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5; 42(4): 388-395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5
https://doi.org/10.5010/JPB.2015.42.4.388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이나념1,2, 최용의2, 문흥규1,*
1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공학과,
2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Correspondence to : H. K. Moon e-mail: mhkmoon@korea.kr
Somatic embryogenesis is as an excellent technology for potential use in plant mass production, germplasm conservation, or genetic engineering. We examined the effect of cold storage using 3 embryogenic callus lines with different levels of embryogenesis competence derived from immature zygotic embryo cultures of
Keywords Cold storage, Embryogenic callus, Somatic embryo germination,
식물의 조직배양에서 특정 cell line의 유지 및 보존은 안정적인 배양 프로토콜의 확립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전자원의 확보 및 보전의 측면에서 중요하다(Martínez et al. 2003). 생식질 보존을 위한 저온저장과 초저온저장 기술은 정단조직(Lambardi et al. 2000; Pennycooke et al. 2000; Xu et al. 2002), 캘러스(An et al. 2003), 체세포배(Ford et al. 2000; Shiota et al. 1999) 등을 재료로 다수의 식물에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Sheng-Hui et al. 2008; Teresa et al. 2008).
일반적인 저온저장은 온도범위 1 ~ 9°C의 상온에서 수행하는데, 사과나무(Kim et al. 1986), 키위(Monette 1986), 포플러류(Moon et al. 1987) 등에서 보고되었다. 초저온저장은 가장 이상적인 장기저장 방법이지만, 여러 가지 설비 및 예냉조건, 초저온보호제 등의 첨가가 요구되는 등 그 방법이 제한적이고 비용이 매우 비싸며(Park and Chae 1993), 냉동 보관 시 세포의 동결과 융해 시 세포의 손상 등 장애가 생길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Richard et al. 1991).
식물 유전자원 보존을 위한 기내 배양체는 매우 다양한 배양기술이 적용되고 식물마다 요구되는 저장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적용하는 기술 또한 다르다(Beatrice et al. 1993). Beatrice et al. (1993)은 짧게는 수개월에서 길게는 1 ~ 2년까지 생장억제의 목적으로 저온저장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Banerjee et al. (1985)은 온도에 민감한 열대식물에서 15 ~ 20°C로 온도를 낮추어 생장억제의 목적으로 저온저장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캘러스 등 기내배양체의 저온저장은 대체로 온도범위 5 ~ 15°C의 조건에서 수행되며(Augereau et al. 1986; Caruso et al. 1987) 주기적인 계대배양으로 인한 오염방지, 배양체의 기형화 억제, 인건비 등 제반 소요경비의 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aruso et al. 1987; Engelmann 1991; Withers 1991; Maurizio et al. 2013). Hiraoka and Kodama (1984)는 식물 세포는 주기적인 계대배양으로 유전적 변이가 종종 관찰되고, 이러한 변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저온저장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Mingliang et al. (2011)은 manilagrass의 배발생조직을 재료로 4°C 저장을 통해 효과적인 캘러스 유지 및 경비절감이 가능함을 보고하였으며, Hiraoka and Kodama (1984)는
음나무(
음나무 조직배양체의 토양이식은 주로 봄철의 시업 시기에 맞추어 수행되므로 배양체를 일정기간 저온저장하였다가 적정한 시업시기에 묘목을 생산한다면 경비절감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장점이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음나무의 3개 세포주의 배발생 캘러스를 재료로 4°C의 일반 냉장고에서 암배양 조건으로 저온저장 기간에 따른 발아 및 식물체 재생에 미치는 요인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체세포 배발생 캘러스는 2011년 8월에 성숙 음나무에서 채취한 미숙종자로부터 Moon et al. (2005, 2008)의 방법으로 유도하였다(
Somatic embryo induction from 3 low temperature (4°C)-stored embryogenic callus lines of
Frequency of somatic embryo germination using torpedo stage SEs regenerated from cold-stored EC lines of
Comparison of plant conversion rate using SEs derived from cold-stored EC lines of
Comparison of soil survival rate using plantlets regenerated from 3 cold-stored EC lines of
Embryogenic cell types and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lets regeneration of
체세포배 유도는 1/2 MS배지에 0.1 mg/L abscisic acid (ABA), 7% polyethylene glycol (PEG), 0.02% activated charcoal, 3% sucrose를 첨가하고, 0.5% gelrite로 경화하여 사용하였다. 대조구로는 배양실의 상온에서 유지하고 있는 배발생캘러스를 사용하였다. 체세포배 유도는 4 ~ 6주간 실시하였고, 실체현미경(Leica M205 C, Wetzlar, Germany) 하에서 주기적으로 관찰하였다. 처리 당 10 plates로 3반복으로 실험하였다. 배양은 냉백색 형광등(FL 40D, 40W, OSRAM) 하에서 1일 16시간 조명(40 μm m-2 s-1), 온도는 25±2°C로 유지되는 배양실에서 실시하였다. 이하의 실험에서도 동일한 환경조건 하에서 실험하였다.
체세포배의 발아 및 재생은 비교적 동일한 발달단계의 어뢰형 배를 선발하여 시험하였다. 발아용 배지는 1/2MS배지(2% sucrose, 0.3% gelrite 첨가)를 사용하였고, 발아 촉진을 위해 1.0 mg/L GA3 처리 혹은 기본배지를 사용하였다. 4주간 배양 후 뿌리가 자라고 자엽이 형성된 것을 발아(germination)된 것으로, 그 다음 정아의 신초가 생장하고 본엽이 자라는 것을 재생(conversion)된 것으로 조사하였다. 처리 당 10 plates로 3반복을 두었고, 배양은 체세포배 유도와 동일한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기내에서 재생된 약 5 cm 자란 어린 식물체를 피트모스와 펄라이트가 혼합된 상토(1:1, v/v)에 이식하여 순화하였다. 상토는 원예 삽목용 플라스틱 상자(50 × 30 cm)에 2/3정도 상토를 채워서 사용하였다. 순화실은 조명 20 µmol m-2 s-1, (16시간 광주기), 온도 25±2°C로 유지하였다. 4주 후에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캘러스(ZE 10)를 1.6% paraformaldehyde, 2.5% glutaraldehyde, 0.05M phosphate buffer로 구성된 고정액에 pH 6.8로, 24 ~ 48시간 동안 침지시켜 고정시켰다. 탈수는 30%, 50%, 70%, 80%, 90%, 95%, 100%, 100% 에탄올로 단계별로 침지시킨 후, 각 단계마다 샘플이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스포이트를 이용해 알코올을 바꿔주었다. 그 다음 60 cmHg, 30분 동안 진공상태로 만들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침투 과정은 Ethyl alcohol : Infiltration sol. (500 ml Liquid Hardener I + 5 g activator)을 2:1, 1:1, 1:2로 교체한 후 각 단계마다 4°C에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경화는 Technovit 7100 (kulzer)을 사용하여 Infiltration sol. 15 ml + Hardner 1 ml을 이용해 경화시켰다. 절삭은 마이크로톰(LEICA RM2165, Wetzlar, Germany)으로 3 μm 절편을 만든 다음 잘라진 절편을 슬라이드글라스에 펼쳐 붙인 후 염색하였다. 0.1% Periodic acid 염색액에 30분, Schiff’s 염색액에 30분, 0.05% TBO 염색액에 25분 염색 후 실체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다.
저장기간별로 약 50 mg의 캘러스(ZE 10)를 슬라이드 글라스에 올려놓은 후, 유리 막대로 가볍게 눌러주고 1% 아세토카민을 3방울 정도 떨어뜨려 세포를 염색하였다. 다음 알콜 램프로 수초 간 가열하고, 약 1분 후에 스포이드를 이용 1/2 MS 액체배지로 세척하였다. 여기에 0.05% 에반스블루를 같은 방법으로 염색하고 액체 배지로 씻은 다음 실체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다.
모든 측정값은 5회 반복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mean±SD)를 표시하였고 통계 분석은 SPSS 프로그램(SPSS Inc., Chicago, USA)을 사용하였으며 Duncan 다중검정(DMRT) 및 t-test로 유의성 검정을 하였다.
3개 세포주(ZE 6, ZE 10, ZE 15) 배발생 캘러스의 저온저장(4°C)에 따른 체세포배 유도 빈도는 Fig. 1과 6 B, C와 같다. 어느 라인에서나 저온저장 기간이 길어지면서 SE 유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감소율은 세포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배발생능이 가장 좋았던 ZE 10 세포주는 대조구(25°C)에 비해 1개월 후에는 약 18.8%, 3개월 후에는 29.9%, 6개월 후에는 47.7% 감소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보통의 배발생능의 ZE 6 세포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 1개월 후에는 32.0%, 3개월 후에는 37.8%, 6개월 후에는 57.8%로 감소되었다. 한편 배발생능이 가장 저조한 ZE 15 세포주는 1개월 후 15.5%, 3개월 후 35.0%, 6개월 후 69.5%로 저장 기간에 따라 SE 유도율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한편 체세포배 유도에 소요되는 시간이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조구(25°C)의 캘러스는 SE 유도에 약 4주가 소요된 반면 1, 3, 6개월 저온저장된 캘러스는 저온저장 기간에 관계없이 약 2주 정도 늦게 SE 유도가 시작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배발생 캘러스의 갈변화에 따른 세포 조직의 사멸 때문인 것으로 보이고, 이로 인해 SE 유도 빈도가 저장 기간에 따라 감소된 것으로 추정된다. Kim and Park (2002)은 캡슐화된 마늘 캘러스를 4°C에 40일간 저장한 결과 발아기간이 대조구에 비해 1주 정도 지연되고 발아율은 95%에서 88%로 감소한다고 하여 본 실험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캘러스 등 기내 배양체의 저온저장은 식물에 따라 매우 다르게 보고된다. Souza et al. (2011)은
Park et al. (1993)은
저온저장된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재생된 어뢰형~초기자엽형의 체세포배를 재료로 발아 및 식물체 재생을 실험한 결과는 Fig. 2, 3 그리고 6 D와 같다. 발아율은 대조구(미 저온저장)에 비해 다소 저조하였으나 ZE 10은 95.6%, ZE 6은 92.1%, ZE 15는 92.6%로 세포주에 관계없이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따라서 배발생 캘러스의 저온저장에 따른 문제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발아 촉진을 위한 GA3 처리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체 재생은 캘러스의 저온저장 기간이 길어지면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어느 세포주에서나 91% 이상 높은 식물체 재생율을 보였다. 배발생능이 가장 좋은 ZE 10은 6개월 저장 후에도 평균 94.3%의 재생율을 보인 반면 ZE 6과 ZE 15는 89.1%, 89.9%로 다소 감소하였다. GA3 처리에 따른 식물체 재생 효과는 배발생 세포주 및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한편 체세포배의 저온저장은 체세포배의 발아와 성숙, 그리고 식물체 재생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Corredoira et al. (2003)은 European chestnut의 체세포배를 4°C 저온저장으로 배발생율을 41%까지 증가시켰고, Teresa et al. (2008)은
정상적으로 재생된 약 5 cm길이의 어린 식물체를 인공 상토에 옮겨 순화한 결과는 Fig. 4와 6 E와 같다. 4주 후의 생존율은 대조구 비해 다소 낮았으나, 세포주에 따라 88 ~ 90%의 생존율을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GA3처리로 재생된 식물체에서도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따라서 음나무의 저온저장된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재생된 식물체의 순화율은 90% 내외로 나타났고 큰 어려움 없이 순화되었다.
배발생능이 가장 좋았던 ZE 10 세포주를 재료로 저온저장별 세포 미세구조의 관찰결과는 Fig. 5와 같다. 음나무의 전형적인 배발생 캘러스는 희거나 노란색이며, 작고 구형으로 이루어진 세포로 구성되는데(Moon et al. 2008; Park et al. 2011) 미세구조에서도 비교적 균일한 크기의 세포 집단으로 세포내 함유물이 충만하고 많은 전분(amyloplasts)을 가졌으며(Fig. 5A, Fig. 5A-1), 아세토카민에 강하게 반응하여 붉은 색을 띄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5A-2). Luciano et al. (2012)은
한편 저온저장한 캘러스는 시간 경과에 따라 갈변화가 나타났으며, 갈변화의 정도는 저장 기간에 비례하여 나타났고(Fig. 5B, Fig. 5C, D), 미세구조에서도 저장기간에 따라 세포내의 전분과 세포질이 소실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Fig. 5B-1, C-1, D-1). 이 같은 결과는 Park et al. (1993)이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5; 42(4): 388-395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5 https://doi.org/10.5010/JPB.2015.42.4.388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이나념1,2, 최용의2, 문흥규1,*
1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공학과,
2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Na Nyum Lee1,2, Yong Eui Choi2, and Heung Kyu Moon1,*
1Division of Biotechnology,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uwon 441-350, Korea,
2Department of Forestr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00-701, Korea
Correspondence to: H. K. Moon e-mail: mhkmoon@korea.kr
Somatic embryogenesis is as an excellent technology for potential use in plant mass production, germplasm conservation, or genetic engineering. We examined the effect of cold storage using 3 embryogenic callus lines with different levels of embryogenesis competence derived from immature zygotic embryo cultures of
Keywords: Cold storage, Embryogenic callus, Somatic embryo germination,
식물의 조직배양에서 특정 cell line의 유지 및 보존은 안정적인 배양 프로토콜의 확립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전자원의 확보 및 보전의 측면에서 중요하다(Martínez et al. 2003). 생식질 보존을 위한 저온저장과 초저온저장 기술은 정단조직(Lambardi et al. 2000; Pennycooke et al. 2000; Xu et al. 2002), 캘러스(An et al. 2003), 체세포배(Ford et al. 2000; Shiota et al. 1999) 등을 재료로 다수의 식물에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Sheng-Hui et al. 2008; Teresa et al. 2008).
일반적인 저온저장은 온도범위 1 ~ 9°C의 상온에서 수행하는데, 사과나무(Kim et al. 1986), 키위(Monette 1986), 포플러류(Moon et al. 1987) 등에서 보고되었다. 초저온저장은 가장 이상적인 장기저장 방법이지만, 여러 가지 설비 및 예냉조건, 초저온보호제 등의 첨가가 요구되는 등 그 방법이 제한적이고 비용이 매우 비싸며(Park and Chae 1993), 냉동 보관 시 세포의 동결과 융해 시 세포의 손상 등 장애가 생길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Richard et al. 1991).
식물 유전자원 보존을 위한 기내 배양체는 매우 다양한 배양기술이 적용되고 식물마다 요구되는 저장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적용하는 기술 또한 다르다(Beatrice et al. 1993). Beatrice et al. (1993)은 짧게는 수개월에서 길게는 1 ~ 2년까지 생장억제의 목적으로 저온저장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Banerjee et al. (1985)은 온도에 민감한 열대식물에서 15 ~ 20°C로 온도를 낮추어 생장억제의 목적으로 저온저장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캘러스 등 기내배양체의 저온저장은 대체로 온도범위 5 ~ 15°C의 조건에서 수행되며(Augereau et al. 1986; Caruso et al. 1987) 주기적인 계대배양으로 인한 오염방지, 배양체의 기형화 억제, 인건비 등 제반 소요경비의 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aruso et al. 1987; Engelmann 1991; Withers 1991; Maurizio et al. 2013). Hiraoka and Kodama (1984)는 식물 세포는 주기적인 계대배양으로 유전적 변이가 종종 관찰되고, 이러한 변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저온저장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Mingliang et al. (2011)은 manilagrass의 배발생조직을 재료로 4°C 저장을 통해 효과적인 캘러스 유지 및 경비절감이 가능함을 보고하였으며, Hiraoka and Kodama (1984)는
음나무(
음나무 조직배양체의 토양이식은 주로 봄철의 시업 시기에 맞추어 수행되므로 배양체를 일정기간 저온저장하였다가 적정한 시업시기에 묘목을 생산한다면 경비절감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장점이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음나무의 3개 세포주의 배발생 캘러스를 재료로 4°C의 일반 냉장고에서 암배양 조건으로 저온저장 기간에 따른 발아 및 식물체 재생에 미치는 요인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체세포 배발생 캘러스는 2011년 8월에 성숙 음나무에서 채취한 미숙종자로부터 Moon et al. (2005, 2008)의 방법으로 유도하였다(
Somatic embryo induction from 3 low temperature (4°C)-stored embryogenic callus lines of
Frequency of somatic embryo germination using torpedo stage SEs regenerated from cold-stored EC lines of
Comparison of plant conversion rate using SEs derived from cold-stored EC lines of
Comparison of soil survival rate using plantlets regenerated from 3 cold-stored EC lines of
Embryogenic cell types and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lets regeneration of
체세포배 유도는 1/2 MS배지에 0.1 mg/L abscisic acid (ABA), 7% polyethylene glycol (PEG), 0.02% activated charcoal, 3% sucrose를 첨가하고, 0.5% gelrite로 경화하여 사용하였다. 대조구로는 배양실의 상온에서 유지하고 있는 배발생캘러스를 사용하였다. 체세포배 유도는 4 ~ 6주간 실시하였고, 실체현미경(Leica M205 C, Wetzlar, Germany) 하에서 주기적으로 관찰하였다. 처리 당 10 plates로 3반복으로 실험하였다. 배양은 냉백색 형광등(FL 40D, 40W, OSRAM) 하에서 1일 16시간 조명(40 μm m-2 s-1), 온도는 25±2°C로 유지되는 배양실에서 실시하였다. 이하의 실험에서도 동일한 환경조건 하에서 실험하였다.
체세포배의 발아 및 재생은 비교적 동일한 발달단계의 어뢰형 배를 선발하여 시험하였다. 발아용 배지는 1/2MS배지(2% sucrose, 0.3% gelrite 첨가)를 사용하였고, 발아 촉진을 위해 1.0 mg/L GA3 처리 혹은 기본배지를 사용하였다. 4주간 배양 후 뿌리가 자라고 자엽이 형성된 것을 발아(germination)된 것으로, 그 다음 정아의 신초가 생장하고 본엽이 자라는 것을 재생(conversion)된 것으로 조사하였다. 처리 당 10 plates로 3반복을 두었고, 배양은 체세포배 유도와 동일한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기내에서 재생된 약 5 cm 자란 어린 식물체를 피트모스와 펄라이트가 혼합된 상토(1:1, v/v)에 이식하여 순화하였다. 상토는 원예 삽목용 플라스틱 상자(50 × 30 cm)에 2/3정도 상토를 채워서 사용하였다. 순화실은 조명 20 µmol m-2 s-1, (16시간 광주기), 온도 25±2°C로 유지하였다. 4주 후에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캘러스(ZE 10)를 1.6% paraformaldehyde, 2.5% glutaraldehyde, 0.05M phosphate buffer로 구성된 고정액에 pH 6.8로, 24 ~ 48시간 동안 침지시켜 고정시켰다. 탈수는 30%, 50%, 70%, 80%, 90%, 95%, 100%, 100% 에탄올로 단계별로 침지시킨 후, 각 단계마다 샘플이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스포이트를 이용해 알코올을 바꿔주었다. 그 다음 60 cmHg, 30분 동안 진공상태로 만들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침투 과정은 Ethyl alcohol : Infiltration sol. (500 ml Liquid Hardener I + 5 g activator)을 2:1, 1:1, 1:2로 교체한 후 각 단계마다 4°C에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경화는 Technovit 7100 (kulzer)을 사용하여 Infiltration sol. 15 ml + Hardner 1 ml을 이용해 경화시켰다. 절삭은 마이크로톰(LEICA RM2165, Wetzlar, Germany)으로 3 μm 절편을 만든 다음 잘라진 절편을 슬라이드글라스에 펼쳐 붙인 후 염색하였다. 0.1% Periodic acid 염색액에 30분, Schiff’s 염색액에 30분, 0.05% TBO 염색액에 25분 염색 후 실체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다.
저장기간별로 약 50 mg의 캘러스(ZE 10)를 슬라이드 글라스에 올려놓은 후, 유리 막대로 가볍게 눌러주고 1% 아세토카민을 3방울 정도 떨어뜨려 세포를 염색하였다. 다음 알콜 램프로 수초 간 가열하고, 약 1분 후에 스포이드를 이용 1/2 MS 액체배지로 세척하였다. 여기에 0.05% 에반스블루를 같은 방법으로 염색하고 액체 배지로 씻은 다음 실체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다.
모든 측정값은 5회 반복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mean±SD)를 표시하였고 통계 분석은 SPSS 프로그램(SPSS Inc., Chicago, USA)을 사용하였으며 Duncan 다중검정(DMRT) 및 t-test로 유의성 검정을 하였다.
3개 세포주(ZE 6, ZE 10, ZE 15) 배발생 캘러스의 저온저장(4°C)에 따른 체세포배 유도 빈도는 Fig. 1과 6 B, C와 같다. 어느 라인에서나 저온저장 기간이 길어지면서 SE 유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감소율은 세포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배발생능이 가장 좋았던 ZE 10 세포주는 대조구(25°C)에 비해 1개월 후에는 약 18.8%, 3개월 후에는 29.9%, 6개월 후에는 47.7% 감소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보통의 배발생능의 ZE 6 세포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 1개월 후에는 32.0%, 3개월 후에는 37.8%, 6개월 후에는 57.8%로 감소되었다. 한편 배발생능이 가장 저조한 ZE 15 세포주는 1개월 후 15.5%, 3개월 후 35.0%, 6개월 후 69.5%로 저장 기간에 따라 SE 유도율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한편 체세포배 유도에 소요되는 시간이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조구(25°C)의 캘러스는 SE 유도에 약 4주가 소요된 반면 1, 3, 6개월 저온저장된 캘러스는 저온저장 기간에 관계없이 약 2주 정도 늦게 SE 유도가 시작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배발생 캘러스의 갈변화에 따른 세포 조직의 사멸 때문인 것으로 보이고, 이로 인해 SE 유도 빈도가 저장 기간에 따라 감소된 것으로 추정된다. Kim and Park (2002)은 캡슐화된 마늘 캘러스를 4°C에 40일간 저장한 결과 발아기간이 대조구에 비해 1주 정도 지연되고 발아율은 95%에서 88%로 감소한다고 하여 본 실험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캘러스 등 기내 배양체의 저온저장은 식물에 따라 매우 다르게 보고된다. Souza et al. (2011)은
Park et al. (1993)은
저온저장된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재생된 어뢰형~초기자엽형의 체세포배를 재료로 발아 및 식물체 재생을 실험한 결과는 Fig. 2, 3 그리고 6 D와 같다. 발아율은 대조구(미 저온저장)에 비해 다소 저조하였으나 ZE 10은 95.6%, ZE 6은 92.1%, ZE 15는 92.6%로 세포주에 관계없이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따라서 배발생 캘러스의 저온저장에 따른 문제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발아 촉진을 위한 GA3 처리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체 재생은 캘러스의 저온저장 기간이 길어지면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어느 세포주에서나 91% 이상 높은 식물체 재생율을 보였다. 배발생능이 가장 좋은 ZE 10은 6개월 저장 후에도 평균 94.3%의 재생율을 보인 반면 ZE 6과 ZE 15는 89.1%, 89.9%로 다소 감소하였다. GA3 처리에 따른 식물체 재생 효과는 배발생 세포주 및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한편 체세포배의 저온저장은 체세포배의 발아와 성숙, 그리고 식물체 재생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Corredoira et al. (2003)은 European chestnut의 체세포배를 4°C 저온저장으로 배발생율을 41%까지 증가시켰고, Teresa et al. (2008)은
정상적으로 재생된 약 5 cm길이의 어린 식물체를 인공 상토에 옮겨 순화한 결과는 Fig. 4와 6 E와 같다. 4주 후의 생존율은 대조구 비해 다소 낮았으나, 세포주에 따라 88 ~ 90%의 생존율을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GA3처리로 재생된 식물체에서도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따라서 음나무의 저온저장된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재생된 식물체의 순화율은 90% 내외로 나타났고 큰 어려움 없이 순화되었다.
배발생능이 가장 좋았던 ZE 10 세포주를 재료로 저온저장별 세포 미세구조의 관찰결과는 Fig. 5와 같다. 음나무의 전형적인 배발생 캘러스는 희거나 노란색이며, 작고 구형으로 이루어진 세포로 구성되는데(Moon et al. 2008; Park et al. 2011) 미세구조에서도 비교적 균일한 크기의 세포 집단으로 세포내 함유물이 충만하고 많은 전분(amyloplasts)을 가졌으며(Fig. 5A, Fig. 5A-1), 아세토카민에 강하게 반응하여 붉은 색을 띄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5A-2). Luciano et al. (2012)은
한편 저온저장한 캘러스는 시간 경과에 따라 갈변화가 나타났으며, 갈변화의 정도는 저장 기간에 비례하여 나타났고(Fig. 5B, Fig. 5C, D), 미세구조에서도 저장기간에 따라 세포내의 전분과 세포질이 소실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Fig. 5B-1, C-1, D-1). 이 같은 결과는 Park et al. (1993)이
Somatic embryo induction from 3 low temperature (4°C)-stored embryogenic callus lines of
Frequency of somatic embryo germination using torpedo stage SEs regenerated from cold-stored EC lines of
Comparison of plant conversion rate using SEs derived from cold-stored EC lines of
Comparison of soil survival rate using plantlets regenerated from 3 cold-stored EC lines of
Embryogenic cell types and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lets regeneration of
Sridevi Muppala · Pavan Kumar Gudlavalleti · Sreenu Pagidoju · Kodandarami Reddy Malireddy · Sateesh Kumar Puligandla · Premalatha Dasari
J Plant Biotechnol 2020; 47(1): 26-39In-Song Han, Jong Bo Kim
J Plant Biotechnol 2019; 46(1): 32-36Yong-Wook Kim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5; 42(3): 223-227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Somatic embryo induction from 3 low temperature (4°C)-stored embryogenic callus lines of
Frequency of somatic embryo germination using torpedo stage SEs regenerated from cold-stored EC lines of
Comparison of plant conversion rate using SEs derived from cold-stored EC lines of
Comparison of soil survival rate using plantlets regenerated from 3 cold-stored EC lines of
Embryogenic cell types and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lets regeneration of