고 있다(Kim et al. 2011a). 침엽수의 잎과 구과 추출물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Table 3과 같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62.70-872.28 µg/mL의 범위로 소나무 잎과 편백나무 구과, 삼나무 구과를 제외한 모든 추출물에서 혈당강하제로 사용되는 acarbose (679.09 µg/mL)의 저해활성보다 높거나 비슷한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Table 3 . Inhibitory activity (mean ± SD) of the enzymes, α-glucosidase, elastase, and tyrosinase, in the needles and cones of four species of softwood.
Groups | GIC50z (µg/mL) | EIC50x (µg/mL) | TIC50y (µg/mL) | |
---|---|---|---|---|
Needles | 745.33 ± 18.73de | 48.86 ± 17.56ab | 0.66 ± 0.03ab | |
62.70 ± 4.27a | 261.71 ± 19.89d | 2.13 ± 0.18de | ||
481.70 ± 23.45c | 1070.04 ± 41.43e | 2.47 ± 0.65e | ||
288.85 ± 12.43b | 260.36 ± 6.17d | 1.55 ± 0.15cd | ||
Cones | 676.63 ± 29.40d | 85.10 ± 10.73bc | 1.32 ± 0.35c | |
804.15 ± 35.42de | 235.69 ± 17.39d | 1.03 ± 0.06bc | ||
253.84 ± 6.09b | 90.40 ± 20.99bc | 1.55 ± 0.15cd | ||
872.28 ± 29.50e | 103.47 ± 1.33c | 1.08 ± 0.34bc | ||
Positive control | Acarbose | 679.09 ± 23.70f | - | - |
Ursolic acid | - | 31.79 ± 0.65a | - | |
Arbutin | - | - | 0.12 ± 0.02a |
Letters (a-f) in the same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ecies at
zGIC50: Concentration required to exert an inhibitory capacity of 50% of α-glucosidase..
xEIC50: Concentration required to exert an inhibitory capacity of 50% of elastase..
yTIC50: Concentration required to exert an inhibitory capacity of 50% of tyrosinase..
특히 편백나무 잎(62.70 µg/mL)에서 가장 높은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는 구상나무 구과(253.84 µg/mL)와 삼나무 잎(288.85 µg/mL)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Lee 등(2012)의 연구에서 편백나무 잎의 성분으로 taxifolin이 분리되었으며, taxifolin은 α-glucosidase에 대해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에 이러한 이유로 편백나무 잎의 활성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사료된다(Kwon et al. 2017; Liu et al. 2017). 본 실험에서 편백나무와 삼나무 모두 매우 높은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확인되었으므로 항당뇨 제품의 원료로서의 활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
침엽수 잎과 구과의 elastase 저해활성은 Table 3과 같다. Elastase 저해활성은 48.86-1,070.04 µg/mL의 범위로 나타났다. 잎 부위에서는 소나무 잎(48.86 µg/mL)이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ursolic acid (31.79 µg/mL)와 비슷한 저해활성을 보여주고 있다. 소나무 잎에는 elastase 효소를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α-pinene, limonene 성분이 다량 들어있으며, 본 실험에서도 이러한 성분이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Kim and Shin 2005; Kim et al. 2010). 소나무 잎 다음으로는 편백나무 잎과 삼나무 잎에서 각각 261.71 µg/mL, 260.36 µg/mL으로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구상나무 잎에서는 1,070.04 µg/mL으로 저해활성이 가장 낮게 확인되었다. 구과 부위에서는 소나무 구과와 구상나무 구과에서 각각 85.10 µg/mL, 90.40 µg/mL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통해 주름 개선 화장품의 원료로 이용될 수 있는 소나무 잎과 구과, 구상나무 구과에 대한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침엽수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Table 3과 같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0.66-2.47 µg/mL의 범위로 나타났다. 잎의 경우 소나무 잎의 활성이 0.66 µg/mL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는 삼나무 잎(1.55 µg/mL), 편백나무 잎(2.13 µg/mL), 구상나무 잎(2.47 µg/mL) 순서로 나타났다. 구과에서는 각 샘플 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편백나무 구과와 삼나무 구과가 각각 1.03 µg/mL, 1.08 µg/mL으로 높게 나타났고, 소나무 구과(1.32 µg/mL), 구상나무 구과(1.55 µg/mL) 순서로 확인되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소나무 잎이 가장 높았지만 소나무 구과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점을 감안했을 때 소나무 구과보다 소나무 잎에 많이 들어있는 성분이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소나무 잎에 다량 들어있다고 알려진 α-pinene 성분은 tyrosinase를 저해하는데 강력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 최근 연구에서 밝혀졌고, 소나무 구과에 비해 소나무 잎이 2배 가량 높게 함유하고 있으며 본 실험에서도 저해활성이 약 2배 가량 차이가 나고 있다(Chao et al. 2017; Hwang et al. 1995). 이러한 점을 감안했을 때 소나무 잎의 tyrosinase 저해활성에는 α-pinene 성분이 깊게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침엽수는 국내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산업계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한정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침엽수 간의 비교 분석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분포하는 침엽수 4종을 선정한 후 생리활성을 측정하여 침엽수 간의 효능을 비교하였다. 실험에 앞서 소나무, 편백나무, 삼나무, 구상나무의 잎과 구과를 채취하였고 70% 메탄올로 추출하였다. 실험은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DPPH, TEAC, FRAP), α-glucosidase, elastase, tyrosinase 효소 저해 활성을 진행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에서는 편백나무와 삼나무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에서는 편백나무 잎의 활성이 가장 높아 항당뇨 제품으로의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Elastase 저해활성에서는 소나무 잎과 구과, 구상나무 구과에서 높게 나타나 주름개선 화장품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미백실험인 tyrosinase 저해활성에서는 소나무 잎에서 활성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우리나라는 침엽수를 가로수와 방풍림 조성 등의 목적으로 대량 식재하고 있고, 매년 가지치기 작업을 해주기 때문에 원료 수급에 있어서 경쟁력이 높은 편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제품, 당뇨 제품, 주름 및 미백 화장품 등으로 개발하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2023학년도 제주대학교 교원성과지원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습니다.
Table 1 .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mean ± SD) of the needles and cones of four species of softwood.
Groups | Total phenol (mg GAE/g)z | Total flavonoid (mg QE/g)x | |
---|---|---|---|
Needles | 115.64 ± 11.66e | 28.61 ± 2.16e | |
222.72 ± 6.88a | 55.17 ± 1.24b | ||
149.12 ± 9.13bc | 46.29 ± 2.33c | ||
125.44 ± 5.74de | 62.37 ± 2.23a | ||
Cones | 98.24 ± 6.71f | 39.18 ±3.71d | |
162.91 ± 6.35b | 24.19 ± 1.28e | ||
97.59 ± 6.56f | 50.11 ± 3.70bc | ||
140.37 ± 8.96cd | 65.77 ± 2.81a |
Letters (a-f) in the same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ecies at
zTotal phenol content analyzed as milligrams of gallic acid equivalent (GAE) per gram of extract..
xTotal flavonoid content analyzed as milligrams of quercetin equivalent (QE) per gram of extract..
Table 2 . Antioxidant activity (mean ± SD) of the needles and cones of four species of softwood.
Groups | DPPH (RC50: µg/mL)z | TEAC (mM TE/g)x | FRAP (mM FeSO4/g)y | |
---|---|---|---|---|
Needles | 87.11 ± 4.97b | 208.50 ± 7.30cd | 806.10 ± 17.30e | |
56.32 ± 5.76c | 373.94 ± 11.94a | 1325.35 ± 30.12a | ||
85.25 ± 4.91b | 239.11 ± 13.10c | 596.63 ± 18.57f | ||
80.68 ± 5.18b | 242.31 ± 12.41c | 874.14 ± 15.31d | ||
Cones | 106.24 ± 7.12a | 172.93 ± 26.65d | 523.03 ± 16.54g | |
63.98 ± 1.13c | 354.84 ± 26.79a | 1068.82 ± 24.29b | ||
109.85 ± 4.28a | 184.02 ± 23.17d | 456.39 ± 19.51h | ||
87.55 ± 3.81b | 282.02 ± 6.22b | 947.13 ± 40.10c | ||
Positive control | Butylated hydroxytoluene | 281.43 ± 1.94a |
Letters (a-h) in the same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ecies at
zAmount required for a 50% reduction in DPPH free radicals..
xTEAC analyzed as millimoles of trolox equivalent (TE) per gram of extract..
yFRAP analyzed as millimoles of ferrous sulfate equivalent (FeSO4) per gram of extract..
Table 3 . Inhibitory activity (mean ± SD) of the enzymes, α-glucosidase, elastase, and tyrosinase, in the needles and cones of four species of softwood.
Groups | GIC50z (µg/mL) | EIC50x (µg/mL) | TIC50y (µg/mL) | |
---|---|---|---|---|
Needles | 745.33 ± 18.73de | 48.86 ± 17.56ab | 0.66 ± 0.03ab | |
62.70 ± 4.27a | 261.71 ± 19.89d | 2.13 ± 0.18de | ||
481.70 ± 23.45c | 1070.04 ± 41.43e | 2.47 ± 0.65e | ||
288.85 ± 12.43b | 260.36 ± 6.17d | 1.55 ± 0.15cd | ||
Cones | 676.63 ± 29.40d | 85.10 ± 10.73bc | 1.32 ± 0.35c | |
804.15 ± 35.42de | 235.69 ± 17.39d | 1.03 ± 0.06bc | ||
253.84 ± 6.09b | 90.40 ± 20.99bc | 1.55 ± 0.15cd | ||
872.28 ± 29.50e | 103.47 ± 1.33c | 1.08 ± 0.34bc | ||
Positive control | Acarbose | 679.09 ± 23.70f | - | - |
Ursolic acid | - | 31.79 ± 0.65a | - | |
Arbutin | - | - | 0.12 ± 0.02a |
Letters (a-f) in the same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ecies at
zGIC50: Concentration required to exert an inhibitory capacity of 50% of α-glucosidase..
xEIC50: Concentration required to exert an inhibitory capacity of 50% of elastase..
yTIC50: Concentration required to exert an inhibitory capacity of 50% of tyrosinase..
Won Tae Yang, Kyoung Sook Kim, Yong Sham Kwon, Du Hyun Kim, and Doh Hoon Kim
J Plant Biotechnol 2016; 43(4): 492-499Tran Thi Phuong Nhung・Le Pham Tan Quoc
J Plant Biotechnol 2024; 51(1): 11-23Sung-Chul Park ・Su Hyun Park ・Soyoung Kim・Yu Jeong Jeong・Cha Young Kim・Jae Cheol Jeong
J Plant Biotechnol 2022; 49(3): 187-192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