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5; 42(4): 312-325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5
https://doi.org/10.5010/JPB.2015.42.4.312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조강희, 권정현, 김세희, 전지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Correspondence to : J. H. Jun e-mail: jun0810@korea.kr
In this review, we summarized the trends of genomics and transcriptomics research on peach, a model species of
Keywords Peach, Genome, Transcriptome, Molecular breeding
복숭아는 장미과(Rosaceae)
또한 복숭아를 포함한 핵과류(자두, 살구, 체리, 아몬드 등) 작목은 종간교잡을 통해 다양한 유전적 변이를 가진 후대의 양성이 가능하여 지난 20년 동안 복숭아를 모델식물로 이용하여 핵과류와 장미과 과수의 분자마커 개발, 유전자 및 물리지도 작성, 비교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활용, 전체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에서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유전체 연구의 기초 기반 및 응용 가능한 연구 전반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분자마커를 이용한 복숭아의 유전자지도는 1994년 처음 발표되었는데, NC174RL과 ‘Pillar’를 교배해서 얻은 F2 집단을 이용하여 83개의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마커, 1개의 동위효소(isozyme), 4개의 표현형질을 분석하였다(Chaparro et al. 1994). 하지만 이 지도는 연관그룹이 실제 염색체 수와 다른 15개로 분리되었으며, 재현성이 낮은 RAPD 마커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이후에 작성된 유전자지도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후에 발표된 유전자지도는 46개의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12개의 RAPD, 7개의 형태형질 마커를 분석한 것으로 복숭아 ‘New Jersey Pillar’와 KV 7711946를 교배하여 얻은 F2 집단을 이용한 것이다(Rajapakse et al. 1995). 이 지도는 유전자좌(loci)의 25%가 연관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었으나, 복숭아 염색체 수와 같은 8개의 연관그룹을 작성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복숭아 유전자지도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문제점 중에 하나는 유전적 다양성이 떨어진다는 것인데, 특히 복숭아는
Table 1 Peach intra- and inter- specific linkage maps
Population | Type | Marker # | No. linkage group | Map size (cM) | References |
---|---|---|---|---|---|
Weeping clone 1:55 × ‘Early Summergrand’ | F2 | 52 | 8 | 350 | Dirlewanger and Bodo (1994) |
NC174RL × ‘Pillar’ | F2 | 88 | 15 | 396 | Chaparro et al. (1994) |
‘New Jersey Pillar’ × ‘KV77119’ | F2 | 58 | 13 | 540 | Rajapakse et al. (1995); Abbott et al. (1998); Sosinski et al. (2000) |
‘Suncrest’ × ‘Bailey’ | F2 | 147 | 23 | 926 | Abbott et al. (1998); Sosinski et al. (2000) |
‘Lovell’ × ‘Nemared’ | F2 | 153 | 15 | 1,300 | Abbott et al. (1998); Lu et al. (1998); Sosinski et al. (2000) |
‘Harrow Blood’ × ‘Okinawa’ | F2 | 76 | 10 | Gillen and Bliss (2005) | |
‘Akame’ × ‘Juseitou’ | F2 | 178 | 8 | 571 | Shimada et al. (2000); Yamamoto et al. (2001, 2005)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F2 | 181 | 7 | 621 | Dirlewanger et al.,(1998, 2006); Etienne et al. (2002) |
‘Contender × Fla.92-2C’ | F2 | 127 | 8 | 535 | Fan et al. (2010) |
‘Guardian ?’ × ‘Nemaguard’ ( | F2 | 158 | 11 | 737 | Blenda et al. (2007) |
PI91459 × ‘Bounty’ | F2 | 1,148 | 8 | 537 | Linge et al. (2015) |
‘Texas’ × ‘Earlygold’ | F2 | 826 | 8 | 524 | Joobeur et al. (1998); Aranzana et al. (2003); Dirlewanger et al. (2004b); Howad et al. (2005) |
‘Padre’ × ‘54P455’ | F2 | 161 | 8 | 1,144 | Foolad et al. (1995); Bliss et al. (2002) |
‘Garfi’ × ‘Nemared’ | F2 | 51 | 7 | 438 | J?uregui et al. (2001) |
IF7310828 (‘J.H. Hale’ × ‘Bonanza’) × | BC1 | 216 | 8 | 665 | Quarta et al. (1998, 2000); Verde et al. (2005) |
‘Summergrand’ × Clone P1908 | F1 | 23/97 | 3/9 | 159/471 | Dirlewanger et al. (1996); Viruel et al. (1998); Foulongne et al. (2002) |
‘Rubira’ × Clone P1908 ( | F1 | 4/88 | 0/8 | 454.2 | Rubio et al. (2010) |
P.2175 × GN22 (‘Garfi’ × ‘Nemared’) | F1 | 93/166 | 8/7 | 525/716 | Dirlewanger et al. (2004a) |
복숭아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은 미국, 이탈리아, 칠레, 스페인, 프랑스가 참여하는 IPGI (International Peach Genome Initiative) 컨소시엄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2013년 발표되었다(Verde et al. 2013). 복숭아는 자가수정이 가능하지만 대부분 품종은 타가수정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매우 이형접합적(heterozygous)이며, 이는 유전체 서열 분석에 매우 불리한 조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숭아 ‘Lovell’의 반수체를 배가시킨 계통(PLov2-2N)을 서열 분석에 이용하였다. 염기서열은 Sanger 분석법에 기반한 whole genome shotgun 방식을 통해 얻어졌으며, 조합된 염기서열은 유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염색체 위치를 확인하였다(Joobeur et al. 1998; Dirlewanger et al. 2004a; Howad et al. 2005; Verde et al. 2005; Fan et al. 2010; Eduardo et al. 2011). 227Mb에 해당하는 서열이 202개의 주요 스캐폴드(scaffold)에 조합되었으며, 그 중에 8개는 복숭아의 8개 염색체를 대표하는 위분자(pseudomolecule)라 불린다(Fig. 1). 현재 분석된 서열은 99.96%의 정확도를 나타내는데, 이렇게 유전체 서열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었던 두 가지 요인은 1) 완전히 동형접합인 개체를 이용한 것과, 2) Sanger 분석법에 기반한 whole genome sequence (WGS) 방법을 이용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Sanger 분석법이 정확도는 매우 높지만 최근 기술인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에 비하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편이다.
Comparison of positions of SNPs in the scaffolds of “peach v1.0” with their positions in the genetic maps obtained for Pop-DF and Pop-DG. The physical map of each chromosome is shown in blue (Mart?nez-Garc?a et al. 2013)
유전체 주석(annotation)은 유전체 서열에서 유전자의 위치를 찾아내거나 특징을 찾아내는 과정이다. 구조적, 기능적 주석 과정은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의 한 분야로 Peach v1.0 조합에서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좌가 27,852개, 전사체가 28,689개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숙기, 당도, 병 저항성 등 주요 형질에 관련하는 유전자는 672개 정도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분석 작업을 프로그램화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Abbott and Verde 2013).
복숭아는 종 내의 다형성(polymorphism)이 매우 낮기 때문에 유연종과의 유전적 비교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복숭아의 비교 유전체학은 장미과 내에서, 그리고 애기장대와 같은 다른 과의 식물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농업적으로 중요한 형질과 관련된 분자마커들이 다른 종과 호환 가능한 경우 복숭아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복숭아와 장미과 이외 식물과의 비교는 유전체 정보가 잘 알려진
장미과 내에서 복숭아 유전체 비교는 주로 사과(
최근 몇 년 동안 복숭아에 관한 expressed sequence tag (EST), cDNA 그리고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연구는 복숭아 발달 단계별, 조건별로 발현되는 유전자에 관한 연구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과실의 품질, 스트레스 저항성(생물학적 또는 비생물학적), 특정화된 기관(stone cell)의 형성, 내재휴면, 저온 반응에 관여하는 중요한 기능의 유전자들을 찾아내고, 전통육종과 분자육종에 이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주요 유전자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핵과류의 성숙 및 발달 단계에 따른 유전자에 관한 연구 결과로는 복숭아 성숙단계에서 발현하는 유전자들을 구명하기 위해 EST chips을 이용한 연구 결과가 Trainotti (2006)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복숭아 발달단계 후기에서 발현되는 unigenes으로부터 4,800개의 oligonucleotide를 포함하는 microarray (?PEACH1.0)를 이용하여, 호흡상승 전기와 호흡 상승기에서 267개의 성숙촉진 조절유전자와 109개의 성숙저해 조절유전자를 동정하였다. 이들 유전자를 TAIR Gene Ontology를 이용해서 세포 내 분포기관, 분자생물학적 기능 및 생물학적 경로의 3가지 범주로 유전자들을 구분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에틸렌 생합성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와 효소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졌으며, 복숭아 ETR family (Pp-ETR)와 MADS-box, AUX/IAA, bZIP, bHLH, HD와 Myb families에 관여하는 19개의 유전자를 찾았다. 이 중 과실의 품질을 조절하는 유전자에는 세포벽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pectin-methyl esterase, 두 개의 익스팬진(expansin) 유전자, isoprenoid 및 carotenoid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백육계 복숭아인 ‘미백도’와 적육계 복숭아인 ‘조생혈도’의 전사체 분석 연구결과가 보고되었으며(Kim et al. 2012), 두 품종에서 발현 차이가 나타나는 유전자들은 대부분 안토시아닌(anthocyanin) 생합성 경로에 관련된 유전자로 정량적 발현을 quantitative PCR로 분석하였다.
핵과류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목질화되 내과피(핵: lignified stone)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Dardick 등(2010)은 복숭아의 내과피, 중과피, 외과피 조직에서 발현하는 유전자들의 정량적 발현을 quantitative PCR로 분석하였다. 4,806개의 복숭아 oligonucleotide array를 사용해서 stone 형성 초기와 발달 단계의 RNA 시료로부터 관련된 유전자들을 동정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목질화와 플라보노이드 합성은 동일한 전구체 합성경로의 이용에도 불구하고 과실 발달 단계에서는 조직 특이적으로 발현되는데, 플라보노이드는 외과피와 중과피에서, 목질화는 내과피에서 발현되었다. 이러한 경로는 초기에는 기질을 공유하지만 플라보노이드 또는 리그닌 생합성은 각각의 경로로 나뉘어지며 이는 조직 특이적으로 조절되었다. 애기장대의 내과피 관련 조절 유전자와 복숭아의 내과피 발달단계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종에서 유사하게 조절되며 이는 내과피에서 목질화 경로가 종이 분리되기 이전 조상상태(ancestral state)에서부터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Ziliotto 등(2008)은 과실 성숙 저해제로 알려진 1-methylcyclopropene (1-MCP) 처리에 의해 에틸렌 생합성의 초기 단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저해되는 것을 보고하였다. Endo-PG와 같은 일부 유전자들은 1-MCP 처리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었지만
복숭아는 수확 후 저장 기간 동안 과육의 수분이 빠져 분질화되어 식미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데, 복숭아를 저장하는 동안에 발현되는 유전자에 관한 연구도 보고되었다(Gonz?lez-Ag?ero et al. 2008; Ogundiwin et al. 2008; Vizoso et al. 2009). Gonz?lez-Ag?ero 등(2008)은 정상적인 과실과 분질화된 과실에서 차등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 106개를 탐색하였는데, cobra, endo-polygalacturonase, cinnamoyl-CoA reductase, rab11과 같은 유전자들은 분질화된 과실에서는 발현이 높지 않은 것으로 보아 복숭아의 분질화는 세포벽 형성과 분해 과정 그리고 세포 내 이동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Vizoso 등(2009)은 과실 성숙 정도와 저온기간을 달리한 시료를 이용하여 4개의 중과피 cDNA library를 구축하였다. 이를 이용한 전사체 분석 결과 각 시료에서 차등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들을 동정하였고 복숭아 수확 후 저장기간 동안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일부 주요한 유전자들을 보고하였다.
전사체 분석 연구는 수많은 유전자들을 쉽고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실제로 단백질 수준에서 유전자의 발현이 관여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다. 단백질체 연구는 전사체 분석 연구와는 다르게 유전자의 최종 대사 산물인 단백질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복숭아 단백질체 연구는 지리적 영향, 저온 적응성, 휴면에 관한 특성 분야에서 주로 수행되었다. Renaut 등(2008)은 복숭아 수피의 단백질체 연구 분석을 위해 2-D difference gel electrophoresis와 mass spectrometry 방법을 사용하여 단백질을 온도반응과 광주기 반응 범주에서 단백질 반응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저온 처리와 관련된 단백질의 변화가 가장 차이가 있었으며, 짧은 광주기와 저온에 의해 변화하는 단백질들을 보고하였다. 이와 관련된 57개의 단백질들은 탄수화물(enolase, malate dehydrogenase), 에너지 생성(ATP synthases, lyases), 방어기작(dehydrins, HSPs, PR proteins), 세포 골격 조직(tubulins, actins), 전사 조절에 관한 단백질 등이 대부분이었다.
복숭아에서 보고된 또 다른 단백질체 연구로는 과실 성숙 기간 동안 발현되는 병 저항성 단백질(Chan et al. 2007), 수확 후 저장기간 동안의 과실 단백질(Borsani et al. 2009; Lara et al. 2009; Nilo et al. 2010)에 관한 보고가 있다. Chan 등(2007)은
최근에 보고된 단백질체 연구 결과는 복숭아 성숙 과정에서 당 대사와 단백질의 변화(Borsani et al. 2009)와 수확 후 저장 기간 동안 열처리에 의한 단백질 변화(Lara et al. 2009)에 관한 내용이다. Borsani 등(2009)의 연구 결과는 정상적인 과실 성숙기간 중의 당 대사와 관련한 단백질의 변화를 제시하였는데, sorbitol 증가, sucrose 소모, glycolytic 회피 경로, 발효 과정 등이 해당된다. Lara 등(2009)은 수확 후 과실에서 열 처리에 의해 당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처리구와 대조구간에 57개의 펩타이드(peptides)가 발현에 변화를 나타내었는데 주로 방어 기작과 스트레스에 관여하는 단백질(cysteine proteases, dehydrins, HSPs 등)들이었다. Nilo 등(2010)도 수확 후 정상 과실과 저온처리를 한 복숭아 과실에서 43개의 단백질들의 변화를 조사하였는데, 이들 단백질은 주로 스트레스 반응, 세포 항상성, 탄수화물 생합성 경로, 단백질 생합성 경로에 해당되었다.
지난 세기 동안 식물 육종은 농업적 특성(생산량, 품질, 내병충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행되어 왔으며, 유전체 연구의 시작은 분자육종과 유전공학을 통한 고전육종에서 진행해 온 농업적 특성의 개량에 대한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다. 중요한 농업적 형질에 관여하는 단일유전자(single gene) 또는 폴리진(polygene)과 연관되어 있는 분자마커를 활용하여 유용형질을 가진 개체를 조기에 선발(marker-assisted selection: MAS)하여 육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게 되었는데, 지금까지 작성된 복숭아 연관지도에는 많은 주요 농업적 형질들이 위치해 있어 MAS의 활용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더욱이 주요 형질 관련 유전자들이 포함된 정밀 지도가 작성되어 있고, 현재 유전자지도에 기반을 둔 유전자 클로닝(map-based cloning)이 진행되고 있어, IPGI (
복숭아 품종 중에는 과육이 붉은 색을 띠는 품종들이 있는데, 이러한 과육의 붉은 색은 단일 열성유전자(
과육의 용질성(용질/불용질,
복숭아 과즙의 저산미는 우성인자
과실품질, 수량성, 병 저항성 등 복숭아에서 중요한 농업적 형질들은 단일 유전자가 아닌 다수의 유전자에 의해 발현된다. 이러한 형질들은 소위 양적형질 유전자좌(quantitative trait locus: QTL)에 의해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졌고, 최근에도 새로운 형질에 대한 QTLs이 밝혀지고 있다. Table 2는 지금까지 밝혀진 주요 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 및 QTLs의 위치를 정리한 것이다.
Table 2 Peach major genes and quantitative traits loci (QTLs) placed on the reference map of
Characters | Linkage group | Gene | Populations | References |
---|---|---|---|---|
Aborting fruit | G6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Dirlewanger et al. (2006) | |
Anther color (yellow/anthocyanic) | G3 | ‘Texas’ × ‘Earlygold’ | Joobeur et al. (1998) | |
Blooming date | G1, G2, G4, G5, G6, G7 | QTL | ‘Contender’ × ‘Fla.92-2C’; ‘Summergrand’ × P1908 | Fan et al. (2010); Quilot et al. (2004) |
Blooming time, ripening time, fruit development period | G4 | QTLs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 Etienne et al. (2002); Verde et al. (2002); Cant?n et al. (2010); Quilot et al. (2004) |
Broomy (or pillar) growth habit | G2 | Various progenies | Scorza et al. (2002) | |
Chilling injury traits | G4 | QTL | ‘Venus’ × ‘BigTop’ | Cant?n et al. (2010) |
Chilling requirement | G1, G4, G5, G6, G7,G8 | QTLs | ‘Contender’ × ‘Fla.92-2C’ | Fan et al. (2010) |
Double flower | G2 | ‘NC174RL’ × ‘PI’ | Chaparro et al. (1994) | |
Evergrowing | G1 | ‘Empress op op dwarf’ × PI442380 | Wang et al. (2002) | |
Flesh adhesion (clingstone/freestone) | G4 | ( | Verde et al. (2002); Dettori et al. (2001); Yamamoto et al. (2001) | |
Flesh color (blood) | G5 | ‘Honey Blaze?’ × ‘D6090’ | Shen et al. (2013) | |
Flesh color (white/yellow) | G1 | ‘Padre’ × ‘54P455’ | Warburton et al. (1996); Bliss et al.(2002) | |
Flesh color around the stone | G3 | ‘Akame’ × ‘Jusetou’ | Yamamoto et al. (2001) | |
Flower color | G1 | ‘Garfi’ × ‘Nemared’ | J?uregui (1998) | |
G3 | ‘Akame’ × ‘Jusetou’ | Yamamoto et al. (2001) | ||
Flower morphology | G8 | ‘Contender’ × ‘Fla.92-2C’ | Fan et al. (2010) | |
Fruit blush | G3, G4, G7 | QTLs | ‘Zin Dai’ × ‘Crimson Lady’ F2 | Frett et al. (2014) |
Fruit shape (flat/round) | G6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Dirlewanger et al. (1998, 1999, 2006) | |
Fruit skin color | G6-G8z | ‘Akame’ × ‘Juseitou’ | Yamamoto et al. (2001) | |
G2, G6 | QTLs | ( | Verde et al. (2002) | |
Fruit size | G4 | QTLs | ‘Venus’ × ‘BigTop’; ‘Summergrand’ × P1908 | Cant?n et al. (2010); Quilot et al. (2004) |
Fruit weight, fruit diameter, glucose content | G3 | QTLs | ‘Suncrest’ × ‘Bailey’ | Abbott et al. (1998) |
Heat requirement | G1 | QTLs | ‘Contender’ × ‘Fla.92-2C’ | Fan et al. (2010) |
Internode length | G1 | QTL | ( | Verde et al. (2002) |
Kernel taste (bitter/sweet) | G5 | ‘Padre’ × ‘54P455’ | Bliss et al. (2002) | |
Leaf color (red/yellow) | G6-G8 | ‘Garfi’ × ‘Nemared’; ‘Akame’ × ‘Juseitou’ | J?uregui (1998); Yamamoto et al. (2001) | |
Leaf curl resistance | G3, G6 | QTL | ‘Summergrand’ × P1908 | Viruel et al. (1998) |
Leaf gland (reniform/globose/eglandular) | G7 | ( | Dettori et al. (2001) | |
Leaf shape (narrow/wide) | G6 | ‘Akame’ × ‘Juseitou’ | Yamamoto et al. (2001) | |
Malate | G5 | QTLs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Summergrand’ × P1908 | Etienne et al. (2002); Quilot et al. (2004) |
Male sterility | G6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Dirlewanger et al. (1998, 2006) | |
Mildew resistance | G7 | QTL | ( | Verde et al. (2002) |
Non-acid fruit | G5 | D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Dirlewanger et al. (1998, 1999); Etienne et al. (2002) |
pH, titratable acidity | G4 | QTLs | ‘Venus’ × ‘BigTop’ | Cant?n et al. (2010) |
G5 | QTLs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Summergrand’ × P1908 | Etienne et al. (2002); Quilot et al. (2004) | |
Plant height | G4 | QTL | ‘Venus’ × ‘BigTop’ | Cant?n et al. (2010) |
Plant height (normal/dwarf) | G6 | ‘Akame’ × ‘Juseitou’ | Yamamoto et al. (2001) | |
Polycarpel | G3 | ‘Padre’ × ‘54P455’ | Bliss et al. (2002) | |
Powdery mildew resistance | G1, G6, G8 | QTL | ‘Summergrand’ × P1908 | Foulongne et al. (2003) |
G6 | ‘Rubira’ × ‘Pamirskij 5’ F2 | Pascal et al. (2010) | ||
PPV resistance | G1, G4, G6, G7 | QTLs | ‘Summergrand’ × P1908; ‘Summergrand’ × P1908 F2; ‘Rubira’ × P1908 | Decroocq et al. (2005); Marandel et al. (2009); Rubio et al. (2010) |
G2 | QTLs | ‘Summergrand’ × P1908; ‘Rubira’ × P1908 | Decroocq et al. (2005); Rubio et al. (2010) | |
G5 | QTLs | ‘Summergrand’ × P1908 F2; ‘Rubira’ × P1908 | Marandel et al. (2009); Rubio et al. (2010) | |
Quinase | G8 | QTL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Etienne et al. (2002) |
Ripening time | G2, G6 | QTLs | ( | Verde et al. (2002) |
Root-knot nematode resistance | G2 | ‘P.2175’ × ‘GN22’; ‘Akame’ × ‘Juseitou’; ‘Lowell’ × ‘Nemared’; ‘Garfi’ × ‘Nemared’; ‘Padre’ × ‘54P455’ | Claverie et al. (2004); Yamamoto et al. (2001); Lu et al. (1998); Bliss et al. (2002); J?uregui (1998) | |
Soluble-solid content, fructose, glucose | G4 | QTLs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Venus’ × ‘BigTop’; ‘Summergrand’ × P1908 | Etienne et al. (2002); Cant?n et al. (2010); Quilot et al. (2004) |
G2, G6 | QTLs | ( | Verde et al. (2002) | |
Skin hairiness (nectarine/peach) | G5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Padre’ × ‘54P455’ | Dirlewanger et al. (1998, 1999); Bliss et al. (2002) |
zG6?G8 genes located close to the translocation point between these two linkage groups.
yOne or two genes of nematode resistance with different notations and one QTL have been described in this linkage group.
복숭아 종들 중
화아 형성과 개화기에 관여하는 저온 및 고온요구도의 형질은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서 복숭아의 재배 가능성 및 앞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복숭아의 재배 한계지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형질이다. 이와 관련된 22개의 QTLs의 위치가 확인되었고, 이 중 2개는 표현형과 매우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개화기와 관련 QTLs이 G7에, 저온요구도 QTLs은 G1에 위치하고 복숭아 지속생장 유전자(Evergrowing;
과실의 숙기 형질의 QTL 관련 연구는 처음에는 G2, G6 (Verde et al. 2002)에 위치는 것으로, 그 이후 G2, G3, G4 (Quilot et al. 2004)에 그리고 G1, G3, G6에 위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장 유의성 높은 QTLs은 G4, G6에 위치하고 주동 유전자는 G4에 위치하며 복숭아 Contender × Ambra F2 조합에서 이 QTL의 숙기 표현형 변이는 97.5%였다(Eduardo et al. 2011). 또한 Dirlewanger 등(2012)도 복숭아, 살구, 체리에서 숙기와 관련된 주요 QTLs은 G4에 위치한다고 보고하였다.
복숭아 과실의 저장기간 동안 발생하는 저온 장해는 과실의 분질화, 과육갈변, 과즙 유출 등을 가져오는데, 이러한 분질화에 관여하는 QTLs이 G4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Cant?n et al. 2010). 또한 표현형과 일치하는 22개의 SNP 마커를 찾아내었고, 과실의 분질화(
과중과 과실 크기는 여러 개의 유전자의 조합과 환경요인에 의해 나타나는 양적형질로 이 두 형질은 시장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형질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복숭아에서 과중과 관련된 QTLs은 원반형 과실 모양 형질(
농업적으로 주요한 형질에 관여하는 QTLs이 밝혀지고 있지만 현재까지 복숭아를 비롯한 다른 핵과류에서도 QTLs에 대한 MAS가 직접적으로 활용되는 예는 거의 없다. 이는 이들 유전자에 대한 보다 정밀한 정보가 부족하고 다른 조합에서 똑같이 발현되는지의 확인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적형질의 선발에 MAS가 활용되기 위해서는 보다 정밀하면서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SNP 마커의 개발이 더 많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복숭아 유전체의 염기서열 해석을 통해 복숭아와
처음 예상했던 것보다 초기 작성된 복숭아 유전체가 작아서 많은 수의 복숭아와
염기서열 재분석(re-sequencing) 프로젝트는 복숭아 품종 내에서뿐 만 아니라 이들의 야생종 및 도입종들 사이에 다양성의 분포 및 수준에 대한 대규모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장미과 유전체의 전체 염기서열 비교를 통해 근연종의 진화 즉 식물의 중요한 특성, 생식생장 및 과실 특성과 같은 진화의 과정을 밝힐 수 있다. 염기서열 재분석을 통해 얻어진 대량의 genome-wide SNP 마커들은 기존의 QTLs에 대한 정보를 보완하고, QTLs에 대한 다른 유전자를 동정하여 전체 유전체의 연관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유용하다. 육종에 활용될 다양한 유전자형(genotype)의 자원을 대상으로 염기서열을 재분석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염기서열 정보를 활용하여 농업적으로 유용한 양적형질을 구명해 육종에 도입하려는 전장 유전체연관 분석연구(genome wide association study)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제적인 프로젝트인 RosBREED (Iezzoni et al. 2010)와 FruitBreedomics (Laurens et al. 2010) 등 주요 과수 유전체 분석에 공통 SNP 칩(9K SNP array)이 활용되고 있는데, 이 두 프로젝트의 목적은 주요 작물 중 하나인 복숭아를 이용하여 온대 과수에서 추가적인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현재 육종에 적용하는데 있다. 현재까지 축적된 복숭아에 대한 유전적 정보를 기반으로 앞으로는 전통 육종법으로 해결하기 어려웠던 농업형질에 대한 개량이 활발히 진행되어 생산자와 소비자에 보다 뛰어난 복숭아 품종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번호: PJ90696503)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5; 42(4): 312-325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5 https://doi.org/10.5010/JPB.2015.42.4.312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조강희, 권정현, 김세희, 전지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Kang Hee Cho, Jung Hyun Kwon, Se Hee Kim, and Ji Hae Jun
Frui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55365, Korea
Correspondence to:J. H. Jun e-mail: jun0810@korea.kr
In this review, we summarized the trends of genomics and transcriptomics research on peach, a model species of
Keywords: Peach, Genome, Transcriptome, Molecular breeding
복숭아는 장미과(Rosaceae)
또한 복숭아를 포함한 핵과류(자두, 살구, 체리, 아몬드 등) 작목은 종간교잡을 통해 다양한 유전적 변이를 가진 후대의 양성이 가능하여 지난 20년 동안 복숭아를 모델식물로 이용하여 핵과류와 장미과 과수의 분자마커 개발, 유전자 및 물리지도 작성, 비교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활용, 전체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에서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유전체 연구의 기초 기반 및 응용 가능한 연구 전반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분자마커를 이용한 복숭아의 유전자지도는 1994년 처음 발표되었는데, NC174RL과 ‘Pillar’를 교배해서 얻은 F2 집단을 이용하여 83개의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마커, 1개의 동위효소(isozyme), 4개의 표현형질을 분석하였다(Chaparro et al. 1994). 하지만 이 지도는 연관그룹이 실제 염색체 수와 다른 15개로 분리되었으며, 재현성이 낮은 RAPD 마커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이후에 작성된 유전자지도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후에 발표된 유전자지도는 46개의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12개의 RAPD, 7개의 형태형질 마커를 분석한 것으로 복숭아 ‘New Jersey Pillar’와 KV 7711946를 교배하여 얻은 F2 집단을 이용한 것이다(Rajapakse et al. 1995). 이 지도는 유전자좌(loci)의 25%가 연관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었으나, 복숭아 염색체 수와 같은 8개의 연관그룹을 작성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복숭아 유전자지도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문제점 중에 하나는 유전적 다양성이 떨어진다는 것인데, 특히 복숭아는
Table 1 . Peach intra- and inter- specific linkage maps.
Population | Type | Marker # | No. linkage group | Map size (cM) | References |
---|---|---|---|---|---|
Weeping clone 1:55 × ‘Early Summergrand’ | F2 | 52 | 8 | 350 | Dirlewanger and Bodo (1994) |
NC174RL × ‘Pillar’ | F2 | 88 | 15 | 396 | Chaparro et al. (1994) |
‘New Jersey Pillar’ × ‘KV77119’ | F2 | 58 | 13 | 540 | Rajapakse et al. (1995); Abbott et al. (1998); Sosinski et al. (2000) |
‘Suncrest’ × ‘Bailey’ | F2 | 147 | 23 | 926 | Abbott et al. (1998); Sosinski et al. (2000) |
‘Lovell’ × ‘Nemared’ | F2 | 153 | 15 | 1,300 | Abbott et al. (1998); Lu et al. (1998); Sosinski et al. (2000) |
‘Harrow Blood’ × ‘Okinawa’ | F2 | 76 | 10 | Gillen and Bliss (2005) | |
‘Akame’ × ‘Juseitou’ | F2 | 178 | 8 | 571 | Shimada et al. (2000); Yamamoto et al. (2001, 2005)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F2 | 181 | 7 | 621 | Dirlewanger et al.,(1998, 2006); Etienne et al. (2002) |
‘Contender × Fla.92-2C’ | F2 | 127 | 8 | 535 | Fan et al. (2010) |
‘Guardian ?’ × ‘Nemaguard’ ( | F2 | 158 | 11 | 737 | Blenda et al. (2007) |
PI91459 × ‘Bounty’ | F2 | 1,148 | 8 | 537 | Linge et al. (2015) |
‘Texas’ × ‘Earlygold’ | F2 | 826 | 8 | 524 | Joobeur et al. (1998); Aranzana et al. (2003); Dirlewanger et al. (2004b); Howad et al. (2005) |
‘Padre’ × ‘54P455’ | F2 | 161 | 8 | 1,144 | Foolad et al. (1995); Bliss et al. (2002) |
‘Garfi’ × ‘Nemared’ | F2 | 51 | 7 | 438 | J?uregui et al. (2001) |
IF7310828 (‘J.H. Hale’ × ‘Bonanza’) × | BC1 | 216 | 8 | 665 | Quarta et al. (1998, 2000); Verde et al. (2005) |
‘Summergrand’ × Clone P1908 | F1 | 23/97 | 3/9 | 159/471 | Dirlewanger et al. (1996); Viruel et al. (1998); Foulongne et al. (2002) |
‘Rubira’ × Clone P1908 ( | F1 | 4/88 | 0/8 | 454.2 | Rubio et al. (2010) |
P.2175 × GN22 (‘Garfi’ × ‘Nemared’) | F1 | 93/166 | 8/7 | 525/716 | Dirlewanger et al. (2004a) |
복숭아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은 미국, 이탈리아, 칠레, 스페인, 프랑스가 참여하는 IPGI (International Peach Genome Initiative) 컨소시엄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2013년 발표되었다(Verde et al. 2013). 복숭아는 자가수정이 가능하지만 대부분 품종은 타가수정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매우 이형접합적(heterozygous)이며, 이는 유전체 서열 분석에 매우 불리한 조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숭아 ‘Lovell’의 반수체를 배가시킨 계통(PLov2-2N)을 서열 분석에 이용하였다. 염기서열은 Sanger 분석법에 기반한 whole genome shotgun 방식을 통해 얻어졌으며, 조합된 염기서열은 유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염색체 위치를 확인하였다(Joobeur et al. 1998; Dirlewanger et al. 2004a; Howad et al. 2005; Verde et al. 2005; Fan et al. 2010; Eduardo et al. 2011). 227Mb에 해당하는 서열이 202개의 주요 스캐폴드(scaffold)에 조합되었으며, 그 중에 8개는 복숭아의 8개 염색체를 대표하는 위분자(pseudomolecule)라 불린다(Fig. 1). 현재 분석된 서열은 99.96%의 정확도를 나타내는데, 이렇게 유전체 서열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었던 두 가지 요인은 1) 완전히 동형접합인 개체를 이용한 것과, 2) Sanger 분석법에 기반한 whole genome sequence (WGS) 방법을 이용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Sanger 분석법이 정확도는 매우 높지만 최근 기술인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에 비하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편이다.
Comparison of positions of SNPs in the scaffolds of “peach v1.0” with their positions in the genetic maps obtained for Pop-DF and Pop-DG. The physical map of each chromosome is shown in blue (Mart?nez-Garc?a et al. 2013)
유전체 주석(annotation)은 유전체 서열에서 유전자의 위치를 찾아내거나 특징을 찾아내는 과정이다. 구조적, 기능적 주석 과정은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의 한 분야로 Peach v1.0 조합에서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좌가 27,852개, 전사체가 28,689개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숙기, 당도, 병 저항성 등 주요 형질에 관련하는 유전자는 672개 정도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분석 작업을 프로그램화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Abbott and Verde 2013).
복숭아는 종 내의 다형성(polymorphism)이 매우 낮기 때문에 유연종과의 유전적 비교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복숭아의 비교 유전체학은 장미과 내에서, 그리고 애기장대와 같은 다른 과의 식물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농업적으로 중요한 형질과 관련된 분자마커들이 다른 종과 호환 가능한 경우 복숭아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복숭아와 장미과 이외 식물과의 비교는 유전체 정보가 잘 알려진
장미과 내에서 복숭아 유전체 비교는 주로 사과(
최근 몇 년 동안 복숭아에 관한 expressed sequence tag (EST), cDNA 그리고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연구는 복숭아 발달 단계별, 조건별로 발현되는 유전자에 관한 연구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과실의 품질, 스트레스 저항성(생물학적 또는 비생물학적), 특정화된 기관(stone cell)의 형성, 내재휴면, 저온 반응에 관여하는 중요한 기능의 유전자들을 찾아내고, 전통육종과 분자육종에 이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주요 유전자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핵과류의 성숙 및 발달 단계에 따른 유전자에 관한 연구 결과로는 복숭아 성숙단계에서 발현하는 유전자들을 구명하기 위해 EST chips을 이용한 연구 결과가 Trainotti (2006)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복숭아 발달단계 후기에서 발현되는 unigenes으로부터 4,800개의 oligonucleotide를 포함하는 microarray (?PEACH1.0)를 이용하여, 호흡상승 전기와 호흡 상승기에서 267개의 성숙촉진 조절유전자와 109개의 성숙저해 조절유전자를 동정하였다. 이들 유전자를 TAIR Gene Ontology를 이용해서 세포 내 분포기관, 분자생물학적 기능 및 생물학적 경로의 3가지 범주로 유전자들을 구분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에틸렌 생합성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와 효소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졌으며, 복숭아 ETR family (Pp-ETR)와 MADS-box, AUX/IAA, bZIP, bHLH, HD와 Myb families에 관여하는 19개의 유전자를 찾았다. 이 중 과실의 품질을 조절하는 유전자에는 세포벽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pectin-methyl esterase, 두 개의 익스팬진(expansin) 유전자, isoprenoid 및 carotenoid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백육계 복숭아인 ‘미백도’와 적육계 복숭아인 ‘조생혈도’의 전사체 분석 연구결과가 보고되었으며(Kim et al. 2012), 두 품종에서 발현 차이가 나타나는 유전자들은 대부분 안토시아닌(anthocyanin) 생합성 경로에 관련된 유전자로 정량적 발현을 quantitative PCR로 분석하였다.
핵과류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목질화되 내과피(핵: lignified stone)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Dardick 등(2010)은 복숭아의 내과피, 중과피, 외과피 조직에서 발현하는 유전자들의 정량적 발현을 quantitative PCR로 분석하였다. 4,806개의 복숭아 oligonucleotide array를 사용해서 stone 형성 초기와 발달 단계의 RNA 시료로부터 관련된 유전자들을 동정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목질화와 플라보노이드 합성은 동일한 전구체 합성경로의 이용에도 불구하고 과실 발달 단계에서는 조직 특이적으로 발현되는데, 플라보노이드는 외과피와 중과피에서, 목질화는 내과피에서 발현되었다. 이러한 경로는 초기에는 기질을 공유하지만 플라보노이드 또는 리그닌 생합성은 각각의 경로로 나뉘어지며 이는 조직 특이적으로 조절되었다. 애기장대의 내과피 관련 조절 유전자와 복숭아의 내과피 발달단계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종에서 유사하게 조절되며 이는 내과피에서 목질화 경로가 종이 분리되기 이전 조상상태(ancestral state)에서부터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Ziliotto 등(2008)은 과실 성숙 저해제로 알려진 1-methylcyclopropene (1-MCP) 처리에 의해 에틸렌 생합성의 초기 단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저해되는 것을 보고하였다. Endo-PG와 같은 일부 유전자들은 1-MCP 처리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었지만
복숭아는 수확 후 저장 기간 동안 과육의 수분이 빠져 분질화되어 식미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데, 복숭아를 저장하는 동안에 발현되는 유전자에 관한 연구도 보고되었다(Gonz?lez-Ag?ero et al. 2008; Ogundiwin et al. 2008; Vizoso et al. 2009). Gonz?lez-Ag?ero 등(2008)은 정상적인 과실과 분질화된 과실에서 차등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 106개를 탐색하였는데, cobra, endo-polygalacturonase, cinnamoyl-CoA reductase, rab11과 같은 유전자들은 분질화된 과실에서는 발현이 높지 않은 것으로 보아 복숭아의 분질화는 세포벽 형성과 분해 과정 그리고 세포 내 이동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Vizoso 등(2009)은 과실 성숙 정도와 저온기간을 달리한 시료를 이용하여 4개의 중과피 cDNA library를 구축하였다. 이를 이용한 전사체 분석 결과 각 시료에서 차등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들을 동정하였고 복숭아 수확 후 저장기간 동안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일부 주요한 유전자들을 보고하였다.
전사체 분석 연구는 수많은 유전자들을 쉽고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실제로 단백질 수준에서 유전자의 발현이 관여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다. 단백질체 연구는 전사체 분석 연구와는 다르게 유전자의 최종 대사 산물인 단백질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복숭아 단백질체 연구는 지리적 영향, 저온 적응성, 휴면에 관한 특성 분야에서 주로 수행되었다. Renaut 등(2008)은 복숭아 수피의 단백질체 연구 분석을 위해 2-D difference gel electrophoresis와 mass spectrometry 방법을 사용하여 단백질을 온도반응과 광주기 반응 범주에서 단백질 반응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저온 처리와 관련된 단백질의 변화가 가장 차이가 있었으며, 짧은 광주기와 저온에 의해 변화하는 단백질들을 보고하였다. 이와 관련된 57개의 단백질들은 탄수화물(enolase, malate dehydrogenase), 에너지 생성(ATP synthases, lyases), 방어기작(dehydrins, HSPs, PR proteins), 세포 골격 조직(tubulins, actins), 전사 조절에 관한 단백질 등이 대부분이었다.
복숭아에서 보고된 또 다른 단백질체 연구로는 과실 성숙 기간 동안 발현되는 병 저항성 단백질(Chan et al. 2007), 수확 후 저장기간 동안의 과실 단백질(Borsani et al. 2009; Lara et al. 2009; Nilo et al. 2010)에 관한 보고가 있다. Chan 등(2007)은
최근에 보고된 단백질체 연구 결과는 복숭아 성숙 과정에서 당 대사와 단백질의 변화(Borsani et al. 2009)와 수확 후 저장 기간 동안 열처리에 의한 단백질 변화(Lara et al. 2009)에 관한 내용이다. Borsani 등(2009)의 연구 결과는 정상적인 과실 성숙기간 중의 당 대사와 관련한 단백질의 변화를 제시하였는데, sorbitol 증가, sucrose 소모, glycolytic 회피 경로, 발효 과정 등이 해당된다. Lara 등(2009)은 수확 후 과실에서 열 처리에 의해 당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처리구와 대조구간에 57개의 펩타이드(peptides)가 발현에 변화를 나타내었는데 주로 방어 기작과 스트레스에 관여하는 단백질(cysteine proteases, dehydrins, HSPs 등)들이었다. Nilo 등(2010)도 수확 후 정상 과실과 저온처리를 한 복숭아 과실에서 43개의 단백질들의 변화를 조사하였는데, 이들 단백질은 주로 스트레스 반응, 세포 항상성, 탄수화물 생합성 경로, 단백질 생합성 경로에 해당되었다.
지난 세기 동안 식물 육종은 농업적 특성(생산량, 품질, 내병충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행되어 왔으며, 유전체 연구의 시작은 분자육종과 유전공학을 통한 고전육종에서 진행해 온 농업적 특성의 개량에 대한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다. 중요한 농업적 형질에 관여하는 단일유전자(single gene) 또는 폴리진(polygene)과 연관되어 있는 분자마커를 활용하여 유용형질을 가진 개체를 조기에 선발(marker-assisted selection: MAS)하여 육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게 되었는데, 지금까지 작성된 복숭아 연관지도에는 많은 주요 농업적 형질들이 위치해 있어 MAS의 활용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더욱이 주요 형질 관련 유전자들이 포함된 정밀 지도가 작성되어 있고, 현재 유전자지도에 기반을 둔 유전자 클로닝(map-based cloning)이 진행되고 있어, IPGI (
복숭아 품종 중에는 과육이 붉은 색을 띠는 품종들이 있는데, 이러한 과육의 붉은 색은 단일 열성유전자(
과육의 용질성(용질/불용질,
복숭아 과즙의 저산미는 우성인자
과실품질, 수량성, 병 저항성 등 복숭아에서 중요한 농업적 형질들은 단일 유전자가 아닌 다수의 유전자에 의해 발현된다. 이러한 형질들은 소위 양적형질 유전자좌(quantitative trait locus: QTL)에 의해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졌고, 최근에도 새로운 형질에 대한 QTLs이 밝혀지고 있다. Table 2는 지금까지 밝혀진 주요 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 및 QTLs의 위치를 정리한 것이다.
Table 2 . Peach major genes and quantitative traits loci (QTLs) placed on the reference map of
Characters | Linkage group | Gene | Populations | References |
---|---|---|---|---|
Aborting fruit | G6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Dirlewanger et al. (2006) | |
Anther color (yellow/anthocyanic) | G3 | ‘Texas’ × ‘Earlygold’ | Joobeur et al. (1998) | |
Blooming date | G1, G2, G4, G5, G6, G7 | QTL | ‘Contender’ × ‘Fla.92-2C’; ‘Summergrand’ × P1908 | Fan et al. (2010); Quilot et al. (2004) |
Blooming time, ripening time, fruit development period | G4 | QTLs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 Etienne et al. (2002); Verde et al. (2002); Cant?n et al. (2010); Quilot et al. (2004) |
Broomy (or pillar) growth habit | G2 | Various progenies | Scorza et al. (2002) | |
Chilling injury traits | G4 | QTL | ‘Venus’ × ‘BigTop’ | Cant?n et al. (2010) |
Chilling requirement | G1, G4, G5, G6, G7,G8 | QTLs | ‘Contender’ × ‘Fla.92-2C’ | Fan et al. (2010) |
Double flower | G2 | ‘NC174RL’ × ‘PI’ | Chaparro et al. (1994) | |
Evergrowing | G1 | ‘Empress op op dwarf’ × PI442380 | Wang et al. (2002) | |
Flesh adhesion (clingstone/freestone) | G4 | ( | Verde et al. (2002); Dettori et al. (2001); Yamamoto et al. (2001) | |
Flesh color (blood) | G5 | ‘Honey Blaze?’ × ‘D6090’ | Shen et al. (2013) | |
Flesh color (white/yellow) | G1 | ‘Padre’ × ‘54P455’ | Warburton et al. (1996); Bliss et al.(2002) | |
Flesh color around the stone | G3 | ‘Akame’ × ‘Jusetou’ | Yamamoto et al. (2001) | |
Flower color | G1 | ‘Garfi’ × ‘Nemared’ | J?uregui (1998) | |
G3 | ‘Akame’ × ‘Jusetou’ | Yamamoto et al. (2001) | ||
Flower morphology | G8 | ‘Contender’ × ‘Fla.92-2C’ | Fan et al. (2010) | |
Fruit blush | G3, G4, G7 | QTLs | ‘Zin Dai’ × ‘Crimson Lady’ F2 | Frett et al. (2014) |
Fruit shape (flat/round) | G6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Dirlewanger et al. (1998, 1999, 2006) | |
Fruit skin color | G6-G8z | ‘Akame’ × ‘Juseitou’ | Yamamoto et al. (2001) | |
G2, G6 | QTLs | ( | Verde et al. (2002) | |
Fruit size | G4 | QTLs | ‘Venus’ × ‘BigTop’; ‘Summergrand’ × P1908 | Cant?n et al. (2010); Quilot et al. (2004) |
Fruit weight, fruit diameter, glucose content | G3 | QTLs | ‘Suncrest’ × ‘Bailey’ | Abbott et al. (1998) |
Heat requirement | G1 | QTLs | ‘Contender’ × ‘Fla.92-2C’ | Fan et al. (2010) |
Internode length | G1 | QTL | ( | Verde et al. (2002) |
Kernel taste (bitter/sweet) | G5 | ‘Padre’ × ‘54P455’ | Bliss et al. (2002) | |
Leaf color (red/yellow) | G6-G8 | ‘Garfi’ × ‘Nemared’; ‘Akame’ × ‘Juseitou’ | J?uregui (1998); Yamamoto et al. (2001) | |
Leaf curl resistance | G3, G6 | QTL | ‘Summergrand’ × P1908 | Viruel et al. (1998) |
Leaf gland (reniform/globose/eglandular) | G7 | ( | Dettori et al. (2001) | |
Leaf shape (narrow/wide) | G6 | ‘Akame’ × ‘Juseitou’ | Yamamoto et al. (2001) | |
Malate | G5 | QTLs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Summergrand’ × P1908 | Etienne et al. (2002); Quilot et al. (2004) |
Male sterility | G6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Dirlewanger et al. (1998, 2006) | |
Mildew resistance | G7 | QTL | ( | Verde et al. (2002) |
Non-acid fruit | G5 | D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Dirlewanger et al. (1998, 1999); Etienne et al. (2002) |
pH, titratable acidity | G4 | QTLs | ‘Venus’ × ‘BigTop’ | Cant?n et al. (2010) |
G5 | QTLs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Summergrand’ × P1908 | Etienne et al. (2002); Quilot et al. (2004) | |
Plant height | G4 | QTL | ‘Venus’ × ‘BigTop’ | Cant?n et al. (2010) |
Plant height (normal/dwarf) | G6 | ‘Akame’ × ‘Juseitou’ | Yamamoto et al. (2001) | |
Polycarpel | G3 | ‘Padre’ × ‘54P455’ | Bliss et al. (2002) | |
Powdery mildew resistance | G1, G6, G8 | QTL | ‘Summergrand’ × P1908 | Foulongne et al. (2003) |
G6 | ‘Rubira’ × ‘Pamirskij 5’ F2 | Pascal et al. (2010) | ||
PPV resistance | G1, G4, G6, G7 | QTLs | ‘Summergrand’ × P1908; ‘Summergrand’ × P1908 F2; ‘Rubira’ × P1908 | Decroocq et al. (2005); Marandel et al. (2009); Rubio et al. (2010) |
G2 | QTLs | ‘Summergrand’ × P1908; ‘Rubira’ × P1908 | Decroocq et al. (2005); Rubio et al. (2010) | |
G5 | QTLs | ‘Summergrand’ × P1908 F2; ‘Rubira’ × P1908 | Marandel et al. (2009); Rubio et al. (2010) | |
Quinase | G8 | QTL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Etienne et al. (2002) |
Ripening time | G2, G6 | QTLs | ( | Verde et al. (2002) |
Root-knot nematode resistance | G2 | ‘P.2175’ × ‘GN22’; ‘Akame’ × ‘Juseitou’; ‘Lowell’ × ‘Nemared’; ‘Garfi’ × ‘Nemared’; ‘Padre’ × ‘54P455’ | Claverie et al. (2004); Yamamoto et al. (2001); Lu et al. (1998); Bliss et al. (2002); J?uregui (1998) | |
Soluble-solid content, fructose, glucose | G4 | QTLs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Venus’ × ‘BigTop’; ‘Summergrand’ × P1908 | Etienne et al. (2002); Cant?n et al. (2010); Quilot et al. (2004) |
G2, G6 | QTLs | ( | Verde et al. (2002) | |
Skin hairiness (nectarine/peach) | G5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Padre’ × ‘54P455’ | Dirlewanger et al. (1998, 1999); Bliss et al. (2002) |
zG6?G8 genes located close to the translocation point between these two linkage groups.
yOne or two genes of nematode resistance with different notations and one QTL have been described in this linkage group.
복숭아 종들 중
화아 형성과 개화기에 관여하는 저온 및 고온요구도의 형질은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서 복숭아의 재배 가능성 및 앞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복숭아의 재배 한계지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형질이다. 이와 관련된 22개의 QTLs의 위치가 확인되었고, 이 중 2개는 표현형과 매우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개화기와 관련 QTLs이 G7에, 저온요구도 QTLs은 G1에 위치하고 복숭아 지속생장 유전자(Evergrowing;
과실의 숙기 형질의 QTL 관련 연구는 처음에는 G2, G6 (Verde et al. 2002)에 위치는 것으로, 그 이후 G2, G3, G4 (Quilot et al. 2004)에 그리고 G1, G3, G6에 위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장 유의성 높은 QTLs은 G4, G6에 위치하고 주동 유전자는 G4에 위치하며 복숭아 Contender × Ambra F2 조합에서 이 QTL의 숙기 표현형 변이는 97.5%였다(Eduardo et al. 2011). 또한 Dirlewanger 등(2012)도 복숭아, 살구, 체리에서 숙기와 관련된 주요 QTLs은 G4에 위치한다고 보고하였다.
복숭아 과실의 저장기간 동안 발생하는 저온 장해는 과실의 분질화, 과육갈변, 과즙 유출 등을 가져오는데, 이러한 분질화에 관여하는 QTLs이 G4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Cant?n et al. 2010). 또한 표현형과 일치하는 22개의 SNP 마커를 찾아내었고, 과실의 분질화(
과중과 과실 크기는 여러 개의 유전자의 조합과 환경요인에 의해 나타나는 양적형질로 이 두 형질은 시장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형질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복숭아에서 과중과 관련된 QTLs은 원반형 과실 모양 형질(
농업적으로 주요한 형질에 관여하는 QTLs이 밝혀지고 있지만 현재까지 복숭아를 비롯한 다른 핵과류에서도 QTLs에 대한 MAS가 직접적으로 활용되는 예는 거의 없다. 이는 이들 유전자에 대한 보다 정밀한 정보가 부족하고 다른 조합에서 똑같이 발현되는지의 확인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적형질의 선발에 MAS가 활용되기 위해서는 보다 정밀하면서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SNP 마커의 개발이 더 많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복숭아 유전체의 염기서열 해석을 통해 복숭아와
처음 예상했던 것보다 초기 작성된 복숭아 유전체가 작아서 많은 수의 복숭아와
염기서열 재분석(re-sequencing) 프로젝트는 복숭아 품종 내에서뿐 만 아니라 이들의 야생종 및 도입종들 사이에 다양성의 분포 및 수준에 대한 대규모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장미과 유전체의 전체 염기서열 비교를 통해 근연종의 진화 즉 식물의 중요한 특성, 생식생장 및 과실 특성과 같은 진화의 과정을 밝힐 수 있다. 염기서열 재분석을 통해 얻어진 대량의 genome-wide SNP 마커들은 기존의 QTLs에 대한 정보를 보완하고, QTLs에 대한 다른 유전자를 동정하여 전체 유전체의 연관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유용하다. 육종에 활용될 다양한 유전자형(genotype)의 자원을 대상으로 염기서열을 재분석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염기서열 정보를 활용하여 농업적으로 유용한 양적형질을 구명해 육종에 도입하려는 전장 유전체연관 분석연구(genome wide association study)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제적인 프로젝트인 RosBREED (Iezzoni et al. 2010)와 FruitBreedomics (Laurens et al. 2010) 등 주요 과수 유전체 분석에 공통 SNP 칩(9K SNP array)이 활용되고 있는데, 이 두 프로젝트의 목적은 주요 작물 중 하나인 복숭아를 이용하여 온대 과수에서 추가적인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현재 육종에 적용하는데 있다. 현재까지 축적된 복숭아에 대한 유전적 정보를 기반으로 앞으로는 전통 육종법으로 해결하기 어려웠던 농업형질에 대한 개량이 활발히 진행되어 생산자와 소비자에 보다 뛰어난 복숭아 품종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번호: PJ90696503)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Comparison of positions of SNPs in the scaffolds of “peach v1.0” with their positions in the genetic maps obtained for Pop-DF and Pop-DG. The physical map of each chromosome is shown in blue (Mart?nez-Garc?a et al. 2013)
Table 1 . Peach intra- and inter- specific linkage maps.
Population | Type | Marker # | No. linkage group | Map size (cM) | References |
---|---|---|---|---|---|
Weeping clone 1:55 × ‘Early Summergrand’ | F2 | 52 | 8 | 350 | Dirlewanger and Bodo (1994) |
NC174RL × ‘Pillar’ | F2 | 88 | 15 | 396 | Chaparro et al. (1994) |
‘New Jersey Pillar’ × ‘KV77119’ | F2 | 58 | 13 | 540 | Rajapakse et al. (1995); Abbott et al. (1998); Sosinski et al. (2000) |
‘Suncrest’ × ‘Bailey’ | F2 | 147 | 23 | 926 | Abbott et al. (1998); Sosinski et al. (2000) |
‘Lovell’ × ‘Nemared’ | F2 | 153 | 15 | 1,300 | Abbott et al. (1998); Lu et al. (1998); Sosinski et al. (2000) |
‘Harrow Blood’ × ‘Okinawa’ | F2 | 76 | 10 | Gillen and Bliss (2005) | |
‘Akame’ × ‘Juseitou’ | F2 | 178 | 8 | 571 | Shimada et al. (2000); Yamamoto et al. (2001, 2005)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F2 | 181 | 7 | 621 | Dirlewanger et al.,(1998, 2006); Etienne et al. (2002) |
‘Contender × Fla.92-2C’ | F2 | 127 | 8 | 535 | Fan et al. (2010) |
‘Guardian ?’ × ‘Nemaguard’ ( | F2 | 158 | 11 | 737 | Blenda et al. (2007) |
PI91459 × ‘Bounty’ | F2 | 1,148 | 8 | 537 | Linge et al. (2015) |
‘Texas’ × ‘Earlygold’ | F2 | 826 | 8 | 524 | Joobeur et al. (1998); Aranzana et al. (2003); Dirlewanger et al. (2004b); Howad et al. (2005) |
‘Padre’ × ‘54P455’ | F2 | 161 | 8 | 1,144 | Foolad et al. (1995); Bliss et al. (2002) |
‘Garfi’ × ‘Nemared’ | F2 | 51 | 7 | 438 | J?uregui et al. (2001) |
IF7310828 (‘J.H. Hale’ × ‘Bonanza’) × | BC1 | 216 | 8 | 665 | Quarta et al. (1998, 2000); Verde et al. (2005) |
‘Summergrand’ × Clone P1908 | F1 | 23/97 | 3/9 | 159/471 | Dirlewanger et al. (1996); Viruel et al. (1998); Foulongne et al. (2002) |
‘Rubira’ × Clone P1908 ( | F1 | 4/88 | 0/8 | 454.2 | Rubio et al. (2010) |
P.2175 × GN22 (‘Garfi’ × ‘Nemared’) | F1 | 93/166 | 8/7 | 525/716 | Dirlewanger et al. (2004a) |
Table 2 . Peach major genes and quantitative traits loci (QTLs) placed on the reference map of
Characters | Linkage group | Gene | Populations | References |
---|---|---|---|---|
Aborting fruit | G6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Dirlewanger et al. (2006) | |
Anther color (yellow/anthocyanic) | G3 | ‘Texas’ × ‘Earlygold’ | Joobeur et al. (1998) | |
Blooming date | G1, G2, G4, G5, G6, G7 | QTL | ‘Contender’ × ‘Fla.92-2C’; ‘Summergrand’ × P1908 | Fan et al. (2010); Quilot et al. (2004) |
Blooming time, ripening time, fruit development period | G4 | QTLs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 Etienne et al. (2002); Verde et al. (2002); Cant?n et al. (2010); Quilot et al. (2004) |
Broomy (or pillar) growth habit | G2 | Various progenies | Scorza et al. (2002) | |
Chilling injury traits | G4 | QTL | ‘Venus’ × ‘BigTop’ | Cant?n et al. (2010) |
Chilling requirement | G1, G4, G5, G6, G7,G8 | QTLs | ‘Contender’ × ‘Fla.92-2C’ | Fan et al. (2010) |
Double flower | G2 | ‘NC174RL’ × ‘PI’ | Chaparro et al. (1994) | |
Evergrowing | G1 | ‘Empress op op dwarf’ × PI442380 | Wang et al. (2002) | |
Flesh adhesion (clingstone/freestone) | G4 | ( | Verde et al. (2002); Dettori et al. (2001); Yamamoto et al. (2001) | |
Flesh color (blood) | G5 | ‘Honey Blaze?’ × ‘D6090’ | Shen et al. (2013) | |
Flesh color (white/yellow) | G1 | ‘Padre’ × ‘54P455’ | Warburton et al. (1996); Bliss et al.(2002) | |
Flesh color around the stone | G3 | ‘Akame’ × ‘Jusetou’ | Yamamoto et al. (2001) | |
Flower color | G1 | ‘Garfi’ × ‘Nemared’ | J?uregui (1998) | |
G3 | ‘Akame’ × ‘Jusetou’ | Yamamoto et al. (2001) | ||
Flower morphology | G8 | ‘Contender’ × ‘Fla.92-2C’ | Fan et al. (2010) | |
Fruit blush | G3, G4, G7 | QTLs | ‘Zin Dai’ × ‘Crimson Lady’ F2 | Frett et al. (2014) |
Fruit shape (flat/round) | G6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Dirlewanger et al. (1998, 1999, 2006) | |
Fruit skin color | G6-G8z | ‘Akame’ × ‘Juseitou’ | Yamamoto et al. (2001) | |
G2, G6 | QTLs | ( | Verde et al. (2002) | |
Fruit size | G4 | QTLs | ‘Venus’ × ‘BigTop’; ‘Summergrand’ × P1908 | Cant?n et al. (2010); Quilot et al. (2004) |
Fruit weight, fruit diameter, glucose content | G3 | QTLs | ‘Suncrest’ × ‘Bailey’ | Abbott et al. (1998) |
Heat requirement | G1 | QTLs | ‘Contender’ × ‘Fla.92-2C’ | Fan et al. (2010) |
Internode length | G1 | QTL | ( | Verde et al. (2002) |
Kernel taste (bitter/sweet) | G5 | ‘Padre’ × ‘54P455’ | Bliss et al. (2002) | |
Leaf color (red/yellow) | G6-G8 | ‘Garfi’ × ‘Nemared’; ‘Akame’ × ‘Juseitou’ | J?uregui (1998); Yamamoto et al. (2001) | |
Leaf curl resistance | G3, G6 | QTL | ‘Summergrand’ × P1908 | Viruel et al. (1998) |
Leaf gland (reniform/globose/eglandular) | G7 | ( | Dettori et al. (2001) | |
Leaf shape (narrow/wide) | G6 | ‘Akame’ × ‘Juseitou’ | Yamamoto et al. (2001) | |
Malate | G5 | QTLs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Summergrand’ × P1908 | Etienne et al. (2002); Quilot et al. (2004) |
Male sterility | G6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Dirlewanger et al. (1998, 2006) | |
Mildew resistance | G7 | QTL | ( | Verde et al. (2002) |
Non-acid fruit | G5 | D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Dirlewanger et al. (1998, 1999); Etienne et al. (2002) |
pH, titratable acidity | G4 | QTLs | ‘Venus’ × ‘BigTop’ | Cant?n et al. (2010) |
G5 | QTLs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Summergrand’ × P1908 | Etienne et al. (2002); Quilot et al. (2004) | |
Plant height | G4 | QTL | ‘Venus’ × ‘BigTop’ | Cant?n et al. (2010) |
Plant height (normal/dwarf) | G6 | ‘Akame’ × ‘Juseitou’ | Yamamoto et al. (2001) | |
Polycarpel | G3 | ‘Padre’ × ‘54P455’ | Bliss et al. (2002) | |
Powdery mildew resistance | G1, G6, G8 | QTL | ‘Summergrand’ × P1908 | Foulongne et al. (2003) |
G6 | ‘Rubira’ × ‘Pamirskij 5’ F2 | Pascal et al. (2010) | ||
PPV resistance | G1, G4, G6, G7 | QTLs | ‘Summergrand’ × P1908; ‘Summergrand’ × P1908 F2; ‘Rubira’ × P1908 | Decroocq et al. (2005); Marandel et al. (2009); Rubio et al. (2010) |
G2 | QTLs | ‘Summergrand’ × P1908; ‘Rubira’ × P1908 | Decroocq et al. (2005); Rubio et al. (2010) | |
G5 | QTLs | ‘Summergrand’ × P1908 F2; ‘Rubira’ × P1908 | Marandel et al. (2009); Rubio et al. (2010) | |
Quinase | G8 | QTL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 Etienne et al. (2002) |
Ripening time | G2, G6 | QTLs | ( | Verde et al. (2002) |
Root-knot nematode resistance | G2 | ‘P.2175’ × ‘GN22’; ‘Akame’ × ‘Juseitou’; ‘Lowell’ × ‘Nemared’; ‘Garfi’ × ‘Nemared’; ‘Padre’ × ‘54P455’ | Claverie et al. (2004); Yamamoto et al. (2001); Lu et al. (1998); Bliss et al. (2002); J?uregui (1998) | |
Soluble-solid content, fructose, glucose | G4 | QTLs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Venus’ × ‘BigTop’; ‘Summergrand’ × P1908 | Etienne et al. (2002); Cant?n et al. (2010); Quilot et al. (2004) |
G2, G6 | QTLs | ( | Verde et al. (2002) | |
Skin hairiness (nectarine/peach) | G5 | ‘Ferjalou Jalousia?’ × ‘Fantasia’; ‘Padre’ × ‘54P455’ | Dirlewanger et al. (1998, 1999); Bliss et al. (2002) |
zG6?G8 genes located close to the translocation point between these two linkage groups.
yOne or two genes of nematode resistance with different notations and one QTL have been described in this linkage group.
Ho Bang Kim · Chang Jae Oh · Nam-Hoon Kim · Cheol Woo Choi · Minju Kim · Sukman Park · Seong Beom Jin · Su-Hyun Yun · Kwan Jeong Song
J Plant Biotechnol 2022; 49(4): 271-291So Youn Won, Jung Sun Kim, Sang-Ho Kang, and Seong-Han Sohn
J Plant Biotechnol 2016; 43(3): 272-280Seong-Cheol Kim, Ho Bang Kim, Jae-Ho Joa, and Kwan Jeong Song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5; 42(4): 342-349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Comparison of positions of SNPs in the scaffolds of “peach v1.0” with their positions in the genetic maps obtained for Pop-DF and Pop-DG. The physical map of each chromosome is shown in blue (Mart?nez-Garc?a et al.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